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페이지
  • 게시판
  • 테마정보
  • 테마별 종목

기업 분석 및 이슈

개별 기업에 대한 분석과 사회적 이슈나 뉴스

  • 세동 기업분석/ 자동차부품(운송장비) 업종/ 재무(** 부채비율 높음 주의), 대주주/ 25년공시 참조

    작은연못 38 회 2025-10-30

  • 세동, 코스닥, 053060

    개요·테마 연관성

    • 업종/테마: 자동차 외장·차체용 부품(도어벨트, 웨더스트립, 몰딩 등)을 생산하는 자동차부품(운송장비) 기업으로, 완성차 생산/수출 사이클, 환율 등에 민감합니다. 세동을 “자동차용 외장부품을 개발·생산하여 현대/기아차 등 글로벌 완성차 업체에 공급”하는 회사로 분류합니다.
    • 다른 테마 연결 가능성: 전기차·하이브리드 확대는 차체 외장부품 수요(경량화/내식·코팅 기술) 측면의 구조적 수혜 요인으로 거론됩니다(ETF 코팅, PVD 증착 도어벨트, 알루미늄 롤포밍 등 신기술 추진).

    회사 일반사항·사업개요

    • 설립/상장: 1986년 설립, 2001-08-10 코스닥 상장. 특례상장 아님. 최근 5년 간 최대주주 변동 없음(아래 “특이사항” 참조).
    • 연결 범위: 국내 본사 + 브라질 자회사 SDB 1개사. 연결대상은 최근 3년 모두 동일(1개사).
    • 사업 내용: 자동차용 도어벨트, 몰딩류, 웨더스트립(벨트라인/썬루프/사이드 등) 중심. (아래 매출구조 참조)

    최근 3년 연결 재무요약 (단위: 백만원, 연결)

    연도매출영업이익     당기순이익     부채비율*     자본금     자본총계
    2024     171,088      10,712-1,152209.5%8,82935,101
    2023169,89512,5559,802215.0%8,82937,424
    2022156,05112,72612,370285.0%8,73028,480

    매출구조(제품 비중, 연결)

    2024년(제39기) 제품별 매출/비중

    • 도어벨트: 67,852 (39.67%)
    • 몰딩류: 16,960 (9.92%)
    • 웨더스트립(벨트라인): 28,732 (16.79%)
    • 웨더스트립(썬루프): 25,449 (14.87%)
    • 웨더스트립(사이드): 31,862 (18.62%)
    • 합계: 171,088 (100%)

    (2023년 합계 169,895, 2022년 합계 166,379)

    대주주 현황(지분율) 및 유동주식비율

    기준일: 2024-12-31 (2024년 사업보고서)

    5% 이상 주주:

    윤정상 12.51% (2,209,779주) – 대표이사/최대주주

    5% 미만 주요 주주(발췌): 유미라 2.57%, 김중규 1.95%, 박영애 1.79%, 박은미 1.20% 등

    소액주주(유동주식) 비율: 36.84% (6,500,087주)

    (참고: 2024-10-31 기준 동일 수치로 공시)

    대주주 약력(요약)

    • 윤정상: 대표이사(이사회 의장), 최대주주.
    • 창업주와의 관계: 사업보고서 상 윤정상 및 박영애 등은 ‘특수관계인’으로 분류되나, 구체적 친족관계(모자/부부 등) 표기는 없음.

    지배·지분관계 있는 상장회사

    • 계열회사 현황: 상장 1개(세동), 비상장 1개(SDB, 브라질). 세동 외 연결 계열 상장사는 없음.

    상장 이력 및 주요 이벤트(연표)

    • 2001-08-10: 코스닥 상장.
    • 2020-12-08: 무상감자 50%(자본 재정비).
    • 2021-07-17: 유상증자(보통주 4,815,000주 발행).
    • 2022-03-22: 중국 북경세진기차영부건유한공사 종속 → 공동기업 전환(지분 50% 무상 양도), 이후 중단영업·종속기업처분이익 인식.
    • 2023: 전기(2022) 비교재무제표 재작성(특수관계자 선급금의 대여금 재분류 및 비용 계정 수정).
    • 2024: 전환사채 잔액 2억원 만기상환(잔액 소멸)로 공시.
    • 최근 5년 최대주주 변동: 변동 없음(사업보고서 기재).
    • (참고 뉴스) 2024-07-04 북경 합자법인 관련 지분 변동 이슈(링윈 측 50% 추가 취득) 보도. 세부 수치 확인 시 원문 공시 병행 권장.

    “21년 이후 흑자 전환” vs “여전히 높은 부채비율”의 이유 분석

    흑자 전환 배경(요인):

    1. 물량·제품 믹스 개선과 판관비 효율화 → 2022~2023년 영업이익 127억/126억 수준 유지.
    2. 중단영업·지분변동 효과 → 2022년 중단영업이익 36.26억 포함, 연결 순이익 1,236.96억으로 확대.
    3. 재작성(정정)으로 비용계정 정리 → 수익성 왜곡 요소 일부 해소.

    부채비율이 높은 이유(2024년 209.5%, 2023년 215.0%, 2022년 285.0%):

    • 자본규모 대비 차입 의존도: 2024년 자본총계 35,101에 비해 총자산 108,644 → 부채총계 약 73,543로 레버리지 높음. (재무상태표)
    • 운전자본 부담 확대: 2024년 유동부채 62,083으로 증가, 단기성 조달 비중이 큼.
    • 금융원가·기타손실 부담: 2024년 금융원가 2,667, 기타손실 10,883 발생 → 영업흑자에도 순손실(-1,152)로 전환.
    • 해외/합작 관련 변동성: 2022년 종속→공동기업 전환, 환산 관련 기타포괄손익 변동 등 자본 변동성 요인 존재.

    정리: 영업은 안정적 흑자(’22~’24 평균 영업이익 117~128억)이나, 운전자본성 부채·기타손실·금융비용이 순이익과 레버리지에 부담. 2024년은 특히 기타손실(약 109억)이 순손실의 직접 요인입니다.

    투자 시 체크포인트

    1. 레버리지 축소 속도: 2024년 유동부채 확대와 금융원가·기타손실 재발 방지 여부. (부채·기타손실/금융원가 추세 모니터)
    2. 고객 집중도: 2024년 상위 3대 고객 합계 138,564(매출의 대다수)—OEM 납품 구조상 가격·물량 협상력 이슈가 존재.
    3. 제품 믹스/신규기술 상용화: PVD 증착·삼중압출 등 신기술의 채택 확산과 단가/수익성 개선 여부.
    4. 해외 법인/합작 영향: 과거 JV 전환·중단영업 등 사례처럼 연결 범위 변화가 손익·자본에 미치는 영향 주의.
    5. 주식 관련 이벤트 과거 이력(감자·유증·CB 상환 등)은 재무구조·주가 변동성에 영향—향후 추가 자본조달 필요성 점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