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니테크노, 코스닥, 241690
2000년 설립(상장 2016.09.20), 본사 부산 사하구. 가정용 ESS(모듈·셀 케이스), 전기차 배터리 셀 케이스, 자동차 전장·모터류(ABS/EPS/와이퍼/윈도우 등) 및 파워트레인 플라스틱 부품을 사출·조립하는 자동차·에너지 부품사입니다. 종속회사 3곳(중국 위해·강소 100%, 멕시코 99.99%)을 보유합니다.
1) ESS 테마와의 연관성 (및 기타 테마)
- 동사는 ESS 모듈/셀 케이스를 직접 생산·판매합니다(가정용 ESS 경험 기반). 제품 라인업에 “ESS(Energy Storage System) 모듈/셀 케이스”가 명시돼 있습니다.
- 대외 레퍼런스: 2022.02 삼성SDI와 ESS 셀케이스 납품 계약(연 60억원 수준) 보도 → ESS 밸류체인에 편입.
- 확장 테마: 전기차·전장화(배터리 셀 케이스/전장 모터부품), 북미 거점(멕시코 법인) 기반의 북미 공급망 및 밸류업 정책(자사주 소각·배당정책 강화 등) 이슈로도 엮입니다.
2) 일반적 사항·사업개요 요약
- 설립/상장: 2000.06.23 설립, 2016.09.20 코스닥 상장. 본사 부산.
- 주요 사업: ESS 모듈/셀 케이스, EV 배터리 셀 케이스, ABS/EPS 등 차량 구동·전장 모터류 및 파워트레인 플라스틱 사출부품.
- 종속회사(연결 대상): 유니기전(위해) 100%, 유니기전(강소) 100%, 유니테크노 멕시코 99.99%. 2024년 멕시코 신설·증자.
3) 연결 재무요약(백만원, 최근 3년)
| 구분 | 2024 | 2023 | 2022 |
| 매출액 | 105,100 | 101,900 | 82,400 |
| 영업이익 | 8,100 | 11,400 | 6,100 |
| 당기순이익 | 10,600 | 9,100 | 4,900 |
| 부채비율(%) | 65.78 | 66.43 | 32.91 |
| 자본금 | 12,500 | 12,500 | 12,500 |
| 자본총계 | 139,400 | 126,000 | 117,000 |
4) 매출 구조(별도기준, 2024년·사급제거 전)
- 2차전지 제품 18.2%: ESS 모듈 케이스 5.8%, 배터리 셀 케이스 10.9%, 기타 1.5%
- 친환경/내연기관 공용 63.0%(모터용 등)
- 내연기관 제품 18.8%(엔진용 등)
5) 주주 구성(2024.12.31, 보통주 24,470,706주)
| 구분 | 주식수(주) | 지분율 |
| 이좌영 | 7,884,306 | 32.22% |
| 이시은 | 3,900,000 | 15.94% |
| 이민규 | 3,900,000 | 15.94% |
| 최대주주+특수관계인 합계 | – | 64.09% |
| 유동주식비율(기타) | 8,786,400 | 35.91% |
※ 2024.01.31 자기주식 540,859주 소각으로 발행주식수 감소(25,011,565→24,470,706). 지분율 변동 반영.
6) 대주주 약력(요약)
- 이좌영 회장/대표이사(1955.08.03): 진일공업 공장장(1973~), 일신산업 대표(1979~), 삼양화학 생산부장(1982~), 대성 유니테크노 대표(1993~2000), 2000~현재 유니테크노 대표.
7) 상장 이력·자본변동·특이사항(최근 5년 타임라인)
- 2020: 본점 부산 사하구 이전(공식 연혁/IR·보도자료 다수).
- 2022.02: 삼성SDI ESS 셀케이스 공급 계약(연 60억원 수준, 다년).
- 2023.07: 불성실공시법인 지정예고(손익 30% 변동 공시 누락) → 2023.08 지정유예 처분 공시. 회사 해명 게시.
- 2023.08: 제2·3회 전환사채(CB) 200억원, 제4회 BW 100억원 발행(전환/행사가격 4,612원).
- 2024.01.31: 자기주식 540,859주 소각(발행주식수 감소).
- 2024.05~10: 멕시코 법인 신설·연속 증자(북미 거점 구축).
- 2025: 밸류업 드라이브(차등배당·ROE/PBR 목표 등) 보도.
8) 메자닌(전환사채/신주인수권부사채) 세부·자금흐름 분석
- CB: 2·3회 합계 200억원, 전환가 4,612원, 전환기간 2024.08.04~2028.07.04, 전환가능주식수 4,336,513주.
- BW: 4회 100억원, 행사가 4,612원, 행사기간 2024.08.04~2028.07.04, 행사가능주식수 2,168,256주.
- 전환/행사가 조정(리픽싱) 조건 다수 명시(정기 7개월 조정 포함). 자사주 소각 등도 조정 사유에 해당.
- 희석 가능성(단순 가정): 24,470,706주 기준
- CB 전환 시 ≈ 17.72% 희석, BW 전부 행사 시 추가 8.86%, 합계 26.58% 상당의 잠재 희석.
- (회사 공시상의 주식수·전환가능주식수에 기반한 산술)
의견: 2023년 설비투자/북미 거점 확충과 연동된 조달로 보이며(‘23~’24 멕시코 투자), 2024.01 자사주 소각은 밸류업(주주친화) 시그널로 해석 가능. 다만 리픽싱 조건이 존재하므로 주가 하락 구간에서 전환가 하향→희석 확대 리스크에 유의.
9) 상장 후 지배·지분관계 상장사
- 연결 종속은 모두 비상장 해외법인(중국 2, 멕시코 1). 직접 보유 상장 투자처는 사업보고서 기준 확인되지 않음(요약 타법인출자/종속 현황 참고).
- 거래처·산업 연계 측면의 상장사(삼성SDI 등)와의 상업적 관계는 다수 보도.
10) 최근 5년(2020~2024) 포인트 정리
- 성장 동력: EV·ESS 부품 매출 확대(배터리 셀/ESS 케이스 비중 18.2%)와 멕시코 북미 거점 신설로 수주·납품 체인 강화.
- 수익성 변동: 2023 영업이익 고점 후 2024 소폭 조정(연결 영업이익 9,545→7,011 백만원)이나 순이익은 증가(7,853→12,304 백만원). 금융비용·환효과·관계 법인요인 등을 점검 필요.
- 재무레버리지: 2022→2023에 부채 확대(설비·해외투자/메자닌 발행 시점과 대체로 맞물림), 2024 부채비율 70%대 유지(안정 구간).
- 주주환원/밸류업: 2024.01 자사주 소각(2.16%)로 주당 가치 제고, 2025 밸류업 커뮤니케이션 강화 보도.
- 공시 리스크 관리: 2023 불성실공시 지정유예 이슈 → 내부 통제·IR 보강 필요.
11) 투자 체크포인트
- 수주/고객 다변화: 삼성SDI향 ESS·EV 셀케이스 매출의 성장성과 가격결정력(원가 전가) 확인.
- 멕시코 법인 램프업: 북미 OEM/1차 협력망 진입·가동률·물류비 절감 효과가 2025~26년 실적에 반영되는 속도.
- 메자닌 희석: 전환가 4,612원 리픽싱 트리거와 주가 스텝에 따른 잠재 희석(최대 26.6% 수준 가정) 모니터링.
- 제품 믹스: 2차전지 비중 상승(18.2%)과 공용모터/내연 비중 변화가 마진에 미치는 영향.
- 밸류업 정책: 자사주·배당 정책의 지속 가능성과 지배구조 투명성(가족경영 체제) 체크.
참고사항) 대주주 이좌영, 이시은, 이민규의 관계
- 이좌영 회장은 회사 설립자이자 최대주주이며, 이시은 - 이민규는 그의 장녀와 장남입니다.
- 이시은은 장녀(1983년생)로, 회사에서 경영관리 분야를 담당하고 있고, 이민규는 차남(1986년생)으로 개발·영업 분야를 담당하며 경영수업을 받아 왔습니다.
- 2022년 9월, 이좌영 회장이 보유하던 주식 약 200만주를 이시은과 이민규에게 각각 증여함으로써 지분 승계의 신호탄을 쏘았습니다.
요약하면: 아버지(이좌영) → 자녀들(이시은, 이민규) 형태의 가족경영 체제로, 남매가 각기 다른 부문을 맡아 세대교체 및 승계를 준비하고 있는 구조입니다.
참고사항)
CB, BW 발행은 누구한테 하였는가?
이것이 대주주 지분에 보이지 않는데, 그 이유는 무엇인가?
파라투스인베스트먼트 등 재무적투자자(FI)가 유니테크노(241690)의 전환사채(CB) 및 신주인수권부사채(BW)를 인수했고, 이 때문에 대주주 지분란에 해당 사항이 나타나지 않은 이유를 함께 정리해 드립니다.
CB·BW 발행 및 인수자
- 2023년 7월 보도에 따르면, 유니테크노는 CB 150억원 + BW 100억원, 총 250억원 규모의 자금조달을 위해 파라투스인베스트먼트가 인수자로 나섰습니다.
- 구체적으로는 파라투스인베스트먼트가 이차전지·ESS 부문 전문 블라인드펀드를 통해 CB/BW 인수했으며, 이외에 한국투자증권과 브레인자산운용이 CB 50억원(한국투자증권 30억 + 브레인자산운용 20억) 인수에 참여했습니다.
- BW(4회차) 발행 공시: 100억원 규모, 무기명식 사모 BW, 행사가액 4,612원, 신주인수권 행사 가능주식수 2,168,256주(전체 주식수 대비 약 7.98%)로 공시됨.
- CB(공시): 2023년 6월 27일자로 전환사채발행결정 공시됨.
대주주 지분에 보이지 않는 이유
지분과 관련하여 CB·BW가 대주주 지분표에 나타나지 않는 주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채권 형태 인수: CB(전환사채)와 BW(신주인수권부사채)는 처음에는 채권(또는 채권+권리) 형태로 인수되며, 보통주 지분이 즉시 발생하는 것이 아닙니다.
CB는 일정 기간 이후 전환권이 행사되어야 보통주로 바뀌며, 행사 여부·시기 등이 확정되지 않은 상태이면 아직 주식수나 지분율에 반영되지 않습니다.
BW는 신주인수권이 행사되어야 새 주식이 발행되고 지분이 확대되므로, 인수 시점에는 보통주 지분으로 드러나지 않습니다.
사모 방식 및 3자배정: 해당 BW·CB가 사모 형태로, 특정 FI를 대상으로 3자배정 또는 사모발행 방식으로 조달된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대주주·특수관계인 지분으로 공시되는 것이 아니라, 채권 인수자(기관)로서 지분이 아직 전환 또는 행사되지 않은 상태입니다.
지분 변동 시점과 공시 시점의 차이: 전환사채 또는 BW 행사 시점이 향후로 설정되어 있고, 아직 행사되지 않았다면 “주식등의 대량보유상황보고서” 등에 지분 증가가 반영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대주주 기준의 구분: 대주주 및 특수관계인의 지분율 공개는 보통 보유 주식이 있고 그 지분율이 5% 이상일 경우 대상인데, 채권 인수만으로는 지분이 확보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해당 항목에 포함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