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첨단소재, 코스닥, 051980 /투자주의 (지속 적자)
테마 연관성
- 리튬 테마 연관성: 동사는 2023년부터 2차전지 리튬염(예: LiPF6) 유통/제조 체인에 진입. 엔켐과 합작법인 EDL(이디엘)을 설립해 새만금 리튬염 공장을 추진 중(1공장 가동 목표 표기)으로 리튬 소재 밸류체인(원소재→전해액)과 직접 연결됨.
- 다른 테마/뉴스 연동: 통신장비·전기전자 본업 영향으로 통신설비/네트워크 설비 수요 이슈와도 엮이고, 리튬 테마 시세변동 시 관련주로 묶여 움직임이 관찰됨.
회사 개요·사업
- 주요 사업: 통신기기·장비, PVC 건축자재, 분양대행 + (신규) 2차전지 리튬염 유통/제조. 2023년 2차전지 소재 유통 시작.
- 상장 이력: 2001.07.31 코스닥 상장(일반 상장). 2023.08 ‘중앙디앤엠’→‘중앙첨단소재’로 사명 변경(2차전지 신사업 강화 목적). 2017년에는 (구)중앙리빙샤시 흡수합병으로 PVC/건자재 제조 영위.
연결 재무요약(단위: 백만원)
| 구분 | 2022 | 2023 | 2024 |
| 매출액 | 26,600 | 26,300 | 18,691 |
| 영업이익 | -5,100 | 46 | -7,798 |
| 당기순이익 | -18,300 | -48,424 | -77,191 |
| 부채비율(%) | 65.1 | 105.6 | 28.8 |
| 자본금 | 18,600 | 39,500 | 50,600 |
| 자본총계 | 21,100 | 63,500 | 96,700 |
매출 구조(가장 최근 공시 기준)
2025.1Q 분기보고서 ‘매출액의 구성’
통신기기 사업부문(원재료·전자부품·통신장비 등): 2,298 (백만원) 87.18%
소재 사업부문(상품·리튬염·2차전지 소재): 0 (백만원) 0.00%
합계: 2,636 (백만원) 100%
→ 최근까지 리튬 소재 매출 인식은 미미하며, 본업(통신기기/장비) 비중이 절대적. (연간 2024도 유사한 흐름이었음을 시사)
대주주 지분(5% 이상 + 특수관계 포함)
| 구분(기준일) | 지분율 |
| 광무(외 2인: 엔켐·아틀라스팔천) | 28.99% |
| 유동주식비율(추정) | 71.01% |
대주주 약력/성격
- 광무(029480, 코스닥): 1972년 설립, 1996년 상장. 네트워크/SI와 더불어 이차전지 소재·화학제품 유통/제조로 사업 확장. 2025년 4월 중앙첨단소재 구주를 아틀라스팔천으로부터 매입하며 최대주주 지위 확보.
- 엔켐(247540, 코스닥): 2차전지 전해액 전문사, 글로벌 생산기지 보유. 대표 오정강. 중앙첨단소재와 JV EDL을 통해 리튬염→전해액 수직계열화 추진.
- 아틀라스팔천(비상장, 오정강 개인회사): 과거 광무·중앙첨단소재 최대주주. 2025년 4월 광무에 중앙첨단소재 지분을 매각했고, 현재는 광무·엔켐과 의결권 공동행사 약정(3자 합산 27~29%대)으로 동행 주주 성격.
상장 이후 주요 이벤트(최근 5년, 연혁·공시 정리)
- 2021~2022: (본업) 통신장비·네트워크 사업 지속.
- 2023.03~08: 정관에 2차전지 소재 사업 추가, 엔켐과 JV EDL 설립, 사명 변경(중앙디앤엠→중앙첨단소재).
- 2024: 연결기준 대규모 순손실(–77,191 백만원); 파생상품손실·기타금융원가 등 금융비용 급증과 종속기업 관련 손익 악화가 주 요인.
- 2024~2025: 제3자배정 유상증자 등 자금조달 공시 이력 존재(세부내역은 KIND 공시 참조).
- 2025.04: 최대주주 변경—아틀라스팔천→광무(아틀라스팔천 보유 구주 4,658,386주를 광무가 주당 3,220원에 인수). 이후 광무·엔켐·아틀라스팔천 간 의결권 공동행사로 지배력 결속.
2023~2024 적자 확대 원인 분석
영업 외 비용 급증
금융원가: 2023 92,424 백만원, 2024 71,477 백만원(기타금융원가·파생상품손실 등) → 순손실의 핵심.
파생상품손실·기타금융손실 및 종속기업 관련 손상/손익(투자주식손상 등) 반영. 표에 파생상품손실(’23: 34,664 백만원, ’24: 20,384 백만원), 기타금융원가(’23: 89,141 백만원, ’24: 61,337 백만원) 등 항목이 확인됨.
매출 감소 & 비용 증가
매출이 2023→2024에 26,300→18,700 백만원으로 축소, 판관비는 101→129 억원(10,100→12,900 백만원)로 증가(R&D 3,000 백만원 수준) → 영업손실 확대.
리튬 사업 ‘전환기’
EDL 공장 가동 전 단계로, 리튬염 매출 인식 미미. 비용 선행·재무비용과 비경상 손실이 결과적으로 순손실 심화로 연결.
지배·지분관계 있는 상장사
- 광무(029480): 현 최대주주.
- 엔켐(247540): JV 파트너, 의결권 공동행사 주체.
- (연관 뉴스) 협진(052300)이 광무 지배구조 개편 과정에서 역할. 이니텍(053350) 인수 과정에 엔켐·중앙첨단소재가 구주/유증 참여로 연결고리 형성.
투자 시 핵심 체크포인트
- 리튬염 공장(EDL) 상업가동 타이밍 & 원가경쟁력: 가동 시점, 캐파, 원재료(리튬염화물/불화물) 조달, 품질·수율·친환경 공정.
- 재무구조 개선 경로: 파생상품·기타금융손실 재발 가능성, 이자비용·차입 구조, 종속·관계 기업 손상 리스크 모니터링. 2024년 부채비율은 28.8%로 낮아졌지만 대규모 비경상 손실 재발 방지 여부 중요.
- 본업 매출 공백 메우기: 2025.1Q 기준 리튬 매출 0% → 리튬 매출 인식 전까지 통신기기/장비 매출 안정성·수익성 관리 필수.
- 지배구조 변화 추적: 2025년 최대주주 변경 후 3자 공동행사 체계—향후 추가 지분 이동/자금조달/내부거래 등 거버넌스 이슈 점검.
- 테마 변동성: 리튬 가격/전해액 소재 사이클에 따른 주가 변동성 리스크.
요약/ 연도별 포인트(최근 5년)
- 2021~2022: 본업 유지, 재무비용 부담 확대 신호(’22 순손실).
- 2023: 2차전지 리튬염 유통 시작·EDL 설립, 사명 변경. 순손실 대폭 확대(금융원가 중심).
- 2024: 매출 둔화 + 판관비 증가 + 금융비용/파생손실로 대규모 순손실.
- 2025: 최대주주 변경(광무), 3자 공동 의결권 행사로 계열 결속. 리튬 매출 인식 전환 대기국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