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페이지
  • 게시판
  • 테마정보
  • 테마별 종목

기업 분석 및 이슈

개별 기업에 대한 분석과 사회적 이슈나 뉴스

  • JSI그룹의 피라미드형 지배구조/ 위지트·파워넷·아이즈비전·머큐리·티사이언티픽·한성크린텍 사례

    작은연못 11 회 2025-11-06

  • 아이즈비전 계열 6개 상장사와 JSI 계열 비상장사의 지배구조

    1) 핵심 연결고리

    최상단 축(개인/비상장): 김상우–김문수 부자→ 비상장 제이에스아이코리아(JSI Korea) / 제이에스아이홀딩스(JSI Holdings).

    상장 축(지배 사슬):

    제이에스아이홀딩스 → 위지트(036090) → 파워넷(037030) → 아이즈비전(031310) → 머큐리(100590) 구조가 공시·기업보고서에 반복적으로 확인됩니다. 최근 보고서에는 “아이즈비전 유증에 파워넷이 참여하여 파워넷이 연결 지배기업, 위지트가 최상위 지배기업”으로 표기.

    나머지 연결고리:

    티사이언티픽(057680)의 최대주주는 위지트. 한성크린텍(066980)의 최대주주는 제이에스아이홀딩스(’25.9.24 변경).

     

    2) 상장/비상장 분류

    구분회사(티커)지배·지분 핵심 포인트주요 사업/특성
    상장                 위지트(036090)최대주주 제이에스아이홀딩스(보통주 17.62% 등, 특수관계자 합산 35.17%) / 특관: 아이즈비전, 머큐리, 김상우·김문수반도체/디스플레이 전공정 소모부품. 그룹 지배 축 역할.
    상장파워넷(037030)위지트가 최대주주(38%대). ’25.9.2 CB권리행사로 지분 확대 표기.SMPS(전원공급장치) 제조. ’19년 아이즈비전 인수 자금/거버넌스 축으로 등장.
    상장아이즈비전(031310)파워넷이 최대주주로 자리잡으며 위지트가 최상위 지배기업으로 표기. 티사이언티픽이 2대주주군(연혁/소개 자료). 종속: 머큐리                     MVNO(알뜰폰) 핵심 사업. 독립계 중 가입자 상위. 과거 국제전화→알뜰폰 전환 성공.
    상장머큐리(100590)아이즈비전이 지배(지분 50%+대). 위지트·티사이언티픽·JSI 계열 인사 연계.통신단말(AP/공유기), 광통신 자회사 보유. 통신3사향 공급.
    상장티사이언티픽(057680)최대주주: 위지트(+ 특관 JSI홀딩스 등). 2019년 아이즈비전 11.89% 취득 이력.모바일 커머스/유통, 투자 포트폴리오(디지털 자산/핀테크·신기술조합 등 과거 투자).
    상장한성크린텍(066980)최대주주 ’25.9.24 JSI홀딩스로 변경(지배구조 단순화 위한 합병 후).반도체·2차전지 플랜트 수처리 EPC. 2023년 이엔코퍼레이션 흡수합병로 상장 궤도 편입.
    비상장제이에스아이코리아최상위 투자지주격으로 지칭. 대표 김문수(김상우 부친), 실체·재무 취약 지적.투자자문/투자. 공개자료상 인원 0, 자본잠식 지적 기사.
    비상장제이에스아이홀딩스위지트·한성크린텍의 직접 최대주주. 2025년 JSI컴퍼니와 합병(지배구조 단순화).비주거용 부동산 임대 등. 그룹 ‘지분 허브’.
    (참고) 관계·투자이에셋글로벌, 이투데이, 메디프론디비티, 신기술조합 등                   아이즈비전·티사이언티픽 쪽 관계·투자선으로 과거/현재 사업보고서에 기재.미디어, 중개/신기술투자조합 등 다양한 포트폴리오.

     

    3) 지배구조도

    레벨주체관계/근거
    개인·패밀리김상우(아들) – 김문수(부)             위지트 특관 주주·이사. 가족 축으로 지배력 행사.
    비상장(최상위)제이에스아이코리아최상위 투자회사로 기사/기업정보에서 지칭, 대표 김문수.
    비상장(지분 허브)           제이에스아이홀딩스위지트의 최대주주. ’25.9 JSI컴퍼니 합병. 한성크린텍 최대주주로 변경.
    상장 1단위지트(036090)지배 포털(위→하 다리). 파워넷 최대주주, 티사이언티픽 최대주주. 특관에 아이즈비전, 머큐리 기재.
    상장 2단파워넷(037030)아이즈비전 최대주주로 부상(유증/경영참여). 결과적으로 위지트→파워넷→아이즈비전 사슬 형성.
    상장 3단아이즈비전(031310)종속에 머큐리. 보고서에 “파워넷 지배/위지트 최상위” 명시. K
    상장 4단머큐리(100590)아이즈비전이 과반 지배(최대주주). 통신단말/광통신.
    측면 편입티사이언티픽(057680)위지트가 최대주주. ’19 아이즈비전 11.89% 투자.
    측면 편입한성크린텍(066980)최대주주 JSI홀딩스로 ’25.9 변경. (JSI 라인 편입)

     

    4) 각 회사의 사업·특성·상호연관성

    • 위지트(지배 포털): 반도체/디스플레이 전공정 소모품을 만드는 실체 사업과, 파워넷·티사이언티픽 등 지배를 통한 “그룹 포털” 역할을 겸합니다. 공시는 제이에스아이홀딩스를 최대주주로, 특관에 아이즈비전/머큐리/김상우/김문수를 명시합니다.
    • 파워넷(SMPS): 위지트가 확고한 최대주주. 2019년 거래를 기점으로 아이즈비전 경영참여(지배주주化), 아이즈비전–머큐리를 전기전자–통신 하위 사슬로 편입시키는 축이 됐습니다.
    • 아이즈비전(MVNO): 알뜰폰 사업으로 턴어라운드, 독립계 중 가입자 상위. 파워넷(최대주주)–위지트(최상위)의 지배 표시가 사업보고서에 명기. 종속사 머큐리가 통신단말/광통신 하드웨어를 담당하여 서비스–장비 간 수직결합을 이룹니다.
    • 머큐리(네트워크 장비): 아이즈비전 과반 지배. 통신3사향 AP/게이트웨이 등 공급. 그룹 내부로는 MVNO(서비스)–CPE/AP(장비)의 밸류체인 시너지를 창출합니다.
    • 티사이언티픽(커머스/투자 포트폴리오): 위지트가 최대주주. 2019년 아이즈비전 지분 11.89% 취득 등 IT·디지털 금용/커머스 축을 담당. 과거 디지털자산·신기술조합 투자 이력.
    • 한성크린텍(EPC·수처리): 2023년 이엔코퍼레이션 흡수합병을 통해 상장 궤도, ’25.9 JSI홀딩스가 최대주주로 변경되어 JSI–위지트 라인과 ‘지분으로 연결’. 본 사업은 반도체·2차전지 플랜트 수처리 EPC로 그룹 내 제조/통신과는 이종 보완형 포트폴리오입니다.

     

    5) 오너 일가(가족관계) 및 지분구조

    • 김상우: 1972년생, 해태그룹 기획실 출신, 아이즈비전 각자대표(부회장)파워넷/JSI홀딩스 대표. 그룹 재편의 실질 컨트롤 타워로 보도됨.
    • 김문수: 김상우의 부친, JSI코리아 대표, 위지트 사내이사(비상근). 부자(父子)가 위지트·JSI 라인을 통해 상장사 지배 축을 형성.

    공시 기준으로 위지트의 최대주주 집단(본인+특관) 35.17%에는 JSI홀딩스·아이즈비전·머큐리·김상우·김문수가 포함됩니다.

     

    6) 타임라인(핵심 사건)

    • 2017: 위지트 최대주주가 JSI 계열로 변경(티사이언티픽 연혁에도 ‘위지트로 최대주주 변경’이 같은 해에 표기).
    • 2018: 머큐리 코스닥 상장(머큐리 기업DB).
    • 2019.1: 티사이언티픽, 아이즈비전 11.89% 취득.
    • 2019.5~6: 파워넷, 아이즈비전 지배경영 참여(이사·경영지배인 선임), 머큐리에도 파워넷/위지트 라인의 경영참여.
    • 2023.12: 위지트 공시에서 아이즈비전·머큐리가 최대주주의 특수관계인으로 재확인.
    • 2024~2025: 아이즈비전 대규모 유증에 파워넷 참여 → 파워넷이 연결 지배기업, 위지트가 최상위 지배기업으로 명시.
    • 2025.9.24: 한성크린텍 최대주주, JSI컴퍼니→JSI홀딩스로 변경(두 법인 합병으로 단순화).
    • 2025.8~9: 위지트 최대주주 JSI홀딩스의 위지트 지분 17.62%로 확대 공시.

     

    7) 지배구조 최상위(개인·법인)가 추구하는 사업 성격과 전략

    • 개인(김상우–김문수 부자): 지분 중심의 피라미드 구조(JSI코리아/JSI홀딩스 → 위지트 → 파워넷/티사이언티픽 → 아이즈비전 → 머큐리)를 통해 전자부품(전원공급)–통신장비–MVNO 서비스로 이어지는 수직·수평 결합 포트폴리오를 구축. 또한 한성크린텍(수처리 EPC)을 JSI로 흡수해 산업 인프라 영역까지 포트폴리오 확장.
    • 법인(JSI코리아/JSI홀딩스): 공시·기사상 투자·부동산 임대 성격. 상장 포트폴리오의 ‘지분 허브’ 기능으로 의사결정을 통합하는 한편, 실제 사업캐시플로우는 위지트·파워넷·아이즈비전/머큐리가 창출. (JSI코리아의 재무취약성 지적 기사 포함)

     

    8) 투자 시 체크할 ‘리스크/쟁점’

    지배구조 복잡성 & 특수관계인 의존

    특수관계인·계열 간 유증/CB/지분 이동이 지배력 변화에 직접적. 위지트–파워넷–아이즈비전 사슬 변화(예: 추가 유증·CB·합병)시 의결권·이익 귀속 변동 가능.

    최상위 비상장 법인의 재무투명성

    JSI코리아 실체·재무취약 보도. 최상위축의 안정성/자금여력은 그룹 전반 신용·거버넌스에 영향.

    MVNO(알뜰폰) 마진 구조의 규제/경쟁 민감도

    망 도매대가, 가입자 순증 둔화 등 업황 변수에 아이즈비전 실적 민감. 독립계 경쟁/사업자 M&A도 진행 중.

    통신장비 사이클 & 고객집중

    머큐리의 통신3사 매출 비중·신규 표준(WiFi7 등) 도입 속도에 실적 변동성.

    전자부품(파워넷) 수요·원가 리스크

    IT/가전·산업장비 경기와 부품 단가, 환율 변동성에 노출. (지배주주의 추가 지분 변동 공시 수시 확인 권장)

    환경플랜트(한성크린텍) 프로젝트 리스크

    EPC 특성상 프로젝트 원가·수금·지체상금 리스크, 대형 고객·반도체/2차전지 투자 사이클 민감.

     

    9) 추가로 연결된 상장/비상장

    • 아이즈비전 과거/현 관계사 열거: 이엔코퍼레이션, 이에셋글로벌, 이투데이, 메디프론디비티, 신기술투자조합(해산/편입 변동) 등이 사업보고서에 기재. 연결·관계 구분·변동 사유는 최신 사업보고서 각주 확인 권장.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