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페이지
  • 게시판
  • 테마정보
  • 테마별 종목

기업 분석 및 이슈

개별 기업에 대한 분석과 사회적 이슈나 뉴스

  • 넥스트칩 기업분석/환기종목, 기술특례상장/ 재무(**연속적자), 관련기업(앤씨앤/관리종목)/ 시스템반도체, 자율주행차 테마주/ 25년공시 참조

    작은연못 38 회 2025-10-21

  • 넥스트칩(코스닥/ 396270) 투자주의 (환기종목) /관련기업 앤씨앤(관리종목)

    1) 테마 연관성 (시스템반도체 · 자율주행차, 기타 연관 테마)

    시스템반도체: 차량용 카메라 영상처리용 ISP(Image Signal Processor)·AHD(영상전송)·ADAS SoC를 설계/판매하는 팹리스. 2025/09 기준 Business Summary에도 차량용 지능형 카메라/인식용 시스템반도체 기업으로 명시돼 있습니다.

    자율주행차: ADAS·자율주행용 비전처리(왜곡보정·HDR·객체인식 등) 수요 확대에 직접 노출. 회사 설명에서도 ISP·AHD·ADAS 비전 파이프라인을 강조.

    기타 엮인 테마(과거/파생)

    로봇·드론: 자율이동로봇/드론 센서모듈로 사업 확장 언급(플랫폼형 SoM/센서모듈).

    보안·CCTV(과거 기술 뿌리/AHD·ISP 응용 분야) — 차량·모빌리티 외 영상처리 수요와 연결. (기업 개요 참고)

     

    2) 회사 일반사항·사업개요

    • 설립/분할: 2019.1, 앤씨앤(092600)에서 물적분할로 설립된 차량용 반도체(팹리스).
    • 제품/사업: 차량 카메라용 ISP, AHD, ADAS SoC 중심. 로봇·드론 센서모듈로 응용 확대.
    • 매출 구조(최근): 2024년 매출 32,300 중 ISP 약 24,000(약 74%), AHD 등 나머지, ADAS SoC는 아직 샘플·초기 매출 단계.

     

    3) 연결 기준 재무요약(최근 3년, 단위: 백만원)

    구분202220232024
    매출액12,90016,20032,300
    영업이익-27,400-22,500-18,400
    당기순이익       -27,400           -26,700           -20,700
    부채총계4,90040,60046,700
    자본총계39,80029,3008,800
    부채비율12.3%138.6%530.7%
    자본금8,8009,0009,000

    매출구조(2024)

    • ISP 약 24,000(74%) / AHD 등 기타 약 8,300(26%) / ADAS SoC 샘플·초기(정량 반영 미미).

     

    4) 주주현황·유동주식비율·대주주 약력

    최대주주 등(본인+특수관계인) 지분: 39.51%(7,862,640주, 2025-08-21), 세부: 앤씨앤 38.72%, 김경수 0.42%, 기타 임원 소액. 유동주식비율 60.49%.

    대주주 약력(요지):

    앤씨앤(092600, 코스닥 상장): 영상·시스템반도체 설계 기업. 넥스트칩의 모회사(분할母).

    김경수 대표: 차량용 비전·ISP·ADAS 분야 경력. 상장 기자간담회/IR에서 “자율주행 반도체 도약”을 주도.

     

    5) 지배·지분 관계 있는 상장사

    • 모회사 앤씨앤(092600): 넥스트칩 최대주주이자 분할 母 — 직접 상장사. (기타 넥스트칩 보유 타법인주식/관계기업 지분은 재무표상 유의미 항목 無)

     

    6) 상장 이력(특례 여부)

    • 코스닥 상장(2022 하반기), 기술특례 트랙 기반 상장(상장예비심사 승인 보도).

     

    7) 상장 이후 ‘특이 이벤트’(연표)

    • 2023.10: CB 300억원 발행(전환가 16,665원, 최저조정 12,499원 등) — 이후 주가 급락으로 전환 가능성 낮고 풋옵션·상환 부담 이슈 부각.
    • 2024~2025: 적자 지속, 자본 축소·부채 급증(부채비율 530%↑)
    • 2025.06·09: 유상증자(공모/3자배정) 공시 — 재무구조 개선 목적.
    • 2025.08.18: 투자주의 ‘환기종목’ 지정(반기 자기자본 10억원 미만 + 자본잠식률 50% 이상). KRX 투자유의사항 페이지 및 기사 확인.
    • 2025.08.13: “최대주주 등 추가 증자 검토로 자본잠식 우려 해소 추진” 입장 표명.

    대주주 변경 이슈: 최대주주 ‘앤씨앤’ 체제는 유지. 2024.04 현물배당 등에 따른 변동은 있었으나 지배력 변경(경영권 변동) 이벤트는 확인되지 않음

     

    8) “지속적 적자 · 환기종목 지정”의 분석(핵심 원인)

    높은 R&D/판관비 구조

    2024 년 연구개발비 18,500 등 판관비 30,300으로, 매출총이익(11,900)을 상회 → 영업적자 -18,400.

    자본의 급격한 감소 & 부채 상향

    2024 자본총계 8,800으로 축소(’23: 29,300) vs 부채총계 46,700(’23: 40,600) → 부채비율 530%. (FnGuide 재무상태표)

    CB(전환사채) 구조 리스크

    전환가 대비 주가 하락으로 전환 매력 ↓, 풋옵션/상환 도래 위험이 부채·유동성 부담 요인.

    KRX 환기종목 요건 충족

    반기 자본잠식률 50%↑ & 자기자본 10억원 미만 사유로 지정(2025-08-18). 제도 취지는 상장폐지·관리종목 이전 위험 신호의 조기 경보.

    정리: 구조적으로 매출 총이익이 커졌지만(’24 총이익 11,900) 판관비 특히 R&D가 높고(제품 다각화·ADAS SoC 개발 단계), CB 상환/평가 관련 금융부담까지 겹치며 자본이 얇아진 상태. 이 조합이 적자 지속→자본잠식 우려→환기종목 지정으로 이어졌습니다.

     

    9) 투자 시 유의사항

    • 재무안정성: 단기사채·유동금융부채 비중 증가, CB 풋/만기 스케줄 재확인 필요. (FnGuide BS·CB 기사)
    • 희석 리스크: 2025년 유증(공모·3자배정) 실시·검토 → 추가 유증 가능성·주식수 증가(희석) 점검.
    • 사업모멘텀의 질: 2024 매출은 ISP 편중(74%). ADAS SoC 상용 매출 전환 속도가 밸류에이션 정상화 관건.
    • 고객/아이템 다변화: 로봇·드론 확장 계획 대비 실수주·레퍼런스 추적 필요.
    • 제도 리스크: 환기종목 지정 상태에 따른 기관·펀드 편입 제한 및 변동성 확대.

     

    10) 지난 5년(요지) 타임라인 정리

    • 2022: 기술특례로 코스닥 상장(분할 모기업: 앤씨앤).
    • 2023.10: CB 300억 발행.
    • 2024: 매출 32,300(+100% YoY), 적자 축소 추세이나 여전히 순손실. 부채·파생·사채 계정 확대.
    • 2025.06~09: 유증 연속 공시(재무개선).
    • 2025.08.18: 투자주의 환기종목 지정(자본잠식/자기자본 미달).
    • 2025.08.13: 최대주주 등 추가 증자 검토 발표(자본잠식 해소 의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