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페이지
  • 게시판
  • 테마정보
  • 테마별 종목

기업 분석 및 이슈

개별 기업에 대한 분석과 사회적 이슈나 뉴스

  • 율호 기업분석/ IT 서비스 업종/ 재무(**적자 지속, 높은 부채율)/ 대주주/ 25년공시 참조

    작은연못 42 회 2025-10-30

  • 율호, 코스닥, 072770 /투자주의 (적자, 부채율, 리픽싱 가능한 CB존재)

    • 상장: 2007-07-25 코스닥 상장(구 사명 ‘네오디안테크놀로지’ → 2020-04-24 ‘율호’로 상호변경).

     

    1) 업종/테마 연관성

    • IT 서비스(SI/플랫폼): 율호는 임베디드/플랫폼 기반 SI 및 운영·유지보수(O&M) 성격의 용역 매출 비중이 80% 내외로 큰 회사입니다. 즉, 프로젝트성 SI와 운영성 서비스가 매출의 중심이어서 IT서비스/시스템통합 테마와 직접적으로 연결됩니다. 2024년 매출 구성: 제품 19.28%, 용역 80.72%.

    기타 엮이는 가능 테마

    • 폐기물/자원순환·2차전지 리사이클링: 종속회사 ‘율호머트리얼즈(주)’(지분 100%)가 “비철금속 제조/중간재”를 통해 배터리 재활용·비철소재 영역에 연동될 수 있고, ‘에코랜드(주)’(51%)는 폐기물 처리업을 영위합니다. 이는 환경·자원순환·비철/2차전지 서브테마와의 연결 고리입니다.
    • 해외 비철 제련(탄자니아): ‘율호아프리카(주)’(100%)가 탄자니아(은자키 등)에 비철 제련·중간재 사업을 추진하는 구조여서 해외자원개발/비철금속 뉴스와 엮일 여지가 있습니다.

     

    2) 회사 개요와 사업

    • 1998-03-03 설립, 2007-07-25 코스닥 상장. 본점: 서울 서초구. 사업보고서 제출일 기준 대표이사 이정남·최용인.
    • 연결 종속회사(요약): 비상장 6개 내외(율호머트리얼즈, 율호아프리카, 에코랜드 등).

     

    3) 연결 기준 재무요약 (최근 3년, 단위: 백만원)

    연도    매출액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부채비율(%)           자본금자본총계
    2022109,6003,200-100113.1527,600           57,800
    202390,000-2,000-9,100100.9634,60073,000
    2024130,100-2,800-14,900146.3435,10058,700

     

    4) 매출 구조(제품/용역 비중, 단위: 백만원/%)

    연도제품 매출         비중용역 매출           비중
    202231,09025.80%89,29774.20%
    2023        24,96725.93%         71,33574.07%
    202421,07219.28%88,31780.72%

    출처: 사업의 내용 – 매출구성 표.

     

    5) 주주/지배구조(2024-12-31 기준)

    • 5% 이상 주주: (주)이엔플러스 12.38% (8,694,873주).
    • 소액주주 현황: 소액주주 6,658명, 소액주식수 44,137,611주 → 유동주식비율 62.84%.
    • 발행주식 총수(의결권주): 70,238,244주.

    2025년 3월에는 최대주주가 케이씨비그룹(KCB그룹)으로 변경되었습니다(사업보고서 기준일 이후 이벤트).

     

    6) 대주주(최대주주) 약력·변동(상세)

    (A) 2023-11-23 최대주주 변경 → 이엔플러스 12.38%

    • 변경 사유: 제3자배정 유상증자 신주배정으로 최대주주가 (주)이엔플러스로 변경.
    • (주)이엔플러스 재무현황(참고): 자산 172,159, 부채 92,817, 자본 79,342(백만원).

    (B) 2025-03 케이씨비그룹(KCB그룹)으로 최대주주 변경

    • 거래 구조: 이엔플러스가 보유하던 율호 지분 6.39%(4,484,873주)를 케이씨비그룹장외 양도 → KCB그룹이 7.12%로 최대주주 등재.
    • 후속 정관/이사회 변화: 2025-03-27 임시주총에서 변석재 KCB그룹 부회장 및 임원 3인 사내이사 선임 등 경영진 교체(의안 가결).
    • KCB그룹은 누구?: 자체 소개에 따르면 투자·M&A 중심의 투자그룹(자체 프로젝트와 투자자 연결, 딜 소싱/실사/거래종결 일괄 수행).

    요약

    2023-11-23: 유증 배정으로 이엔플러스가 최대주주(12.38%) → 2025-03: KCB그룹(7.12%)로 변경, 이사회 교체.

     

    7) 상장 이력/특이 이벤트(연혁성)

    • 상장: 2007-07-25 코스닥(일반 상장, 특례상장 아님).
    • 사명 변경: 2020-04-24 ‘율호’로 변경.
    • CB(전환사채) 발행: 8회·10회·11회차 CB 발행 이력(발행·신고/정정일자: 2023-02-22, 2023-11-17, 2024-12-06 등).

    (리픽싱·잔액 등 세부조건은 각 회차별 증권신고서/정정신고서 참고 필요)

     

    8) 2025년 5월 ‘연속 하한가’의 배경(정리)

    주요 촉발 요인(시장 해석)

    1. 최대주주 변경 및 경영진 교체 불확실성(3월 임시주총 이후),
    2. 과거부터 누적된 CB 오버행(향후 전환물량/리픽싱 가능성),
    3. 특정 커뮤니티/개인방송을 통한 투자심리 급랭이 맞물리며 5월 중 순차적 급락.
    • 2025-05-19: 하한가 기록 보도.
    • 2025-05-20: 이틀 연속 하한가 보도.
    • 2025-05-21: 커뮤니티·동영상 매체에서 오버행/지배구조 리스크 지적이 확산.
    • 2025-05-27: 분석 기사 “최대주주 7.12%, CB 오버행, 지배구조/재무 리스크” 지적.

    요약: 대주주 변경(지배구조 변화) + 전환사채 오버행 리스크 + 연속적 적자가 겹치며 수급이 급격히 악화된 국면으로 해석됩니다.

     

    9) 2023~2024 연속 적자 & 부채비율이 높은 이유(해석)

    • 실적 측면: 2023/2024 모두 영업손실·순손실. 2024년 용역 비중 80.7%라는 사업 구조상, 인건비·외주비 등 고정·반변동비 부담이 커지고, 프로젝트 매출 변동 시 영업레버리지 역효과가 크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매출 회복에도 영업적자 지속).
    • 재무 구조: 2022~2024 부채비율 높은 편. 운전자본(매출채권·재고) 및 차입/사채(CB) 활용이 지속되며 레버리지 부담이 누적. 2024말 자본총계는 증자·평가요인 등으로 개선(51,049백만원)됐으나, 사채(8/10/11회차)와 향후 전환·리픽싱 가능성이 상존하는 구조가 투자심리에 부담.

     

    10) 대주주 케이씨비그룹(KCB Group) 개요

    • 운영 주체/사업 방식: KCB그룹은 자체적으로 딜 소싱→실사→거래종결(클로징)까지 수행하는 투자·M&A 그룹으로 소개. 투자자와 프로젝트를 연결하며 구조화(Structure) 역량을 내세움.
    • 관련 인물: 2025-03-27 임시주총에서 변석재 부회장 등이 율호 사내이사로 선임.
    • 투자 이유(추정): 최대주주로 등극(7.12%)하며 경영 참여를 본격화—IT서비스 기반 + 자원·환경 자회사 포트폴리오의 턴어라운드/구조개편 가치에 베팅한 재무적·전략적 판단으로 해석(공개 코멘트는 제한적).

     

    11) 지분·지배 및 상장사 연계

    • (국내 상장사 연계) 이엔플러스(코스닥 074610): 2023-11-23 율호 최대주주로 등극(유증 배정) → 2025-03 KCB그룹에 일부 지분 양도로 최대주주 지위 이탈.
    • (그 외) 종속사들은 비상장. 해외 파트너/벤더는 있으나 국내 타 상장사 지배관계는 사업보고서상 직접적 기재 없음(기준일 현재).

     

    12) 사채(채권)·재무 관련 특이사항(요약)

    • 전환사채(CB): 8·10·11회차 발행 이력(2023.02.22 / 2023.11.17 / 2024.12.06 신고·정정). 전환가·리픽싱 조건·잔액 등은 각 회차 증권신고서 확인 필요하나, 오버행 리스크는 시장에서 지속적으로 지적.
    • 자본금 변동: 2021~2024 사이 증자 등으로 발행주식수 증가(36.7백만주 → 70.2백만주).

     

    13) 최근 5년(요청 기간 인접) 주요 이슈 연표

    시점사건/이슈해석(재무·지배·수급 영향)
    2020-04사명 변경(율호)브랜드 재정비. 본업은 IT 서비스 중심 유지.
    2021~24          증자·CB 등으로 발행주식수 증가유동성 확대 vs 희석/오버행. 자본확충 통한 사업·운전자본 대응.
    2022~243개년 연속 순손실, 부채비율 고위운영·외주비 부담, 수주변동/원가구조 탓 영업레버리지 역효과. CB/차입 구조 부담.
    2023-11최대주주 이엔플러스로 변경(유증)자본정비·사업시너지 기대 vs 지배구조 불확실성.
    2025-03최대주주 KCB그룹(7.12%)로 변경, 이사회 교체                           경영전략 재편 기대 vs 변경 초기의 불확실성 확대.
    2025-05연속 하한가지배구조 변화+CB 오버행+적자 지속 → 급격한 투자심리 위축.

     

    14) 투자 시 체크포인트(리스크 & 모니터링 항목)

    1. 오버행/희석 리스크: 잔여 CB(8/10/11회) 전환·리픽싱·만기 구조 확인(공시별 세부조건).
    2. 수익성 회복 경로: 용역 중심 구조에서 마진율(인건비/외주비) 개선과 제품·플랫폼화(고마진 영역 확대) 진행 여부. 매출총이익률/수주잔고 추이 점검.
    3. 지배구조 안정화: KCB그룹 체제에서의 중장기 로드맵(재무개선·사업재편·지분 정책) 공개 여부(유증/자사주·소각/전환물량 관리 등).
    4. 재무 레버리지: 부채비율 하향(>160%) 로드맵, 운전자본·차입 구조(금리/만기) 관리.
    5. 종속사 가치/시너지: 율호머트리얼즈(비철·배터리 재활용), 에코랜드(폐기물) 등 자원순환 포트폴리오의 사업화 속도—IT서비스 본업과의 결합전략(데이터·운영 최적화) 가시화.

     

    기타 요약) “2025년 5월 연속 하한가” 당시 무슨 일이?

    • 최대주주 교체 직후 경영진 변화CB 오버행 우려가 결합, 투자심리가 급랭.
    • 5-19(하한가)·5-20(이틀연속 하한가) 보도와 함께 커뮤니티/영상 채널에서 지배·재무 리스크 해설이 확산.
    • 5-27 보도는 최대주주 지분 7.12% 수준과 CB 오버행을 핵심 리스크로 지적.

     

    기타 주의 사항

    • 8/10/11회차 CB의 전환가/리픽싱 하한/잔액/만기(오버행)
    • KCB그룹 체제의 12개월 로드맵(재무구조 개선책, 지분정책, 자회사 정리/확대)
    • 수주잔고/수익성 지표(매출총이익률, 용역 단가/스태핑 구조, 외주비율)
    • 종속사(자원·폐기물)의 사업화 성과(현금창출력)와 본업 IT서비스와의 시너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