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투바이오, 코스닥, 221800
1) 테마 연관성 (코로나 진단/백신개발)
- 유투바이오의 핵심 사업은 체외진단서비스(일반/분자진단)와 진단시약(상품) 판매입니다. 2020~2022년 코로나19 진단 수요로 분자진단·관련 상품 매출이 급증했고, 2023년부터 정부정책 변화와 수요 감소로 해당 매출이 큰 폭으로 줄며 실적이 둔화됐습니다.
- → 이력이 코로나(진단키트)·코로나(진단/치료제/백신개발) 테마와 직접 연결됩니다(진단 파트).
2) 그 밖의 연관·파생 테마
- NGS/유전자검사, 개인맞춤헬스케어: NGS 기반 서비스 및 장내미생물 분석 ‘U2Biome’(성인/베베) 운영.
- CRO/임상시험 지원, 의료IT(e-CRF, LIS 연동, 모바일 앱): 임상 데이터관리·중앙검사 연계 등 헬스케어 IT 역량을 공시.
- 대리점 네트워크 기반 진단 유통: 전국 19개 대리점/1개 영업소 운영.
3) 회사 개요·사업
- 2009.01.02 설립, 본사 서울 송파. 체외진단 수탁·분자유전자 검사, 의료IT 솔루션이 주력.
- 2015.06.29 코넥스 상장 → 2023.11.02 코스닥 이전상장.
- 매출 다변화: 일반진단·분자진단 서비스, 진단시약(상품), 의료IT, 기타(CRO·U2Biome·진단키트 제품·소모품).
4) 연결 기준 재무요약 (단위: 백만원)
| 연도 | 매출액 | 영업이익 | 당기순이익 | 부채비율 | 자본금 | 자본총계 |
| 2024 | 25,040 | -3,127 | -2,840 | 30.66% | 5,644 | 34,427 |
| 2023 | 30,792 | -1,338 | 646 | 29.50% | 5,644 | 37,991 |
| 2022 | 69,013 | 15,708 | 13,160 | 50.8%* | 4,500 | 33,844 |
5) 매출 구조 (제품/서비스별 비중, 2024년 기준)
총매출 25,040 백만원 중:
- 용역(서비스) 합계 14,813 (59.2%) = 일반진단 11,472(45.8%), 분자진단 2,207(8.8%), 의료IT 1,135(4.5%)
- 상품(시약 등) 합계 7,672 (30.6%)
- 기타(CRO·U2Biome·키트·소모품) 2,555 (10.2%)
매출처 집중: 특정 A사 비중 85.8%(’24) → 고객집중 리스크 높음
수출 비중 미미(’24년 241백만원)
6) 주주구성(5% 이상 & 유동주식비율)
(기준: 2024.12.31 사업보고서)
| 구분 | 지분율 |
| (주)엔디에스 | 30.13% |
| 김진태 | 11.52% |
| 전창무 | 7.12% |
| 일동홀딩스(주) | 6.58% |
| 5% 미만 소액주주 | 44.65% (’23 말) |
대주주 약력/배경(요약)
- 엔디에스(NDS): 농심그룹 계열 IT서비스사(비상장). 최대주주 ‘메가마트’(농심 계열) 53.97%로 기재. 비즈니스는 시스템통합(SI)·유통/식품계열 IT 및 물류/데이터서비스. 그룹 내 IT중추로 알려짐.
- 일동홀딩스: 코스피 상장 지주회사(일동제약 그룹).
7) 지분·지배 관계가 있는 상장 회사
- 일동홀딩스(000230, KOSPI): 6.58% 보유.
- 엔디에스(NDS)는 비상장(농심계열). 농심·메가마트 등 그룹 계열은 상장 다수(농심홀딩스, 농심 등)이나 NDS 자체는 비상장임.
8) 상장 이력·자본변동·특이 공시(최근 5년 중심)
- 2019.04.18 제7회 CB 70억원(무보증사모, 전환가 11,200원, 만기보장 3%, 주요보유자 NDS) 발행
- 2021.07.29 제7회 CB 전환(보통주 625,000주로 전환) → NDS 지분 확대(최대주주 지위 강화)
- 2023.02.24 무상증자 3,788,265,000원(액면 500원 기준) 등 자본변동
- 2023.10.27 일반공모 유상증자 5,214,686,400원 납입
- 2023.11.02 코스닥 이전상장(코넥스→코스닥)
- 2024.12.31 기준 미상환 전환사채 ‘없음’(CB 클리어), 장기차입금 ‘없음’.
요약: 2019~2021년 CB → 2021년 전환으로 NDS 지배력 강화, 2023년 무상·유상 증자로 코스닥 이전상장 준비/재무체력 보강, 2024년 말 기준 CB·장기차입 부재의 보수적 부채 구조.
9) 2023년부터 적자 전환 이유
- 코로나 검사수요 급감 및 정부 정책 변화로 ‘코로나 관련’ 체외진단서비스·상품 매출이 급감. 일반·분자진단 비코로나 매출은 소폭 증가했으나 총량 감소 폭(’24 매출 -18.68%)이 컸고, 신규사업 인력 충원·마케팅 비용 등이 지속되며 영업적자 확대(’24 영업이익 -3,127백만원)
- 매출총이익률도 악화(총이익 8,219→5,039백만원, -38.68%)
10) 대주주 엔디에스(NDS) 상세
- 운영주체/관련 인물: 농심그룹 IT 계열사로 그룹 계열(메가마트 53.97% 등)이 지배
- 사업방식: 유통·식품·물류·IT 인프라(ERP/물류/데이터/시스템통합) 중심 SI·서비스
- 투자이유(추정·공시연계): 2019년 제7회 CB 주요 보유자 → 2021년 주식 전환으로 지분 30.13% 확보, 헬스케어/진단 및 데이터·물류 시너지(IT·플랫폼 활용) 기대. 근거: CB 조건·전환 내역
11) 전환사채/기타 부채 관련 자금 흐름
- CB 조달 → 전환: 2019년 70억원 조달(제7회) → 2021년 전환(보통주 62.5만주)로 부채→자본 전환, 재무레버리지 낮음
- 장기차입금: ’24말 없음.
- 현금흐름/배당: ’24 기말 현금성자산 16,489백만원(전년 35,290→ -18,801), 영업적자·투자·재무활동 영향. ’24 배당금 지급 339백만원(’23년 1,263백만원) 공시.
→ 부채성 조달을 최소화하고(미상환 CB/장기차입 無) 유·무상 증자와 전환으로 자본 확충해 온 구조.
12) 최근 5년 연도별 특이사항
| 연도 | 핵심 이슈 |
| 2020–2022 | 코로나 수요로 분자진단·상품 급증(’22 매출 69,013백만원·영업익 15,708백만원) |
| 2019–2021 | 제7회 CB 70억원 발행→’21 전환(주 625천주)로 NDS 지배 강화 |
| 2023 | 무상증자(2월), 일반공모 유증(10월), 코스닥 이전상장(11월) |
| 2023–2024 | 코로나 매출 급감·신규사업 비용으로 영업적자 지속, 매출총익 축소 |
| 2024 | CB·장기차입 無, 현금성자산 16,489백만원(감소), A사 매출의존 85.8% |
13) 투자 시 중요 체크포인트
- 고객집중 리스크: A사 85.8% → 거래처 변화 시 실적 변동성 큼
- 코로나 관련 매출의 구조적 축소: 비코로나 진단/IT·U2Biome로 대체 필요
- 재무보수성: ’24말 장기차입/미상환CB 없음(레버리지 낮음)
- 현금 감소 추세: ’24말 현금성자산 16,489백만원(전년 대비 -18,801백만원) → 현금흐름 점검 필요
- 생산가동/실행력: NGS 생산능력 대비 가동률 0.49%로 낮음(확대 여지 vs. 수요 리스크)
정리
- 코로나 특수 소멸 → 실적 정상화 국면.
- 부채 보수적(CB/장기차입 無)이나 고객집중·현금감소와 비코로나 성장동력(U2Biome·CRO·IT)의 실행력이 관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