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LB생명과학, 코스닥, 067630/ 투자주의 (환기종목, 지속적자)
테마 연관성 요약
- 줄기세포/재생의학(확장 연관): 종속회사 HLB셀(구 라이프리버)이 체외순환형 바이오인공간(인공간)과 지혈제·세포외기질 등 재생의학 파이프라인을 보유·개발(임상 2b 승인 이력)하며, 그룹 차원에서 재생·세포치료 트랙을 유지합니다. 이 때문에 시장에서 줄기세포·재생의학 테마와 연성 연결이 형성됩니다.
- 의료기기(직접 연관): 본체와 자회사에서 체외진단용 의료기기/의약외품(주사기 등)·의료용 소재를 취급·제조/유통합니다. 2024년 매출 구성에서도 의약품 유통/메디케어/의료기기 비중이 확인됩니다.
- 그 밖의 테마/특이 연관: 과거·현재 공시/보고서 기준으로 에너지(폐기물 열에너지·태양광 EPC)와 의약품 유통 사업도 병행합니다(사업 다각화 관점의 테마 편입).
회사 개요·사업
- 1998년 설립, 2008-11-25 코스닥 상장. 현재 메디케어·의약품 유통·의료기기·바이오개발·에너지(EPC/폐기물 열) 부문을 영위.
- 2024년 매출 비중(%): 의약품 유통 67.95, 메디케어 19.22, 의료기기 8.19, 기타(계) 1.75, 건설/엔지니어링 0.98, 바이오개발 0.77(합은 표기 기준상 내부거래 제거 항목 등으로 변동 가능).
2024년 매출액(백만원)으로 환산한 구성(참고)
총매출 102,200 기준(=1,022억원×100): 의약품 유통 ≈ 69,445 / 메디케어 ≈ 19,643 / 의료기기 ≈ 8,370 / 기타 ≈ 1,788 / 건설·EPC ≈ 1,002 / 바이오개발 ≈ 787 (출처 비중을 곱한 근사치).
연결 재무요약 (단위: 백만원, 12월 결산)
| 구분 | 2022 | 2023 | 2024 |
| 매출액 | 99,600 | 98,000 | 102,200 |
| 영업이익 | -20,200 | -24,500 | -24,800 |
| 당기순이익 | -54,400 | -5,900 | 6,200 |
| 자산총계 | 411,800 | 423,500 | 539,000 |
| 부채총계 | 175,700 | 192,300 | 140,200 |
| 자본총계 | 236,100 | 231,200 | 398,800 |
| 부채비율(%) | 74.4 | 83.2 | 35.2 |
| 자본금 | 48,800 | 51,400 | 61,400 |
대주주·유동주식
- 최대주주: 에이치엘비(주) 16.98%(2024-05-09). 임원(5% 미만) 합계 2.63%, 자기주식 0.06%. 유동주식비율 약 82.97%(시장 통계 기준).
- 사업보고서에도 최대주주 HLB, 납입자본금 61,416백만원 명시.
대주주 약력(확장: ‘HLB’)
- HLB(028300)는 진양곤을 중심으로 한 바이오 지주격 회사로, Elevar(리보세라닙) 등 항암 파이프라인과 CAR-T/NK 등 신약 개발 축을 보유. 최근 수년간 FDA 허가 도전/임상 성과·리스크가 그룹 전반 밸류에 큰 영향을 미침.
상장 이력 및 최근 5년 주요 이벤트(연표)
- 2008.11.25: 코스닥 상장.
- 2021~2024: 연결 기준 4년 연속 영업손실(’21~’24), 2024년 순이익은 일시적 흑자전환 공시.
- 2023~2024: 재무구조 변화 — 단기사채 965억(’23) → 188억(’24)로 축소, 장기사채 299억 → 423억으로 재배열(만기 구조 개편 추정). 자본금 514억 → 614억으로 증가(신주발행/합병·유증 효과 반영).
- 2025.03.21: 투자주의 환기종목 지정(사유: 5사업연도 연속 영업손실).
- 2025.04~08: HLB와 합병 관련 공시 다수(합병 구조/주식교환 조건 공시, 최대주주 변경은 없다는 정정 공시 포함). 시장에서는 상장폐지(환기) 회피 vs 기업가치 제고 논쟁 병존.
- 2025.05: 티니코 지분 100억원 취득(현금 50억 + 전환사채 50억 대금 활용) 등 의료용 소재 보강.
‘지속적 적자’의 원인
- 본원 매출총이익 구조의 취약: 2022~2024년 매출총이익이 마이너스/저조(’24년 –22억원)로, 의약품 유통/메디케어 비중이 커도 마진이 낮아 판관비(연 226~238억원)를 못 이김 → 영업적자 지속.
- 금융손익 변동성: 2022~2024년 금융수익·손실이 대폭 출렁임(특히 공정가치 금융자산 평가 손익), 일회성 평가이익/손실이 순손익 변동성 확대 요인.
- R&D·신사업 대기(임상·인허가 리스크): 바이오인공간/지혈제 등 상업화 전 단계 비용이 지속 발생, 단기간 실적 기여 제한.
환기종목 지정 사유
- 한국거래소 지정사유: “5사업연도 연속 영업손실”(지정일 2025-03-21). 환기종목 현황에도 등재.
지배·지분 관계의 상장사
- 최대주주 HLB(028300) — 그룹 핵심 바이오 지주격. HLB의 최대주주등·특수관계인 내에 HLB생명과학/HLB셀 포함(상호 출자 연결).
- 같은 HLB그룹 상장 네트워크(예: HLB, HLB제약, HLB테라퓨틱스, HLB글로벌 등)와 연구·사업 시너지/지분 연결을 통해 뉴스·공시상 자주 동시 언급됩니다(이번 HLB↔HLB생명과학 합병 이슈 포함).
전환사채·기타 부채 흐름
- 만기 구조 재편: 2023년 말 단기사채 965억원 → 2024년 188억원으로 급감, 반면 장기사채 299억원 → 423억원으로 확대. 단기차입·유동성장기부채도 ’24년 증가(유동성 확보 + 만기 스트레칭).
- M&A 대금 구조: 2025년 티니코 지분 100억원 취득 시 현금 50억 + CB 50억 조합. 인수대금의 일부를 전환사채로 레버리지해 현금 유출을 분산.
- 자본 측면: 2024년 자본금 614억원(+100억원)으로 확대 — 신주발행(유증/합병) 효과가 반영되어 부채비율 35.2%까지 하락(’23: 83.2%). 재무 레버리지 축소는 긍정적이나 영업적자가 지속되면 재차 조달 필요 가능성.
투자 시 체크포인트(리스크 & 트리거)
- 환기종목 유지 리스크: 영업손실 탈피가 지연되면 상장 관련 리스크(합병 등 구조개편 포함)가 재부상.
- 저마진 포트폴리오: 유통/메디케어 비중이 커 총이익률 취약 → 판관비 흡수 실패 구조. 의료기기/바이오 고마진화 없이는 흑자 전환 난이도 높음.
- 임상/인허가 이벤트: 바이오인공간·지혈제 등 임상 성과가 실적/밸류의 핵심 트리거. 일정·결과 변동성 상존.
- 그룹 이벤트: HLB 본체의 FDA/임상 뉴스·합병 이슈가 동사 주가에 비계량적 영향(심리/밸류 체인).
기타) 2024 매출구성(비중→추정 금액, 백만원)
| 항목 | 비중(%) | 금액(≈) |
| 의약품 유통 | 67.95 | 69,445 |
| 메디케어 | 19.22 | 19,643 |
| 의료기기 | 8.19 | 8,370 |
| 기타(계) | 1.75 | 1,788 |
| 건설/엔지니어링 | 0.98 | 1,002 |
| 바이오개발 | 0.77 | 787 |
기타) 상장 이후 ‘특이 이벤트’
- 환기종목 지정(2025-03-21): 5사업연도 연속 영업손실.
- 자본구조 변화(2023→2024): 단기사채 급감·장기사채 증가·자본금 100억원 증가(신주발행/합병 영향 반영).
- M&A/지분투자(2025): 티니코 100억원 취득(현금+CB).
- HLB와의 합병 추진 공시(2025): 합병 구조·교환비 공시/정정, 최대주주 변경 없음 안내. 시장에서는 환기종목 이슈와 연동해 해석 엇갈림. K
왜 적자가 지속되나?
- 총이익률 부족(유통·메디케어 중심) + 판관비 고정성 → 구조적 영업적자.
- 금융손익·자산평가 변동성이 순이익을 좌우(일회성 이익/손실).
- 임상·인허가 전(Pre-revenue) 바이오 파이프라인으로 당분간 현금창출력 제한.
요약
- 단기: 영업적자 탈피(총이익률 제고)가 최우선. 의료기기/소재·고마진 제품 믹스 확대, 유통 부문 저마진 보완 필요.
- 중기: 바이오인공간·지혈제·항암제 등 임상/인허가 이벤트가 기업가치 방향 결정.
- 재무: 2024년 부채비율 급저하(35.2%)는 긍정적이나, 현금창출력 회복 전 재조달 가능성을 염두. CB·사채 만기 구조를 분기 보고서로 상시 점검 권고.
- 거버넌스: HLB 그룹 이벤트(FDA/합병)의 외생 변동성에 민감 — 지주(HLB) 공시/임상 뉴스 병행 모니터링 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