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페이지
  • 게시판
  • 테마정보
  • 테마별 종목

기업 분석 및 이슈

개별 기업에 대한 분석과 사회적 이슈나 뉴스

  • 에이플러스에셋어드바이저, 코스피, 244920/ 금융 보험대리 중계업/ 재무, 대주주(곽근호, 스카이에이플러스) 관련기업(나노엔텍), 2020년 코스피상장/ 25년공시참조

    작은연못 15 회 2025-11-18

  • 에이플러스에셋어드바이저, 코스피, 244920

    2007년 설립된 독립법인보험대리점(GA) 기반 금융서비스 그룹으로, 서울 강남 테헤란로에 본사를 두고 있습니다. 핵심은 보험상품 판매/컨설팅이고, 계열사를 통해 상조·장례, 부동산 중개, 헬스케어·의료기기(나노엔텍)까지 확장된 구조입니다. 2024년 말 기준 연결 종속회사는 상장 1개(나노엔텍), 비상장 10개 등 총 11개입니다.

     

    1. 업종/테마 연관성

    1) 기본 업종·스타일

    • 업종: 금융 – 보험대리 및 중개업(독립 GA)
    • 사업모델:

    다수 생명보험·손해보험사와 제휴 → 상품 보장내용·수익률·사업비 등을 비교해 컨설팅 방식으로 판매

    관계사 상품(상조, 장례, 부동산, 대출, 헬스케어 등)도 함께 판매

    2) 시장에서의 테마 분류

    • 생명보험 테마 / 손해보험 테마

    근거: 보험사 자체가 아니라 GA이지만, 생보·손보 상품 판매 규모가 크고 보험 업황에 민감하게 연동된다는 이유로, 일부 서비스에서 생명보험/손해보험 테마에 함께 묶습니다.

    • GA(독립법인보험대리점) / 보험판매 플랫폼 성격

    “보험 영업조직·플랫폼” 성격으로, 중소형 금융플랫폼·핀테크와 묶이는 경우는 있으나, 특정 정치인/정책 테마로 유명한 편은 아닙니다.

    → 정리하면, 클래식한 의미의 '정치 테마주'나 특이한 정책 테마는 거의 없고,

    보험 업황(생보·손보 실적, RBC 규제, 판매 수수료 정책 등)에 연동되는 보험/GA 테마로 보는 게 현실적입니다.

     

    2. 회사 일반 현황 & 사업 개요

    1) 기본 정보

    • 법인명: 주식회사 에이플러스에셋어드바이저
    • 설립일: 2007년 6월 7일
    • 상장: 2020년 11월 20일,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코스피) 상장, 특례상장은 아님
    • 본사: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4길 14 (역삼동, 미림타워)
    • 대표이사: 곽근호(총괄 회장), 황승목 (각자대표 구조)
    • 주요사업: 보험대리점업, 보험판매 및 서비스업, 계열사를 통한 장례/상조·부동산중개·의료기기 제조·헬스케어 플랫폼 등

    2) 연결실체(그룹) 구조 – 상장·비상장 계열사

    2024년 말 기준 연결대상 회사(요약):

    상장 종속회사

    ㈜나노엔텍 (코스닥, 의료용기기/연구실험용 기자재 제조, 자산 84,841백만원 수준)

    비상장 종속·관계사(일부)

    ㈜에이플러스라이프 – 상조·장례/보험 관련 서비스

    에이플러스리얼티㈜ – 부동산 중개·임대

    ㈜에이에이아이헬스케어 – 헬스케어 플랫폼

    ㈜파인랩 – 사업다각화용 특수목적 회사

    디디아이브이씨제2호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 부동산투자 목적

    상장 계열사는 현재 나노엔텍 한 곳이고, 나머지는 모두 비상장입니다.

    3) 사업 구성(요약)

    연결기준 주요 제품·서비스(2024년):

    • 생명보험 상품 수수료
    • 손해보험 상품 수수료
    • 생명과학·의료기기(나노엔텍)
    • 부동산 중개
    • 의전행사(장례/상조)
    • 대출 판매 등

     

    3. 최근 3개년 연결 재무요약 (단위: 백만원)

    ※ 2024.12.31 기준 사업보고서(연결재무제표, 단위: 원)를 백만원 단위로 환산(소수점 한 자리 반올림)한 값입니다.

    구분2024년2023년2022년
    매출(영업수익)515,785.6350,873.0270,723.5
    영업이익31,550.712,552.91,355.6
    당기순이익10,111.411,677.365,517.0
    자산총계479,276.2           372,854.7345,302.0
    부채총계235,502.7183,319.1            159,153.0
    자본총계243,773.5189,535.6186,149.0
    부채비율(%)              96.696.785.5
    자본금11,303.811,303.811,303.8
    • 매출·이익: 2022년에 지분법 관련 이익·평가익 영향을 크게 받으면서 순이익이 비정상적으로 높고, 2023~24년은 연 100~120억원 수준의 안정적 이익 구간으로 보입니다.
    • 부채비율: 80~100% 중후반대로, 전통적 고레버리지 금융사는 아니며, 리스부채·보증금 등 “운영 관련 부채” 비중이 높은 구조입니다.

     

    4. 매출 구조 (연결 기준, 2024년 – 단위: 백만원, %)

    사업보고서 ‘주요 제품 및 서비스의 현황’ 기준입니다.

    구분매출액(백만원)            비중(%)
    생명보험 상품188,66836.6
    손해보험 상품223,67943.4
    생명과학·의료기기60,74511.8
    부동산 중개5,0051.0
    의전행사(상조·장례)        5,6931.1
    대출 판매2,7250.5
    기타27,2715.3
    합계513,786100.0

    → 실질적으로 생명·손해보험 상품 판매 수수료가 전체의 약 80%를 차지하며,

    나노엔텍 편입 이후 생명과학·의료기기 매출 비중이 10%대 초반까지 올라온 것이 특징입니다.

     

    5. 대주주 지분 구조 (사업보고서 기준 정리)

    사업보고서의 ‘주요 주주 및 지분율’·‘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 주식소유 현황’을 기준으로 정리했습니다.

    1) 5% 이상 주주 & 특수관계인 (2024년 말, 보통주 기준)

    구분지위보통주 수(주)지분율(%)
    곽근호최대주주4,409,71220.06
    스카이에이플러스 유한회사            2대주주(공동보유)            2,211,5489.78
    임직원·관계사 임원·ESOP 등특수관계인·임원1,209,000±               4.8±
    최대주주+특수관계인 합계7,830,26034.64

    ※ ‘계 7,830,260주, 34.64%’는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을 모두 합산한 수치입니다.

    2) 유동주식비율(추정)

    • 발행주식총수: 22,607,693주
    •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 합계: 34.64%
    • 유동주식 비율(추정) ≒ 100% – 34.64% = 약 65.36%

     

    6. 대주주 약력 & 스카이에이플러스

    1) 곽근호 회장

    출신:

    前 삼성그룹 회장 비서실 감사팀

    前 삼성생명 전사기획/마케팅기획 팀장

    경력:

    2007년 에이플러스에셋어드바이저 설립

    GA(독립보험대리점) 모델을 국내에서 크게 성장시킨 1세대 GA 창업자로 평가

    현재:

    (주)에이플러스에셋 총괄 대표이사/회장

    그룹 전반(보험·상조·부동산·헬스케어·의료기기) 투자 방향·M&A 전략을 총괄

    → 삼성생명 출신으로 보험 상품·영업·조직관리 경험이 풍부하고,

    에이플러스에셋의 전략(상품 포트폴리오, 지점망 확장, 제휴전략)에 강하게 반영되어 있는 전형적 오너-CEO입니다.

    2) 스카이에이플러스 유한회사

    법적 형태: 유한회사

    역할: 2대주주(지분 9.78%, 2,211,548주), ‘공동보유자’로 기재

    배경(추론+언론자료):

    2017년경 사모펀드 스카이레이크인베스트먼트(스카이레이크PE)가

    에이플러스에셋에 약 500억원 규모 투자(구주 인수 + 상환전환우선주(RCPS) + BW) 구조로 참여했다는 보도가 있음.

    이때 세워진 투자·지배 목적 SPV가 ‘스카이에이플러스 유한회사’로 추정됩니다(주소·지배구조 상 스카이레이크 계열과 연관).

    운영주체·사업방식(추론 포함):

    스카이레이크PE가 운용하는 사모투자펀드용 특수목적회사(SPV)로,

    에이플러스에셋 지분을 장기 보유하면서 배당·주가 상승익, 향후 엑시트를 노리는 구조.

    2017년 RCPS·BW 투자를 통해 일정 부분 자금 공급과 동시에 오너·기존 주주 구주 매각(부분 현금화)까지 같이 설계된 전형적인 FI 구조로 보입니다.

    → 요약하면, 곽근호(전략·경영) + 스카이에이플러스(스카이레이크PE 계열 FI)가 지배구조의 양대 축입니다.

    최근 2025년에 들어서는 다른 행동주의 펀드(얼라인파트너스)가 공개매수 등으로 지배구조에 개입을 시도하고 있어, 향후 FI 간 이해관계 변화도 체크 포인트입니다.

     

    7. 상장 이력·자본변동·사명 관련

    1) 상장 및 등록 이력

    2020.04: 금융투자협회 K-OTC 지정등록

    2020.11.20: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코스피) 상장

    상장 전 사명이나 큰 사명변경 내역은 사업보고서에서 별도 기재 없음(초기부터 에이플러스에셋어드바이저 사용).

    2) 자본금 변동·RCPS(사실상 quasi-전환증권)

    보통주:

    발행주식수: 22,607,693주 (액면 500원) – 2020~2024년 동일

    자본금: 11,303,846,500원 – 최근 5년간 변동 없음

    상환전환우선주(RCPS)

    2017년: 자본금을 구성하지 않는 종류주식(상환전환우선주) 2,923,077주 발행

    2020년: 이 중 1,461,538주는 상환권 행사(상환),

    나머지 1,461,539주는 상장 과정에서 보통주로 전환된 것으로 해석 가능

    RCPS 발행 시점에 스카이레이크 계열 FI가 참여,

    구주 인수 + RCPS + BW로 총 500억원 수준 자금 유입 구조였다는 보도

    형식상 전환사채가 아니라 RCPS지만,

    “오너 지분 일부 현금화 + 성장자금 공급 + 상장 전 지분 구조 정리”를 위한 전형적인 PEF 딜 구조로 보면 됩니다.

     

    8. 상장 이후 주요 특이 이벤트 (최근 5년 기준)

    (1) 2020년

    K-OTC 지정 후 코스피 상장 (11월)

    상장 과정에서 일부 RCPS 상환·전환 처리 (자본 구조 정리)

    (2) 2021년

    유형자산 취득 지연 공시로 불성실공시법인 지정

    종속회사 유형자산 취득결정(2021.04.27)을 2021.06.18에 지연공시

    2021.07.05 한국거래소로부터 불성실공시 제재 및 제재금 부과

    이 외 2020/2023년 금융감독원으로부터 보험상품 설명의무·수수료 지급 금지 위반 등으로 과태료 제재.

    (3) 2022년

    전략채널본부(지사제 채널) 출범, 영업지원 시스템 ‘세일즈플러스’ 론칭

    재무적으로:

    지분법/평가이익,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관련 큰 플러스 요인이 발생

    → 당기순이익 655억원 수준으로 일회성 이익이 크게 반영된 해

    (4) 2023년

    헬스케어 데이터 플랫폼 ‘레몬헬스케어’ 전략적 업무 제휴

    나노엔텍 지분 및 경영권 인수(관계기업 → 종속회사 전 단계)

    금융감독원 과태료 (보험모집 관련 위반) 부과

    이익 수준은 2022년 대비 정상화(당기순이익 116억원대)

    (5) 2024년

    나노엔텍 추가 지분 매입으로 관계기업 → 종속회사 편입 (지분 20% 수준, 실질 지배력 인정)

    나노엔텍 제3자배정 유상증자 참여(5월)

    연결 기준으로 의료기기(나노엔텍) 매출 비중이 10%대까지 증가,

    지분법 감소·종속회사 편입에 따른 재무 구조 변화(현금흐름에서 ‘지분법적용 투자주식의 감소/종속·관계기업투자주식 증가’ 크게 반영)

    (6) 2025년(’24년 보고서 이후, 참고)

    2025년 11월, 행동주의 펀드 얼라인파트너스가 에이플러스에셋 공개매수(주당 8,000원) 추진,

    배당 확대·자사주 매입·지배구조 개선 등을 요구하는 이슈 발생 – 지배구조 리레이팅 가능성 부각.

    2025년 3분기 기준, 회사 분기보고서 상 사채·전환사채 등 미상환 잔액 없음으로 공시되어 있음.

     

    9. 전환사채·기타 부채 관련 자금 흐름(핵심 정리)

    2017년 RCPS + BW 딜 (스카이레이크 계열)

    상환전환우선주(RCPS) 2,923,077주 발행(자본을 구성하지 않는 종류주식)

    기사 기준:

    구주 인수 약 1,100억원

    RCPS 190억원

    BW 200억원

    용도:

    오너·기존 주주 구주 매각(부분 엑시트)

    성장자금(지점 확장, IT 시스템, 향후 M&A 등)

    2020년 상장 전후 처리

    RCPS 절반 상환, 나머지 보통주 전환 → 상장 후 구조를 깔끔하게 정리

    현재 보통주 자본금이 2017 이후 변동 없이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추가적인 대규모 전환증권·CB는 없다가 상장 시점에 대부분 정리된 것으로 해석됩니다.

    최근(2021~2025년) 공시 기준

    2025년 3분기 분기보고서 기준,

    “사채 등 발행현황 – 해당사항 없음”으로 기재 → CB/BW/회사채 미발행 상태

    다만 리스부채·장기차입금·임대보증금 등 운영 관련 부채는 상당하며,

    현금흐름표에서 매년 리스부채 상환 130~150억원 수준이 꾸준히 발생 중.

    요약

    과거에는 PEF(스카이레이크)와의 RCPS·BW 딜로 자금 조달을 크게 했지만,

    현재는 CB·BW 등 전환증권 없는, 비교적 단순한 부채 구조입니다.

    부채비율은 90%대지만 상당 부분이 리스·보증금 등 영업 구조상 필수적인 부채라는 점이 포인트입니다.

     

    10. 최근 5년 재무·이벤트 교차 분석 (요약)

    성장 스텝

    2020~2022: GA 본업 성장 + 투자자산(특히 나노엔텍) 관련 이익으로 매출·이익 급성장

    2023~2024: 나노엔텍을 직접 종속회사로 편입하면서

    투자자산 → 사업자산으로 전환

    매출 절대 규모 증가(의료기기 매출 포함)

    지분법 이익 축소, 운영이익 중심 구조로 회귀

    이익 구조의 질

    2022년: 일회성 요인이 매우 큰 해 – 순이익 655억원 수준

    2023~2024년: 연 100억대 내외 순이익, 영업이익도 300~315억원 수준으로

    보험판매 수수료 + 의료기기 본업에서 나온 반복 가능한 이익 구조에 근접

    리스크·레버리지

    부채비율은 90%대 중후반이지만,

    리스부채·보증금·장기차입 등이 주류

    CB·BW 등 고위험 전환증권은 제거된 상태

    다만 보험 GA업 특성상 영업 인력(FC) 유지·수수료 경쟁, 규제 리스크가 상존하며,

    실제로 2020·2023년 보험모집 관련 과태료가 반복되었습니다.

    지배구조·M&A

    2017년 PEF(스카이레이크) 유입 → 오너·FI 공동 지배 구조

    2023~24년 나노엔텍 지분 확대·편입 →그룹 내 “바이오/의료기기 축” 강화

    2025년에는 행동주의 펀드(얼라인파트너스)의 공개매수 시도 →

    배당 확대·지배구조 개선 이슈로 리레이팅 가능성이 부각되는 구간.

     

    11. 이 회사와 상장/지분으로 연결된 다른 상장사

    • 나노엔텍(코스닥 상장) – 의료기기·연구실험용 기자재 제조

    에이플러스에셋이 2023~24년에 걸쳐 지분 20% 내외 및 경영권을 확보해 종속회사로 편입.

    나노엔텍의 100% 종속회사 Nanoentek AMERICA도 그룹 연결 범위에 포함.

    이 외에 직접적인 지배·지분 관계의 다른 상장사는 현재 없음

     

    12. 투자 시 고려해야 할 주요 포인트

    비즈니스 모델

    수수료 기반 GA 비즈니스 특성상

    경기·소득·보험업 규제 변화에 민감

    영업인력 이탈/모집 경쟁, 플랫폼 경쟁(토스, 카카오 등)도 지속 체크 필요

    나노엔텍 편입으로 의료기기·생명과학 비중이 커졌는데,

    이 부분은 성장성 vs 변동성이 동시에 큰 영역입니다.

    지배구조·주주환원

    최대주주 + 스카이에이플러스(PEF) + 행동주의 펀드(얼라인)의 이해관계가 엮여

    향후 배당 정책·자사주 매입·계열사 재편에 상당한 변화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과거 공시 지연·보험모집 관련 제재 이력 때문에

    내부통제·컴플라이언스 체계 개선 여부도 중요 포인트.

    재무 구조

    CB/BW 없는 단순 구조는 긍정적이나,

    리스·보증금 중심의 부채 구조가 크고,

    지점망·인력 유지에 따른 고정비 구조가 있어 외형 감소 시 레버리지 효과가 역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2022년의 초과이익을 기준으로 PER을 보면 착시가 발생하므로,

    2023~24년(또는 2025년 추정치) 기준 정상 이익 수준으로 밸류에이션을 보는 것이 안전합니다.

    테마성 변동

    보험·의료기기·지배구조(행동주의) 이슈 등에 따라

    단기적으로 테마성 매매가 붙을 수 있으나,

    정치테마주처럼 순수한 이벤트 플레이보다는

    실적·배당·M&A 스토리를 중심으로 보는 게 합리적입니다.

     

    요약하면, 에이플러스에셋은

    • GA 기반 보험판매 + 나노엔텍 의료기기의 투 트랙 비즈니스,
    • 오너(곽근호) + PEF(스카이에이플러스) + 행동주의 펀드(얼라인)가 얽힌 지배구조,
    • 과거 RCPS·BW 딜은 있었지만 현재 CB·BW는 없는 비교적 단순한 재무구조

    를 가진 코스피 상장 금융/서비스 기업입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