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LB글로벌, 코스피, 003580 / 투자주의 (적자지속, 낮은 대주주 지분율)
1) 테마 연관성 (화장품 + 기타 연계 테마)
- 화장품(색조/향수/D2C): 동사는 미디어커머스 기반의 종합소매 업을 영위하며 색조화장품·향수 등 소비재를 자사몰 중심 D2C로 판매합니다. (마사지기·차량연료첨가제·캠핑용품 등도 병행)
- 소비재/미디어커머스/라이브·홈쇼핑: 온라인 퍼포먼스 마케팅과 자사몰 데이터 기반 판매 구조 → 화장품 테마 외에 미디어커머스/소비재 테마로도 분류 가능.
- 사업구조 개편(자원환경→소비재 집중): 2024.4 자원환경사업(골재 채취)을 물적분할해 존속회사는 B2C·D2C 중심 소비재 전문회사로 전환. 화장품(생활·미용) 비중 확대의 정방향 조치.
- 그룹테마(‘HLB 그룹주’): HLB, HLB생명과학, HLB제약, HLB테라퓨틱스 등과 동일 계열 인식(시장 관행상 ‘HLB 그룹’ 테마).
2) 회사 개요·사업 내용
- 설립/상장: 1962년 설립, 1990년 유가증권시장 상장.
- 최근 주요 사건: 2023.7 티아이코퍼레이션 흡수합병(미디어커머스 내재화), 2024년 자원환경사업 물적분할로 소비재·미디어커머스 집중.
- 사업부(연결 관점): 미디어커머스(화장품/향수 포함) 중심 종합소매. KRX 분기보고서에도 지배회사 사업부가 차량용품, 향수, 운동·마사지기기, 생활용품 등으로 기재.
3) 연결 재무요약 (최근 3년, 단위: 백만원)
| 연도 | 매출액 (백만원) | 영업이익 (백만원) | 당기순이익 | 부채비율 (%) | 자본금 |
| 2022 | 44,600 | –14,700 | –15,200 | 76.81 % | 21,200 |
| 2023 | 79,900 | –12,900 | –25,700 | 111.95 % | 21,200 |
| 2024 | 98,300 | –3,700 | –9,000 | 42.97 % | 24,400 |
4) 매출 구조(품목/서비스 비율)
주요 판매 품목군:
- 화장품/향수(색조 포함), 생활·헬스케어용품(운동·마사지기기), 차량용품, 캠핑/생활소비재 등. (자사몰 D2C 판매가 특징)
5) 대주주 지분(에프앤가이드 기준) & 유동주식비율
| 구분 | 주주명(또는 집단) | 지분율 |
|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 합산 | 진양곤 외 | 5.86% |
| 유동주식비율 | | 94.12% |
6) 대주주(진양곤) 약력 요약
- 출생/학력: 1966.01.14 부산, 원광대 법학, 연세대 경제학 석사.
- 경력: 부산은행·평화은행 근무 → 컨설팅(J&Lee Partners)·투자사(골든라이트) 설립 → HLB 인수(그룹화) 후 항암제(리보세라닙) 상용화 도전·M&A 주도.
- 최근 행보: 그룹 지분 매입·내부 자금조달·계열 CB 정리 등 밸류체인 안정화 드라이브.
7) 상장 이력 및 주요 이벤트(연표식)
- 1990.03 유가증권시장(코스피) 상장.
- 2023.07 티아이코퍼레이션 흡수합병(미디어커머스 역량 내재화).
- 2024.04 자원환경사업 물적분할(골재 채취 분리) → 존속회사 소비재·D2C 집중.
- 2024.11 에이치엘비생활건강 출자전환(62억원): 화장품 제조 자회사 재무구조 개선 성격.
- 2025.09 제35회 전환사채 30억원 발행(표면/만기 2%, 전환가 2,275원).
- 2025.09 자기 전환사채(33회) 만기 전 취득 공시. (기발행 CB 구조 정리)
과거에는(2023.10 등) 소규모 CB도 다수 발행. 최근에는 신규 소액 CB 발행 + 기발행분 조기취득을 병행해 만기부담·오버행 관리를 시도.
8) 지배·지분 관계 상장사(예시, 그룹 차원)
- HLB(028300), HLB제약(047920), HLB생명과학(067630), HLB테라퓨틱스(115450), HLB이노베이션(024850), HLB바이오스텝(278650) 등 HLB 그룹 상장사로 시장 인식. (계열사 명칭·수는 시기별로 변동)
9) “지속적 적자”의 배경
- 미디어커머스 경쟁 심화: 유사 제품 과다·소비자 선호 변동성 → 수익성 악화.
- 사업 전환기 비용: 자원환경 분할 후 소비재·브랜드 구축/마케팅비 선투입, 규모의 경제 미흡. (2024 연결 영업손실·순손실 지속)
- 메자닌(전환사채) 등 조달비용/오버행 리스크: 2023~2025년 CB 다회 발행/조기취득 내역 다수 → 이자비용·전환희석 우려가 수익성·주가 체감에 부담.
10) “대주주 지분이 작다”는 점의 해석
- 최대주주+특관 5.86%로 낮은 편. 이는 과거 상호/사업변경·M&A·증자·전환 누적으로 지분 희석이 반복된 결과로 보는 해석이 가능. 낮은 지분은 경영권 방어 부담/지배력 변동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입니다.
11) 전환사채 등 자금흐름
- 신규 발행(유입): 2025.09 제35회 30억원(운영자금) → 단기 유동성 보강. 전환가 2,275원, 전환가능주식 1,318,681주(약 2.55%). 향후 희석요인.
- 자기CB 조기취득(유출·감소): 2025.09 33회 자기전환사채 조기취득 → 이자·만기부담 축소 및 오버행 완화 목적.
- 순효과: 미니 사이즈 발행·회수 동시 진행으로 현금흐름·희석의 균형적 관리 시도. 다만 지속적 영업적자가 이어질 경우, 추가 조달 필요성은 상존.
12) 지난 5년 특이사항
- 2021~2022: 구조 전환기, 영업적자 지속(시장 데이터상 손실 축소 추세이지만 흑자 전환은 미완).
- 2023: 티아이코퍼레이션 흡수합병(미디어커머스 강화), CB 소규모 발행(자금유입).
- 2024: 자원환경 물적분할(비핵심 분리→소비재 집중), 연결 매출 983억(+23%)이나 적자 지속. 자회사(HLB생활건강) 출자전환 62억.
- 2025: 신규 CB 30억 발행과 자기CB 조기취득 병행(만기·희석 관리), 상반기 실적 부진 코멘트
13) 투자 시 체크포인트(리스크 & 모멘텀)
리스크
- 영업적자 지속성: 2024 연결도 적자. 고정비/마케팅비 구조와 전환사업의 단기 수익성 공백이 핵심.
- 희석·오버행: 반복적 CB 발행/조정 이력 → 전환가 인하(리픽싱) 가능성, 유통물량 증가 리스크.
- 브랜드 파워/재구매율: D2C 미디어커머스의 제품 수명 짧음과 경쟁 과열.
모멘텀
- 사업 포커스 전환: 골재 등 비핵심 분할 → 화장품·생활소비재 집중 전략의 체질개선 효과 가능.
- 자회사 구조조정·출자전환: 화장품 제조 자회사 재무개선 → 그룹 내 가치사슬 정비.
- 그룹 레버리지: HLB그룹 계열 협업·판로·마케팅 시너지는 잠재적 우호 요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