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페이지
  • 게시판
  • 테마정보
  • 테마별 종목

기업 분석 및 이슈

개별 기업에 대한 분석과 사회적 이슈나 뉴스

  • 대한광통신 기업분석/ 방위산업, 5G, 스마트그리드, 테마주/ 재무(**지속 적자주의, 높은 부채율), 대주주/ 25년공시 참조

    작은연못 17 회 2025-11-03

  • 대한광통신, 코스닥, 010170 / 투자주의 (지속 적자, 높은 부채율)

    기업 요약

    • 광섬유·광케이블(통신/전력용) 업체. 1974년 설립, 1994년 11월 7일 IPO(특례 아님). 본점: 경기도 안산. 대표: 설윤석·박민수.
    • 연결 종속: 美(2015), 프랑스(2022), 스페인 합작(2023) 등 해외법인 포함. 계열사 4개(상장 1, 비상장 3).
    • 최대주주: 티에프오인더스트리(지분 14.41%, 특수관계인 포함 25.96%) / 유동주식비율 74.04%.

     

    테마 연관성 (방위산업·5G 외 추가 테마)

    • 방위산업: 회사가 공시한 신규·확장 영역에 “국방” 응용을 명시(특수 광섬유/광센서 솔루션의 국방 적용).
    • 5G/통신 인프라: 광섬유/케이블은 모바일 백홀·FTTx·데이터센터/클라우드 트래픽 증대의 핵심 자산으로 수요 연계. 회사 산업설명 파트가 5G·데이터 소비 급증을 배경으로 시장성 언급.
    • 전력망(스마트그리드): OPGW 등 전력용 광케이블(전력사업)을 병행, 송배전망 투자 사이클과 연동되는 테마성. 해당 사업구조와 매출 내역이 전력/통신으로 구분 공시됨.

    (그 외 과거 확장: 의료용 광섬유 프로브(의료기기 허가), 특수광/반도체 유리 가공 등—연관 테마로 의료기기/특수소재 단기 엮임 사례 있음.)

     

    사업개요

    • 제품: 광섬유, 광케이블(통신/전력), OPGW, 특수광섬유/프로브 등.
    • 지역/사업별 매출: 회사는 통신사업/전력사업 × 수출/내수로 매출을 공시. 2024년 총매출 152,717백만원(수출 71,762, 내수 80,955). 2023년 180,263백만원, 2022년 190,109백만원.

    매출 구조(단위: 백만원, 연결)

    연도통신(합계)전력(합계)합계
    202484,96067,757152,717
    2023116,234                64,029                    180,263
    2022      136,67653,433190,109

     

    재무 요약(연결, 단위: 백만원)

    구분202420232022
    매출액152,717180,263190,109
    영업이익-29,434-25,8861,719
    당기순이익-55,288            -31,671              -4,750
    자산총계                    198,027223,240245,677
    부채총계159,808150,871141,588
    자본총계38,21972,369104,090
    부채비율(%)413.55208.56136.03
    자본금37,25637,25637,154

     

    주주구성·유동주식

    • 5% 이상+특수관계인 합계: 25.96% (티에프오인더스트리 외 3인).
    • 유동주식비율: 74.04%.
    • 5% 이상 주주(기준일 2024-12-31)

    티에프오인더스트리(주) 14.41%(최대주주).

    대주주(티에프오인더스트리) 약력/개요

    • 사업: 동관·중공봉 제조, 부동산 임대 등.
    • 재무(최근 결산): 자산 8,069, 부채 6,808, 자본 1,261, 매출 4,746, 영업이익 -134, 당기순이익 -9,813 (단위: 백만원).
    • 지배: 설윤석·설윤성 각 50% 지분.
    • 겸직: 박민수(대한광통신 대표)가 티에프오인더스트리 대표 겸임.L39-L44

    주요 경영진 약력(요지)

    • 설윤석 대표: 前 대한전선 사장, 연세대 경영
    • 박민수 대표: 前 LX하우시스 사업부장, 고려대 사학. 2024-10-21 대표이사 선임 등기 2024-11-04

     

    지배·출자 및 상장 계열

    • 계열회사 수: 상장 1(자사), 비상장 3. 회사가 공시한 범위 내 상장 계열사는 자사 외 없음.

     

    상장 이력 및 주요 이벤트(최근 5+년, 연표)

    • 1994-11-07: 코스닥 상장(일반상장).
    • 2018: 주주배정 실권주 일반공모 유상증자(76,300백만원), 광섬유 공장 증축.
    • 2022: 프랑스 법인 설립. 신용등급: BB(부정적) 평정.
    • 2023: 스페인 합작법인 설립. 등급 BBB- (긍정적)로 상향.
    • 2023-11-07: 제10회 전환사채(CB) 발행(보고서에 현재잔액 공시·파생상품 평가항목 반영). 9회 CB는 2024년에 소멸(조기상환/만기상환) 흔적.
    • 2024-03-29: 정기주총—박민수 사내이사 신규 선임, 오치환 사외이사 신규. 같은 해 10월 설윤석·박민수 각 대표이사 체제 전환.
    • 2024: 부채비율 413.55%로 급등(자본 축소+부채 유지).
    • 2025-01-15: 신주인수권증서 상장(유상증자 권리부).→ 2025년 초 유증 진행 이벤트 확인.
    • 2024-12-24: 신용등급: BB+ (안정적)로 재조정.

     

    “지속적 적자·자본 축소·고부채”의 원인 분석

    1. 매출 감소(특히 수출 급감): 2024년 매출 152,717백만원(전년대비 -15%)—수출이 109,607→71,762백만원으로 크게 감소.
    2. 해외 자회사 손실: 미국/프랑스 법인 대여금 전액 대손충당 설정, 미국법인 자본잠식(예: 자본총계 -5,136,715천원, 당기순손실 -6,354,326천원 등) 등 연결손실 가중.
    3. 전환사채 관련 파생평가 손실: 2024년 파생상품부채 평가손실 935,309천원 인식(상쇄되는 자산평가이익 398,096천원). 전환권/리픽싱 구조가 손익 변동성 확대.
    4. 금융비용 부담 & 자본총계 감소: 영업적자·순손실이 누적되며 이익잉여금이 마이너스 확대 → 2023년 72,369 → 2024년 38,219로 급감. 부채는 큰 폭 유지(150,871→159,808). 결과적으로 부채비율 413.55%.

     

    전환사채·기타 자금흐름

    • 제10회 CB(2023.11 발행) 유지 중. 2024년에 제9회 CB 소멸(표시). 파생평가손익 인식으로 손익 변동성↑.
    • 2025년 초 유상증자(권리부) 진행: 신주인수권증서 상장(2025-01-15)로 확인—자본 확충 목적.

     

    대주주 변경 이력

    • 사업보고서의 대상기간 동안 최대주주 변동 없음으로 공시. 다만 2024년 대표이사 체제 변경(설윤석 공동대표 + 박민수 대표 선임).

     

    투자 시 추가로 고려할 사항

    1. 수출 회복·제품 믹스: 2024년 수출 급감이 실적을 크게 훼손—2025년 수출/전력망 발주(국내외 OPGW) 회복 추세 확인 필요. 매출 구조가 통신>전력에서 전력 비중 상승 중(24년 44%)—마진 구조 차이 체크.
    2. 해외법인 리스크: 미국/프랑스 법인의 대여금 대손충당 및 누적 손실이 연결에 부담. 추가 손상/정리 계획 모니터링.
    3. 재무안정성: 부채비율 413.55% → 유증/CB 구조와 차입구조 재편으로 자본 확충 필요. 2025년 유증 후 부채비율/순자본 추이 점검 필수.
    4. 파생·전환권 조건: CB 리픽싱/전환가 조정이 주식수 희석과 평가손익을 동시에 야기—조건·잔액·행사가 미치는 EPS/희석률 민감도 분석 필요(보고서엔 파생평가손익 수치 존재).
    5. 지배구조/겸직: 박민수 대표가 모회사(티에프오인더스트리) 대표 겸임—거래·의사결정 독립성, 내부통제 절차 점검.
    6. 신용등급 추이: 2022년 BB(부정적) → 2023년 BBB-(긍정적) → 2024년 BB+(안정적) 재하향—자금조달 비용·조건에 영향.

     

    기타

    • 2024년 수출 부진해외법인 손실, CB 파생평가 손실이 겹치며 적자 지속·자본축소·부채비율 급등. 2025년 유상증자로 자본 보강 시나리오가 전개되는 만큼, 이후 수출 회복/프로덕트 믹스/OPGW 발주 흐름이 실적 턴어라운드의 핵심 체크포인트. 파생상품·전환가 조정에 따른 희석 리스크모회사 겸직 구조에 따른 내부통제·거래 공정성도 병행 점검을 권고.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