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코글로우, 코스닥, 159910 / 투자주의 (지속적자, 수차례 전환사채 발행)
2006년 OLED 소재 개발로 출발해 2016년 스킨앤스킨과 합병하며 화장품 제조로 사업을 전환, 2025년 사명을 ‘에코글로우’로 변경했습니다. 본점은 경기도 파주시(문산읍 돈유2로 14-1)이며, 연결 종속회사는 위생용품 제조사 ㈜웰가드 1곳, 관계기업으로 비상장 ㈜바이오컴플릿을 보유합니다.
1) 테마 연관성 (화장품) 및 기타 연계 테마
- 화장품(OEM/ODM, 뷰티): 주력은 뷰티사업부의 화장품 제조(OEM/ODM)이며, CGMP·ISO22716 인증을 보유한 제조 역량을 강조합니다.
- 면세점/리오프닝·중국소비·라이브커머스: 2023년 사후면세점(고양창릉점) 개관, 과거 중국 파트너사 대상 라이브커머스 시도 이력으로 면세·중국 소비 모멘텀과 연계됩니다.
- K-뷰티 정책/협·단체 이슈: K-뷰티 산업 지원·회원사 리스트에 에코글로우가 포함되어 산업 정책 수혜 논의와도 연결됩니다.
- 기타 테마(비화장품): 팬데믹기 마스크 제조/유통을 시도했으나 2021년 12월 제조 중단. 위생·마스크 테마 노출은 현재는 축소.
2) 회사 일반사항·사업개요
- 사업부문: 뷰티사업부(화장품 제조, 사후면세점) + 상품유통(커머스)
- 종속회사: ㈜웰가드(옛 더편한양주, 100% 지배) – 2022년 8월 최대주주 ㈜더편한으로부터 지분 100% 인수
- 관계기업: ㈜바이오컴플릿(비상장, 위암 진단키트) 약 12.98% 보유
- 최근 구조조정: 2023.12 패션커머스 부문 영업정지(중단사업) 결정, 화장품 중심 재편
3) 연결 재무요약(단위: 백만원)
| 구분 | 2022 | 2023 | 2024 |
| 매출 | 13,300 | 13,500 | 14,500 |
| 영업이익 | -6,300 | -6,500 | -6,300 |
| 당기순이익 | -10,100 | -9,400 | -6,100 |
| 자산총계 | 35,300 | 27,300 | 23,900 |
| 부채총계 | 7,900 | 9,200 | 11,000 |
| 자본총계 | 27,500 | 18,000 | 12,900 |
| 부채비율(%) | 28.73 | 51.11 | 85.27 |
| 자본금 | 35,400 | 3,500 | 3,600 |
4) 매출 구조(품목/채널 비중)
- 2024년: 화장품 제조 72.2%, 사후면세점 6.6%, 상품유통 21.2%
- 2023년: 패션커머스 비중 28% 수준(전년 39% → 축소), 화장품 중심으로 전환
5) 대주주 지분 및 유동주식비율(에프앤가이드 기준)
- 최대주주: ㈜더편한 29.36%(2023/12/27 기준), 자사주 0.56%, 유동주식수/비율 25,484,589주 / 61.66%.
- (참고) 2024.12.31 사업보고서 내 표시는 더편한 33.33%(연말 주식수 기준치 차이).
| 주주 | 지분율 | 최종변동일 |
| ㈜더편한 | 29.36% | 2023-12-27 |
| (자사주) | 0.56% | 2023-12-27 |
| 유동주식비율 | 61.66% | — |
6) 대주주(㈜더편한) 개요·약력
- 법인 개요: 2018.01.19 설립, 대표 권영원(100% 1인 주주), 과거 마스크 제조(현 웰가드로 분할) 이후 현재 지주성/부동산 임대 중심. 2024.12 기준 재무(별도, 미감사): 자산 44,673, 부채 20,188, 자본 24,485, 매출 347, 영업이익 -1,250, 순이익 -1,882(단위: 백만원). NICE 정보에 따르면 업종은 비주거용 건물 임대업 등으로 분류됩니다.
- 최대주주가 된 경위(배경): 2021.03 제3자배정 유증 125억원 참여로 최대주주 등극(공개매각 결과).
- 대표 약력(요지): 권영원(1960-08-20). ㈜더편한 대표이사(100% 주주) 겸 에코글로우 대표이사(2025.03.28 선임), 계열 더편한단양·웰가드·강화석모해상케이블카 등 겸임.
7) 상장 이력·사명변경·자본변동(핵심)
- 상장: 코스닥(2012.12.27) – 법인(모회사) 기준
- 사명변경: 2016 합병 후 스킨앤스킨→ 2025 에코글로우로 변경
- 자본변동: 2021년 공개매각 수반 제3자배정 유증(125억), 2021.12 추가 유증(98.5억), 2023년 주식수/자본금 변동(감자 등) 반영【】【】.
8) 2021~2022 거래정지와 해제
- 배경: 2020년 150억원 횡령 혐의 발생, 이후 공개매각 추진 및 개선기간 부여(2021.01)
- 2021년 공개매각/유증(더편한 125억원) 및 구조조정(소규모합병·신사업 중단)
- KRX 상장적격성 실질심사·벌점 부과 및 지정 이력, 2022.04.22 상장유지/거래재개 결정
→ 정지 사유는 회계·지배구조 관련 리스크 누적과 실질심사 사유 발생, 해제 사유는 경영권 안정(최대주주 교체·자금수혈) 및 개선계획 이행 등으로 판단됩니다
9) 전환사채 등 자금조달(흐름)
- 11회차 CB(2024.08.30): 발행 2,000백만원, 표면 0%/만기 6%, 전환가 1,134원, 전환주식 1,763,668주(전액 운영자금)
- 14·15회차 CB(계획/연기 보도): 2025년 6~7월 예정 CB(총 80억원) 발행 연기·인수 주체(크리스티아너티) 등 외부자금 참여 정황 보도
- 특수관계 거래·풋옵션: 더편한으로부터 웰가드 100% 취득(’22.8) 시, 매도청구권(풋옵션) 및 더편한 연대보증·담보(더편한 주식 40% 질권설정), 관련 파생상품자산/평가이익 인식
2023년 웰가드 유증 13억원에도 풋옵션 부여(대상 변경: 더편한→권영원 개인)
의미: 메자닌+특수관계 거래가 주가 희석·지배구조 리스크와 연결될 수 있으므로, 발행 조건(리픽싱/전환가), 상대방 신용(인수자·보증인), 행사 가능성·현금유출(풋옵션) 등을 면밀히 추적 필요.
10) 지난 5년 연도별 특이사항
- 2021: 공개매각/최대주주 변경(더편한, 125억 유증), 소규모합병·신사업 중단, 추가 유증(98.5억)
- 2022: ㈜웰가드(옛 더편한양주) 100% 인수 → 종속 편입
- 2023: 패션커머스 물적분할 추진→철회(주주매수청구 25억원 초과), 패션커머스 중단(영업정지) 결정
- 2024: 11회차 CB(20억) 발행, 재무구조 악화로 부채비율 상승(85%)
- 2025: 상호 에코글로우로 변경, 대표이사 권영원·송호길 체제
11) 지속 적자의 배경
- 매출 축소와 제품믹스 변화: 2022→2024 매출이 급감. 2023년 커머스 축소·2024년 제조 비중 확대 중이나 규모의 경제 미달
- 구조조정 비용·중단영업 손실: 커머스 중단·사업 재편 과정의 손실 반영(중단손실·평가손실·파생손익 변동 등)
- 재무 레버리지/자본잠식 위험 확대: 영업적자 지속 + CB 등 메자닌 발행으로 희석·금융비용·계약상 의무(풋옵션·보증)의 리스크가 동반. 2024 부채비율 84.8%
12) 지배·지분관계 상장사 여부
- 그룹 내 상장 계열사 표시에 상장 1사: ㈜스킨앤스킨으로 기재(즉, 자기회사)이며 외부 별도 상장 계열 표기는 없습니다
- 관계기업 ‘바이오컴플릿’은 비상장입니다
13) 투자 시 체크 포인트
- 영업 정상화: 화장품 OEM/ODM 수주(라인가동률), 면세점 채널의 손익분기 여부.
- 메자닌·희석/계약 리스크: 전환가·리픽싱, 추가 CB 계획(14·15회차 보도) 추적, 풋옵션/담보·보증의 현금유출 가능성
- 특수관계자 거래 투명성: 더편한·웰가드 등과의 내부거래, 옵션 약정(연대보증·담보) 공시 모니터링
- 유동주식 61.66%: 수급 변동성(블록딜/CB 전환 물량) 고려
- 과거 상장적격성 이슈 재발 방지: 내부통제·회계투명성 지표 점검(감사보고서, 지정감사 여부)
14) 상장 이후 주요 이벤트(연표)
- 2020.08: 횡령 150억 혐의 발생 → 이후 공개매각 절차 착수
- 2021.03: 더편한 125억 유증 참여로 최대주주 변경
- 2021.12: 3자배정 유증 98.5억, 신사업(이산화염소·덴탈형 마스크) 중단
- 2022.08: 더편한 양주(현 웰가드) 100% 인수
- 2023.09~11: 패션커머스 물적분할 추진→철회, 중단사업 결정
- 2024.08: 11회차 CB 20억 발행
- 2025.03: 사명 변경(에코글로우), 대표이사 변경 공시
15) 요약 결론
에코글로우는 화장품 OEM/ODM 중심으로 재편 중이며, 커머스 사업 축소·중단으로 매출 저하→적자가 이어진 상태입니다. 메자닌·특수관계 계약(풋옵션·담보·보증)이 얽혀 있어 재무 구조와 지배구조 신뢰 회복이 관건입니다. 유동주식 61.66%로 수급 변동성도 유의해야 합니다. 반면 CGMP 기반 제조 역량과 면세 채널 운용이 정상화·확대되면 손익 개선 레버리지는 존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