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페이지
  • 게시판
  • 테마정보
  • 테마별 종목

기업 분석 및 이슈

개별 기업에 대한 분석과 사회적 이슈나 뉴스

  • 동일스틸럭스 기업분석/ 조선, 철강중소형 테마주/ 재무(**지속적자 주의, 높은 부채율), 관련기업(화인베스틸)/ 25년공시 참조

    작은연못 36 회 2025-10-23

  • 동일스틸럭스, 코스닥, 023790/ 투자주의 (지속적자, 높은 부채율)

    1) 테마 연관성 (조선, 철강중소형) 및 기타 테마

    • 철강중소형: 부산 사상공장 기반의 봉강·마봉강 등을 생산하는 중소형 철강사. 매출은 봉강 사업부 중심
    • 조선: 동일스틸럭스는 대선조선의 최대주주(2024년 말 기준 지분 45.1%)로 조선 밸류체인과 직접 연결. 대선조선 워크아웃 정상화, MRO 확대 등 이슈가 동일스틸럭스 주가/실적 변수로 작동.

    • 기타 연관(인물/그룹): 오너 측 장인화는 화인그룹(화인베스틸 등) 수장으로 조선 기자재·조선 중소형 라인을 그룹 차원에서 구축. 동일스틸럭스 ↔ 화인베스틸(코스피 133820), 대선조선(비상장)로 이어지는 조선·철강 동맹 구조.
    • 사명변경/신사업(로봇·방산 장비 등): 2024-12-10 임시주총에서 ‘동일철강→동일스틸럭스’로 변경, 산업/연구/군사용 장비 제조·조립 등 사업목적 추가(로봇 투자 맥락).

     

    2) 회사 일반사항·사업개요

    • 법적 명칭/설립/상장: 동일스틸럭스(구 동일철강), 1967-07-12 설립, 1994-11-07 코스닥 상장(일반 상장, 특례 아님). 연결 종속회사 없음.
    • 사업: 빌렛을 열간압연해 봉강·마봉강 등 생산·판매. 2009년 화인스틸 합병으로 봉강·형강 병행했으나, 제2공장은 도시재생 편입으로 2020년 부산도시공사에 인도(매각).
    • 가격 변동 요인: 빌렛 수입가·환율에 영향, 2024년 제품가 약세 → 2025년 내수 안정정책 등을 배경으로 약보합~소폭 상승 가능성 언급.

     

    3) 연결 기준 재무요약 (단위: 백만원)

    구분202220232024
    매출액32,20021,50016,600
    영업이익900-3,300-1,800
    당기순이익-15,600-22,300-5,000
    부채비율(%)      161.71         304.04            321.17
    자본금8,0009,90010,400
    자본총계36,70018,10017,000

    4) 매출구조(제품별 비중, 사업보고서) (단위: 비율 %)

    구분202220232024
    마봉강(기계부품 소재)          85.49           85.27          78.84
    기타(환봉 등)13.5013.8420.19
    봉강(기계·구조물)1.010.890.97

     

    5) 대주주 지분(에프앤가이드 기준)·유동주식비율

    최대주주 등(본인+특관): 31.75%

    5% 이상 주주(인포인): 5.73%

    자사주: 0.07%

    유동주식비율(추정) = 100% - (31.75 + 5.73 + 0.07) = 62.45%

    대주주 약력(요약)

    • 장인화: 동일스틸럭스 前 대표이사, 부산상공회의소 회장 역임, 화인베스틸 사내이사대선조선 사내이사 등.

     

    6) 지배·지분 관계가 있는 상장회사

    • 화인베스틸(코스피 133820): 화인그룹의 조선용 형강 업체, 동일스틸럭스와 그룹 시너지가 큼.
    • (참고) 대선조선은 비상장(동일스틸럭스 최대주주), 워크아웃 진행·정상화 이슈 지속.

     

    7) 상장 이력

    • 1994-11-07 코스닥 상장, 일반 상장(특례상장 아님).

     

    8) 최근 5년 주요 이벤트(연표)

    일자이벤트/내용
    2020 상반기제2공장(형강) 부지 도시재생 편입 → 부산도시공사에 인도(매각).
    2023-12-15화인인터내셔날 1회차 CB 전환 행사단일 최대주주가 장인화→화인인터내셔날로 변동.
    2024-01-22화인인터내셔날, 전환주식 시간외대량매매로 전량 매도 → 단일 최대주주 다시 장인화로 복귀(보고서 작성기준일).
    2024-06-21소액공모(유상증자) 납입(신주 상장 2024-07 예정).
    2024-12-10임시주총, 사명 변경(동일철강→동일스틸럭스) 및 사업목적 추가(산업·연구·군사용 장비 등).
    2025-06~08주주배정 유상증자 추진/상장(5,000,000주, 기존의 약 23.61%), 이후 최대주주 변경(장인화→화인인터내셔날) 공시.
    2025-08~09             인포인(화인베스틸 자회사) 동일스틸럭스 지분 장내매도로 축소(공시/기사 다수).

     

    9) “장기 적자”와 2023~2024 부채비율 급증 원인

    • 손익 악화: 2023·2024 연결 순손실 지속(’23년 -22,300백만원, ’24년 -15,600백만원) → 자본총계 급감(’22 36,700 → ’23 18,100 → ’24 17,000 백만원). 결과적으로 부채비율 161.7% → 304.0% → 321.2%로 급등.
    • 대선조선 영향: 동일스틸럭스는 대선조선 지분 45.1% 보유. 대선조선 워크아웃/지분가치 0원 평가 등으로 지분법 손실 및 평가손이 자산·자본 훼손을 야기(정상화 이전에는 실적·자산가치 부담). 또한 대선조선 지분은 채권단 담보 제공 상태.

    → 결론: 본업 침체(철강 가격 약세·수요 둔화)와 대선조선 리스크(워크아웃/담보·지분법)가 자본 훼손→부채비율 급증의 핵심 축.

     

    10) 화인인터내셔날과 장인화의 관계

    • 화인인터내셔날: 비상장 지배회사로, 화인그룹(동일스틸럭스·화인베스틸 등) 지배 축. 2023-12 CB 전환, 2024-01 시간외대량매매로 일시적 지분 조정, 2025-08 유증·지분이동 이후 다시 최대주주 지위 확정.
    • 장인화: 화인그룹 2세 경영자, 화인인터내셔날의 주요 주주로 그룹 지배력 보유. 조선·철강 밸류체인(화인베스틸–대선조선–동일스틸럭스) 구축을 통해 조선 사이클에 베팅하는 전략.

     

    11) 최근(지난 5년) 특이 재무/자본 이슈 분석

    • 유상증자(2024, 2025): 2024 소액공모, 2025 대규모 주주배정 유증으로 유동성 보강 시도. 단, 단기 희석·오버행 리스크 상존.
    • 사명 변경·신사업(로봇/방산 장비): 이미지 제고와 사업다각화. 현실 매출화 시점은 불확실(사업보고서상 관계회사 중심, 구체 계획 부재 기재).
    • 대선조선 워크아웃: 동사 재무(지분법)·신용도·추가 출자/지원 가능성에 지속 영향. 담보 제공된 지분(45.1%)의 가치 회복은 정상화 성과에 달림.

     

    12) 투자 시 유의사항 (체크리스트)

    1. 대선조선 리스크: 워크아웃 진행 경과(매각·MRO 전환·RG 발급 등) 모니터링 필수. 정상화 지연 시 지분법 손실/담보 리스크 지속.
    2. 재무 레버리지: 2024 부채비율 321%. 추가 자금조달(유증·차입) 시 희석/이자비용 부담 체크.
    3. 철강 사이클/가격: 빌렛가·환율 민감, 내수 건설/자동차 둔화 시 가격/스프레드 축소 위험.
    4. 그룹 지배구조 변화: 화인인터내셔날을 축으로 한 지배력 재편(최대주주 변동, 특수관계인 매매·유증 참여 여부) 추적 필요.
    5. 유동성·거래이상: 2025년 급등·투자위험종목 지정 등 변동성 확대 사례. 단기 변동 리스크 관리.

     

    대주주 변경의 구체 경위 요약

    • 2023-12-15: 화인인터내셔날 1회차 CB 전환 → 단일 최대주주가 장인화→화인인터내셔날로 변경.
    • 2024-01-22: 화인인터내셔날, 전환 주식 전량 시간외대량매매로 매도 → 단일 최대주주 장인화로 회귀(보고서 기준).
    • 2025-08-08: 주주배정 유증 이후 최대주주가 다시 화인인터내셔날로 변경 공시.
    • 상장 이후 특이 이벤트: 사명변경(’24-12-10), 2024·2025 연속 유증, CB 전환/블록딜, 최대주주 변동, 비상장 자회사(대선조선) 워크아웃—> 모두 시간순으로 위에 정리.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