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성크린텍, 코스닥, 066980/ 투자주의 (높은 부채율, 리픽싱 가능한 전환사채 존재)
개요·업종/테마 연관성
- 본업: 반도체·디스플레이 등 공정용 고순도 수처리 설비(EPC), 액상 지정폐기물 처리(오·폐수 처리), 수처리 O&M(운영·유지보수) 를 영위. 본사는 서울 강남. 2003-01-17 코스닥 상장. 2023-10-11 종속회사 한성크린텍(주)을 흡수합병 후 현 상호로 변경
- KRX 업종: 2024-03에 ‘기타 정보 서비스업’ → 건축기술·엔지니어링 및 관련 기술 서비스업 으로 변경(환경플랜트 EPC/O&M 실사업종과 부합)【】.
- 테마: 공식적인 정치테마는 확인되지 않음. 시장에선 통상 수처리/환경플랜트, 반도체 투자(초순수 등) 인프라 범주로 엮임.
회사 일반사항·사업개요
- 설립: 1998-09-24(당시 TSM 제조 목적) → 현재는 수처리 설비·O&M·오폐수 처리 중심
- 2023-10 흡수합병 및 사명변경, 2024-03 거래소 업종변경
- 주요 종속회사: 이엔워터솔루션, 이클린워터 등(2021~2024 연혁 및 인증/허가 포함)
연결 재무요약(최근 3년, 단위: 백만원)
| 구분 | 2024 | 2023 | 2022 |
| 매출액 | 155,200 | 368,400 | 322,500 |
| 영업이익(손실) | -50,700 | 1,400 | 5,600 |
| 당기순이익(손실) | -77,900 | 1,200 | -3,900 |
| 부채총계 | 111,900 | 149,500 | 183,200 |
| 자본총계 | 64,300 | 133,500 | 118,200 |
| 부채비율(%) | 173.97 | 111.98 | 155.06 |
| 자본금 | 26,000 | 25,000 | 22,600 |
매출구조(연결, 2024, 백만원)
| 부문 | 매출 | 비중 |
| 환경설비 EPC(건설) | 102,228 | 55.7% |
| O&M(운영·정비) | 42,405 | 23.1% |
| 오·폐수 처리 | 35,790 | 19.5% |
최대주주·특수관계인 및 유동주식
(주)제이에스아이컴퍼니, (주)아이즈비전, (주)이에셋글로벌, (주)위지트, (주)파워넷, (주)머큐리 등 특수관계인 명시
- 소액주주수/비율(유동주식 추정): 100,314명, 61.62%
대주주(그룹) 약력·프로필
- 김상우: (주)제이에스아이홀딩스/컴퍼니 대표, (주)아이즈비전 대표, (주)한성크린텍 사내이사(겸) 등 계열 주요 법인 대표/이사 겸직(머큐리, 파워넷, 위지트, 티사이언티픽, 지오비전 등)
- 2025-09-24 최대주주 변경 공시 존재(지배구조 변동 이슈). 세부 변동 공시는 KRX 전자공시에서 확인됨
상장 이력·자본변동·사명변경(핵심 타임라인)
- 2003-01-17: 코스닥 상장(종목코드 066980)
- 2021-03: 타법인 주식 양수(대금일정·양수 후 재무 변화)
- 2023-10-11: 종속회사 한성크린텍(주) 흡수합병 및 상호 변경(구 이엔코퍼레이션 → 한성크린텍)
- 2024-03: 거래소 업종 엔지니어링/기술서비스로 변경
- 자본금(납입): 2024-12-31 현재 25,967,563천원
최근 5년 주요 이벤트(연혁+재무 교차)
- 2021: 타법인 지분 양수(재무구조 단기 변동)
- 2023: 흡수합병·사명변경 → 2023 매출 171,106, 영업손실 -3,525, 순손실 -12,982(백만원) 적자 폭 축소
- 2024: 업종변경 완료 & 대규모 적자(아래 원인 참조). 부채비율 174%로 상승【】.
- 2025: (공시) 최대주주 변경 이슈 발생
2024년 큰 적자 발생 원인 분석
- 무형자산/투자자산 손상차손 및 이연법인세 자산 재검토(손상) 등 일회성·평가손 성격의 비용 인식이 확대.
사업보고서: 2024년 손상성 비용이 손익에 반영(무형자산 손상 등)
외부 기사도 무형자산·이연법인세 관련 평가손 확대를 2024 적자 배경으로 언급(요지)
- 동시에 EPC 원가상승·공기 지연 등 현장 원가부담과 O&M 마진 둔화가 결합했을 가능성. (부문 매출은 성장했으나 손익은 급락: 2023→2024 영업손실 -3,525→-50,735 백만원)
전환사채/기타 부채 자금 흐름(교차분석)
- 사채 관련 재무현금흐름: 2023년에 전환사채 11,957백만원·교환사채 9,955백만원 발행, 차입금 조달 24,200백만원 포함 → 2024년에는 사채 신규 발행 없음(차입 9,451백만원)
- 전환사채 잔액·조건(요지)
제30회 CB(’23.02 발행): 표면/만기이자 0%/2%, 잔액 44.179억원, 전환가 1,442원, 전환기간 ’24.02.27~’26.01.27.
제33회 CB(’24.11 발행): 표면/만기이자 0%/2%, 잔액 70억원, 전환가 1,236원, 전환기간 ’24.11.24~’27.10.24. (리픽싱 규정 有)
- 관계사 차입/상환(2023): 아이즈비전·머큐리·위지트 등으로부터 차입, 일부 상환 및 이자비용·사채 관련 거래 내역 기재
→ 의미: 2023년 사채·차입 조달로 유동성 확보 → 2024년 대규모 손실로 레버리지(부채비율 174%) 상승. 2024~2027년 전환가 하방조정(리픽싱) 가능성은 주식 수 증대·희석 리스크로 연결.
지배·지분관계 있는 상장사
사업보고서 특수관계인에 상장사 다수 기재: 아이즈비전(031310), 위지트(036090), 파워넷(037030), 머큐리(100590), 티사이언티픽(057730) 등. 김상우 대표가 여러 법인에 겸직
각 사 개요:
아이즈비전: 알뜰폰(MVNO) 통신사업자(스마텔 브랜드)
머큐리/파워넷/위지트/티사이언티픽: 통신장비·전력전자·SI 등 IT제조/서비스 계열(각 사 공시·회사소개 참조)
대주주 관련 3개 법인(설명)
- 제이에스아이홀딩스/제이에스아이컴퍼니(JSI): 지배지분을 보유하는 투자·지주성 법인. 김상우 대표가 실질 경영. 그룹 내 상장·비상장사 지분을 통해 사업 포트폴리오(통신·전력전자·SI·환경플랜트)를 구축. 공시·회사소개 자료 다수 존재
- 아이즈비전: MVNO 통신사. 안정적 현금흐름 기반의 관계사 금융지원(차입, 단기 대여 등) 사례가 사업보고서 주석에 확인됨
- 이에셋글로벌: 투자·지주 성격 법인으로 특수관계인에 포함(상장사 아님). 지분 참여로 지배력 보강(사업보고서 특수관계인 표)
투자 체크포인트(리스크 & 모멘텀)
- 재무 레버리지 상승: 부채비율 174%, 2024년 대규모 손실로 자본 훼손 진행
- 사채(리픽싱)·희석 리스크: 2024~2027 전환기간, 주가 하락 시 전환가 조정 가능 → 주식수 희석/오버행 우려
- 원가/현장 리스크: EPC 비중이 과반(’24년 55.7%) → 공기 지연·원자재/하도급비 상승 시 수익성 변동성↑
- 사업 포트폴리오 다각화의 장단: 통신·전력전자 등 계열사 네트워크로 조달/거래 유연성은 장점이나, 지배구조 복잡성은 할인요인. 특수관계자 거래(차입/상환) 내역 주기적 점검 필요
- 거래소 업종 변경: 본업과 정합성↑(엔지니어링 서비스) — 수처리/반도체 투자 사이클 민감도 높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