피앤에스로보틱스, 코스닥, 460940
2003년 설립(법인설립일), 대전·서울 기반의 재활의료·지능형 로봇 제조사(주력: 하지 재활로봇 ‘WALKBOT’). 2024년 7월 31일 코스닥 상장(기술성장기업 특례)했습니다.
1) 테마 연관성 (의료기기 · 지능형로봇/AI · 고령화사회)
- 의료기기: 주력 제품 ‘WALKBOT’(하지재활 로봇), ‘ANKLEBOT’ 등 재활의료기기 제조·판매. 국내외 14개국 납품·서비스.
- 지능형로봇/AI: 보행패턴 분석·정량평가(SPATIO-TEMPORAL 등)와 훈련 피드백 등 지능형/로봇 융합 요소를 강조. 제품군 라인업(WALKBOT_K·S·R, ANKLEBOT)과 기능이 공시되어 있습니다.
- 고령화사회(노인복지): 뇌졸중·퇴행성 질환 등 고령층 재활 수요 증가가 핵심 수요원. 국내에선 재활로봇 ‘선별급여’ 지정 등 수가 환경 개선이 진행되어 왔습니다.
그 밖의 연관/정책 테마
- 정책수혜(건보·복지): 재활로봇 선별급여 지정(정부·건보 정책) 이슈와 맞물린 정책 수혜 기대감.
- 무상증자/주주친화(상장 후): 2025-10-24 보도·공시 기준 1:1 무상증자 결정(신주배정 기준일 2025-11-11, 상장예정 2025-12-01).
2) 회사 개요 요약
- 설립/상장: 2003-12-26 설립, 2024-07-31 코스닥 상장(기술성장기업).
- 소재지: 본점·제조설비(대전/서울/천안 등 공장·연구소 위치).
- 하는 일: 재활의료/지능형로봇(‘WALKBOT’ 라인업)의 제조·판매 및 유지보수/훈련/부품 공급.
- 자본금: 2024년 말 3,236백만원. 총발행주식수 6,471,740주(액면 500원).
3) 재무요약 (연결=해당사항 없음 → 별도 기준 / 단위: 백만원)
| 구분 | 2024 | 2023 | 2022 |
| 매출액 | 7,100 | 6,000 | 5,200 |
| 영업이익 | 1,600 | 1,300 | 2,000 |
| 당기순이익 | 2,300 | 1,400 | 1,500 |
| 부채비율(%) | 3.44 | 19.07 | 37.82 |
| 자본금 | 3,200 | 2,500 | 2,500 |
| 자본총계 | 40,000 | 7,700 | 6,100 |
4) 매출 구조 (2024, 별도 / 단위: 백만원, 괄호=비중)
사업보고서의 제품·부품·서비스 구분 합계(천원 기준 7,105,295)를 백만원으로 변환·집계.
| 구분 | 금액 | 구성비 |
| 제품(워크봇K/S/R, Anklebot 등) | 3,793 | 53.4% |
| 부품 | 1,912 | 26.9% |
| 서비스(수리·훈련·A/S 등) | 1,400 | 19.7% |
| 합계 | 7,105 | 100.0% |
- 지역: 수출 2,472(34.8%), 내수 4,633(65.2%).
5) 주요 주주/유통주식 (2024년 말 기준)
- 총발행주식수 6,471,740주 / 소액주주수 13,706명 / 소액주주 지분 37.0% → 유동주식비율 37.0%(자사주 1.3% 포함 별도).
5% 이상 주주 및 특수관계인(합산 포함)
| 구분 | 보유주식(주) | 지분율 |
| 박광훈 외 특수관계인(합산) | 1,658,280 | 25.62% |
| - 박광훈(개별) | 1,224,480 | 18.92% |
| 곽영남 | 434,380 | 6.71% |
| 패스파인더 스타트업투자조합(1) | 324,780 | 5.02% |
| 자사주 | 84,983 | 1.31% |
6) 대주주 약력(요지)
- 박광훈: 설립자/대표이사. 2003년 설립 이후 대표. 기술성장 특례상장(2024)까지 경영.
- 곽영남: CTO(기술이사)로서 로봇 R&D 총괄(이사회 구성 및 직책 변동은 임원현황 참조).
7) 상장 이력 · 자본변동 · 사명변경 · 특이 이벤트 (연혁/타임라인)
- 2024-07-31: 코스닥 기술성장기업 특례상장(공모 신주, 주식발행 30,591백만원, 상장비용 1,183백만원). 상장으로 현금성자산 대폭 증가.
- 2025-06-09: 상호변경 ‘피앤에스미캐닉스 → 피앤에스로보틱스’(보도·공시 기반 참고).
- 2025-10-24: 무상증자(1:1) 결정 공시(신주배정 11-11, 상장예정 12-01).
위 자본변동의 세부 재무효과: 상장 직후 자본총계 7,704 → 39,956백만원로 급증(주식발행초과금 증가). 부채비율 19.1% → 3.4%로 급락
지배/지분관계 상장사: 사업보고서 기준 별도 공시이며, 특정 상장사 종속/관계회사 기재 없음(투자조합 등 재무투자자는 존재).
8) 최근 5년 교차분석(핵심 포인트)
- 성장 궤적: 매출 5,215(’22) → 6,009(’23) → 7,105(’24)로 2년 연속 증가. 박리다매형이 아닌 고가 의료로봇 매출 구조로, 수출비중 34.8%.
- 수익성: ’22~’23 적자 이어졌으나 ’24에 영업흑자 전환(1,617). 금융수익 확대(공모자금 운용)로 순손실 축소.
- 재무안정성: 상장으로 현금 34,387 확보, 부채비율 3.4%. 설비투자·R&D 여력 확대.
- 정책·시장: 재활로봇 선별급여 확대로 국내 채택 장벽 완화. 고령화/재활수요 증가가 중장기 수요 견인.
- 주주정책: 2025 무상증자(1:1)로 유통주식수 확대—단기 주가 변동성·유통물량 증대 가능.
9) 자금흐름 · 메자닌/부채 이슈 점검
- 재무활동현금흐름(’24): +28,803백만원. 내용은 주식의 발행 30,591, 상장비용(1,183), 단기차입금 순감소(-540), 리스부채 지급 등. CB/BW 등 메자닌 발행 내역은 공시 본문에서 확인되지 않음(’24말 부채비율 3.4%, 금융비용 23.9백만원 수준).
- 운영/투자현금흐름: 상장 전후 설비·무형자산 투자와 공모자금 유입으로 현금 34,387까지 확대. 향후 R&D/판매망 확충의 재원.
10) 투자 체크포인트
- 시장 침투: 국내 병원·재활기관의 로봇 도입 속도(수가/예산/인력), 해외 파트너십(14개국 레퍼런스) 확장 속도.
- 제품 경쟁력: K/S/R 라인업의 임상효과·업그레이드(소프트웨어/AI 피드백·정량분석)와 A/S·훈련 서비스의 반복매출 확대.
- 정책 리스크/기회: 건보 선별급여 범위 확대/축소, 병원 투자 사이클.
- 재무: 상장으로 자본여력은 매우 높음(’24 자본총계 39,956, 부채 1,375). 다만 규모의 경제 전환(매출 확대 시 고정비 레버리지) 여부가 장기 수익성 관건.
- 주식 이벤트: 2025 무상증자(1:1)로 호가·유통주식 변화에 따른 밸류에이션 리프라이스 가능. 상호변경(브랜딩) 완료.
11) 결론 요약
- 피앤에스로보틱스는 재활의료·지능형 로봇에 집중한 순수 모노라인에 가까운 기업입니다. 2024년 영업흑자 전환, 상장으로 재무안정성 급상승, 정책(선별급여)과 고령화 수요를 핵심 모멘텀으로 보유.
- 다만 매출 절대규모가 아직 작고(’24 매출 71억), 국내 의료기관의 도입 속도·예산과 해외규제/유통 파트너 역량에 실적 변동성이 존재합니다.
- 추적 과제: (1) 2025~26년 제품·부품·서비스 매출 믹스 변화, (2) 해외 레퍼런스 확대 속도, (3) 정책·수가 업데이트, (4) 무상증자 이후 유통물량·주가 변동성 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