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페이지
  • 게시판
  • 테마정보
  • 테마별 종목

기업 분석 및 이슈

개별 기업에 대한 분석과 사회적 이슈나 뉴스

  • 아이에스티이, 코스닥, 212710/ 반도체 장비, 수소차(연료전지/부품/충전소) 테마주/ 25년2월 기술특례상장/ 재무, 대주주(조창현)/ 25년공시 참조

    작은연못 6 회 2025-11-26

  • 아이에스티이, 코스닥, 212710

    2013년 설립된 반도체 장비·수소에너지 EPC 기업으로, 경기도 화성시 향남읍에 본사를 두고 있습니다. 핵심 사업은

    • 반도체용 FOUP/FOSB 클리너·EFEM·Sorter·PECVD 등 반도체 장비 사업,
    • 수소충전소·수소생산 플랜트를 중심으로 한 수소에너지 EPC 사업이며, 연결 기준 종속회사는 1개(비상장 에너지 법인)입니다.

     

    1. 테마 연관성 (반도체장비 / 수소차(연료전지·충전소) / 기타 테마)

    1) 반도체장비 테마

    ① FOUP/FOSB 클리너·EFEM·Sorter

    • 아이에스티이는 웨이퍼 운반용기인 FOUP/FOSB를 세정하는 FOUP 클리너를 주력으로 성장한 회사입니다.
    • 2016년 나노세미콘으로부터 FOUP 클리너 사업부를 양수해 SK하이닉스에 본격 공급을 시작했고, 이후 HBM·PLP(Panel Level Packaging)용 FOUP 클리너까지 제품군을 확장했습니다.
    • 경쟁사는 미국 Brooks Automation, 일본 Hugle 등 글로벌 소수 업체로, 시장 진입 장벽이 높은 장비 영역입니다.

    ② PECVD(플라즈마 화학기상증착 장비)

    • 고대역폭 메모리(HBM)·첨단 로직 공정에 들어가는 SiCN용 PECVD 장비를 개발해 2025년 SK하이닉스향 첫 수주·데모 장비 판매 전환 공시가 나왔습니다.
    • 기술특례 상장 기업으로서, 상장 스토리 자체가 FOUP 클리너 + PECVD를 통한 반도체 장비 고도화에 맞춰져 있어, 반도체장비, HBM, 온디바이스AI 수혜 테마로 분류됩니다.

    → 따라서 대표 테마는 ‘반도체장비(FOUP 클리너·PECVD·EFEM·Sorter)’ 라고 보는 것이 타당합니다.

    2) 수소차(연료전지/충전소) 테마

    • 에너지 사업부는 수소충전소 EPC·수소 생산 설비 EPC가 핵심입니다.
    •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전체 매출의 32%가 수소충전소 EPC(에너지 사업 매출의 78%)에서 발생했고, 2021년 시장에 진입한 이후 국내 상업용 수소충전소 9개를 수주, 7개를 완공해 운영 중인 것으로 나옵니다.
    • 정부·지자체 발주 수소충전소 입찰에 참여하고, 효성중공업·제이엔케이히터·범한퓨얼셀 등과 같은 시장에서 경쟁합니다.

    → 수소충전소 EPC 비중이 높아 “수소차(연료전지/충전소)” 테마와 직접적으로 연결됩니다.

    3) 그 밖의 테마 연관성

    뉴스·자료 기준으로 추가로 엮인 테마는 대략 다음 정도입니다.

    • HBM/온디바이스 AI/고대역폭 메모리(HBM) : HBM 후공정용 FOUP 클리너 및 HBM 공정용 PECVD 개발·수주.K
    • 2025년 신규상장/기술특례 상장주 : 2025년 2월 12일 기술성장기업(기술특례) 트랙으로 코스닥 상장.
    • 수소경제·탄소중립 인프라 : 수소충전소·수소생산, WGS 반응기, CO₂ 포집·저장 관련 EPC 사업을 중장기 성장동력으로 언급.

     

    2. 회사 개요 및 사업 구조

    1) 기본 정보

    상호: 주식회사 아이에스티이 (ISTE)

    설립: 2013.08.28

    상장시장: 코스닥

    종목코드: 212710

    본사: 경기 화성시 향남읍 토성로 306 (백토리 185)

    대표이사: 조창현

    연결 종속회사: 1개(국내 비상장 에너지 법인, 수소에너지 EPC 관련)

    주요 고객: SK하이닉스, SK실트론, Amkor, Echint(중국 PLP), 국내·해외 수소충전소 발주처 등

    2) 사업 부문

    장비사업(반도체·OLED·태양전지 등)

    FOUP/FOSB 클리너(전·후공정용, HBM/PLP 전용 포함)

    EFEM, Sorter 등 진공 물류·오토메이션 장비

    HBM용 SiCN PECVD, 기타 증착·세정 관련 장비

    에너지(수소에너지) 사업

    수소충전소 EPC(설비 입고·설치, 배관, 전기공사 중심)

    수소 생산 플랜트 EPC, 수전해·개질 설비, CO₂ 포집·저장, 수소연료전지 기반 식물공장 등 중장기 프로젝트

     

    3. 연결 기준 재무제표 요약 (최근 3년) / 단위: 백만원, %

    구분202220232024
    매출액37,40027,20041,100
    영업이익1,500-700600
    당기순이익             -5,700-100600
    자본금1,3001,8003,800
    자본총계-6,5004,8008,900
    부채비율완전잠식          891.82%           494.75%

    해석

    • 2022년: 매출 374억까지 키웠지만 대규모 손실(-57억)과 자본잠식(-65억) 발생.
    • 2023년: 반도체 업황 부진으로 매출 272억(-27%), 영업·순손실 유지. 다만 유상증자·RCPS 전환 등으로 자본총계가 +48억으로 자본잠식 해소.
    • 2024년: 매출 411억(전년 대비 +51%), 간신히 흑자전환(영업이익 6억). 자본총계 89억, 부채비율 494.8%로 여전히 레버리지 부담이 매우 큰 구조입니다.

     

    4. 매출 구조 (상품/서비스별 비중)

    자료가 명확한 2023·2024년 기준으로 정리합니다.

    1) 2024년 매출 구조 (추정)

    • 2024년 매출액: 41,100 백만원 (411억)
    부문매출액(추정)비중
    반도체 장비(FOUP, PECVD 등)             약 33,800                   약 82.4%
    수소에너지(EPC 등)약 7,300약 17.6%
    합계41,100100%

    2) 2023년 매출 구조 (증권사 리포트 기준)

    • 2023년 매출액: 27,200 백만원
    부문매출액(추정)비중
    반도체 장비약 14,90054.7%
    수소에너지            약 11,200                   41.3%
    기타 장비약 1,1004.1%
    합계27,200100%

    → 2022~23년에는 수소에너지 비중이 상당히 높았고, 2024년에는 반도체 장비 투자가 회복되면서 다시 장비 중심 구조로 이동한 모습입니다.

     

    5. 대주주 및 지분 구조 (FNGuide 기준)

    1) 현재 지분 현황 (추정 기준일: 2025년 중) /발행주식수 (보통주): 9,410,478주

    구분보유주식수(주)지분율
    조창현 외 9인 (최대주주 등)4,241,00045.07%
    └ 조창현-42.51%
    └ 노길수-0.74%
    └ 김근호-0.39%
    └ 허정수-0.30%
    └ 김주일-0.21%
    └ 기타 특수관계인 5인-약 1% 내외 합산
    기타 주주 (기관·개인 포함)               4,848,778                        51.53%
    자기주식320,7003.41%
    합계9,410,478100%

    유동주식비율(기타 주주 + 일부 기관투자가 등)은 51.53%로 공시돼 있습니다.

    2) 상장 전·후 주요 기관투자가 구조 변화

    상장 전(2024년 말~2025년 초)에는 산업은행·IBKC-메디치 등 금융기관이 5% 내외 지분을 보유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상장 직전 구조:

    조창현: 52.22%

    KDB산업은행: 9.95%

    IBKC-메디치 신기술투자조합: 3.02%

    노틸러스나인 신기술조합: 1.63% 등

    상장 이후 현재 5% 이상 주요주주로 잡히는 기관은 없고, 조창현 외 특수관계인 그룹만 45% 수준으로 남아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즉, KDB 등은 5% 미만으로 축소 또는 상당 부분 엑시트한 것으로 추정.)

     

    6. 대주주(조창현) 약력 및 운영 스타일

    1) 약력(공개된 범위 내 요약)

    1990년대: 현대전자(현 SK하이닉스 전신) 입사, Thin Film Engineer로 반도체 메인 공정 담당

    이후 중소 반도체 장비업체에서 PVD 스퍼터, 증착 장비 분야 경력

    2013년: (주)아이에스티이 설립, 대표이사 취임

    이후 FOUP 클리너 국산화를 추진해 SK하이닉스 BP 등록 및 공급사로 성장

    2020년대 들어 PECVD·수소에너지 사업으로 포트폴리오 확장

    SK하이닉스 출신 장비·공정 엔지니어로서, “해외 의존적인 핵심 장비 국산화”를 명확한 목표로 내세우는 스타일입니다.

    2) 운영 주체·투자 이유·사업 방식 해석

    운영 주체: 최대주주이자 대표이사로 직접 경영에 참여하는 창업자(오너 CEO) 구조.

    관련 인물: 주주명단에 있는 노길수, 김근호, 허정수 등은 장기간 함께한 핵심 임원/기술진으로 추정되며, 별도 상장사 오너 가문과의 연결 고리는 현재까지 공시상 보이지 않습니다.

    투자 이유(본인 관점):

    FOUP/FOSB 클리너 및 HBM용 PECVD로 글로벌 장비 시장 점유율 확대

    반도체 경기 변동을 완충하기 위한 수소에너지 EPC 포트폴리오 구축

    사업 방식:

    소수 핵심 고객(SK하이닉스 등)과의 동반 개발 → BP 등록 → 라인 확산 방식

    수소에너지는 EPC 중심으로, 정부·지자체 수소충전소 발주를 입찰해 수주 후 시공·유지보수 수행

     

    7. 상장 이력·자본 변동·특이 이벤트 (최근 5년)

    1) 상장 이력

    상장 방식: 코스닥 기술성장기업(기술특례) 상장

    상장일: 2025년 2월 12일

    공모가: 11,400원(희망밴드 상단)

    상장 첫날: 종가 22,500원(공모가 대비 +97.4%)

    상장 절차:

    2024.05: 상장예비심사 청구

    2024.10: 증권신고서 제출

    2025.01: 수요예측·공모가 확정

    2025.02: 코스닥 상장 완료

    특례상장 사유는 FOUP 클리너/PECVD 기술 경쟁력 및 수소에너지 사업 성장성입니다.

    2) 자본 변동·특이 이벤트 (요약)

    FNGuide·사업보고서 기준 주요 흐름입니다.

    연도자본금(백만원)              주요 이벤트(요약)
    2020         1,700RCPS·유상증자 등으로 설비 투자 및 FOUP 라인 확대
    20211,700수소충전소 EPC 사업 진입, FOUP 클리너 라인업 확대
    20221,300대규모 손실(-57억)로 자본잠식, 일부 자본조정(자본금 감소)
    20231,800유상증자·RCPS 전환 등으로 자본잠식 해소(자본총계 +48억)
    20243,800상장 전 3자배정·유상증자·준비금 자본전입, 주식매수선택권 일부 취소 등
    20254,600대코스닥 상장 공모 신주 발행(1,339,000주) 및 일부 스톡옵션 행사로 발행주식수 9,285천주까지 증가

    특징적인 점

    • 자본잠식 → 자본확충 → 상장 이라는 전형적인 pre-IPO 구조.
    • 다양한 은행 차입·무역어음·수출성장자금 대출 등으로 레버리지 확대 후, 상장을 통해 자기자본을 두껍게 만든 구조입니다.

    3) M&A·상폐 사유·액면분할·감자 등

    • 공시·뉴스 기준으로 기업인수·영업양수도·분할·합병·액면분할·감자·상폐 사유 등 특별한 이벤트는 확인되지 않습니다.
    • 2016년 FOUP 클리너 사업부 양수(나노세미콘)는 비상장 법인 간 거래로, 상장 후 대형 M&A 케이스는 아닙니다.

    4) 대주주 변경 여부

    • 설립 이후 현재까지 최대주주는 일관되게 조창현 대표로 유지되고 있습니다.
    • 다만 일부 기관(산업은행 등)의 지분 매입·엑시트는 있었으나, 최대주주 지위 자체가 바뀐 적은 없습니다.

     

    8. 전환사채·기타 부채 관련 자금 흐름

    1) 전환사채(CB) 및 사채

    최근 사업보고서·증권신고서 기준, 현재 잔존하는 CB/BW 등 희석성 사채는 없는 것으로 명시돼 있습니다.

    과거 비상장 시절에는 일부 사채·전환사채를 발행했다가, 2023~2024년 동안 사채·전환사채 상환이 현금흐름표에 기록되어 있습니다 (예: 2024년 전환사채 상환 약 4억 등).

    상장 준비 과정에서 은행 차입과 사채 구조를 단순화하고, CB 등 잠재 희석 요인을 해소하는 방향으로 정리한 것으로 해석됩니다.

    2) 현재 부채 구조와 이자 비용

    2024년 말 기준

    총자산: 53,100 백만원

    총부채: 44,100 백만원

    총자본: 8,900 백만원 (부채비율 494.75%)

    부채는 단·장기 은행차입금, 운전자금 대출, 수출성장자금대출, 무역어음 등 금융기관 차입이 중심입니다.

    2023~2024년 연간 이자지급액이 약 10억 전후로, 영업이익(2024년 6억)을 상회하거나 상당 부분을 잠식하는 수준입니다.

    고금리·고레버리지 구조라, 이자 부담이 실적에 상당한 압박을 주는 상태입니다.

     

    9. 최근 5년(2020~2024) 연도별 주요 포인트 정리

    연도사업·수주재무/자본기타 이슈
    2020          FOUP 라인업 확장(VFBC301 등), SK하이닉스향 공급 확대 시작            매출 24,300, 영업이익 3,300, 순이익 1,400, 부채비율 179%글로벌 FOUP 시장 진입, 국산화 점유율 약 5%대 시작
    2021NFC600(PLP용 FOUP 클리너) 출시, EFEM/Sorter 본격 판매매출 35,800, 영업이익 3,100, 순이익 2,800, 부채비율 170%EFEM/Sorter로 포트폴리오 확대, 수소충전소 EPC 사업 진입
    2022VFC310·NFC400 등 고사양 FOUP, 수소충전소 수주 확대매출 37,400, 영업이익 1,500, 순손실 -5,700, 자본잠식(-6,500)설비 투자·R&D·수소 프로젝트 비용으로 손실 확대, 자본잠식으로 재무 리스크 급증
    2023반도체 투자 위축으로 매출 역성장, 수소EPC 비중 증가매출 27,200, 영업손실 -700, 순손실 -100, 자본총계 4,800, 부채비율 892%                              유상증자·RCPS 전환 등으로 자본잠식 해소, 수소충전소 누적 7개 완공
    2024반도체 투자 회복, 장비 중심 매출 구조 전환매출 41,100, 영업이익 600, 순이익 600, 자본총계 8,900, 부채비율 495%기술특례 상장 준비(예심·증권신고서), 신주발행·준비금 자본전입, 스톡옵션 일부 취소

    분석 요약

    사업 측면:

    2020~21년 FOUP 클리너로 빠르게 성장 → 2022~23년 반도체 사이클 역풍 + 수소 사업 초기 비용 → 2024년 반도체 투자 회복 + PECVD·HBM 테마로 다시 성장 국면 진입.

    재무 측면:

    2022년 자본잠식이 큰 리스크였으나, 2023~24년 자본 확충으로 상장 요건을 맞추고 기술특례 상장 성공.

    다만 부채비율이 400~800% 수준으로 상장 후에도 레버리지 리스크는 여전히 HIGH.

    전략:

    FOUP 클리너·PECVD를 통해 반도체 국산화+HBM 고도화 장비에 집중하면서, 수소충전소 EPC로 장기 성장축 마련.

    SK하이닉스 의존도가 높아 고객 집중 리스크가 존재.

     

    10. 이 회사와 지배·지분 관계가 있는 상장사 여부

    • 사업보고서·공시 기준, 아이에스티이는 다른 상장사를 종속회사·관계기업으로 두고 있지 않습니다.
    •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은 모두 개인(조창현 외 임원·친족 등)이며, 특정 상장 지주회사나 그룹에 편입된 흔적은 없습니다.
    • KDB산업은행, IBKC-메디치 등 일부 주주는 금융기관(상장사 또는 그 자회사)이지만, 단순 재무적 투자자에 가까우며 지배력 행사는 없는 구조입니다.

     

    11. 투자 시 고려해야 할 핵심 포인트

    1) 긍정 요인

    FOUP 클리너 글로벌 니치 + 국산화 수혜

    글로벌 소수 업체가 과점하는 시장에서 SK하이닉스향 국산 클리너 공급으로 점유율 확대 중(2020년 5% → 2022년 14% → 2025년 20%대 목표).

    HBM·AI 반도체 수혜 PECVD 성장성

    SiCN PECVD를 SK하이닉스에 납품 시작, HBM·첨단 공정 투자 확대 시 수주 레버리지 기대.

    수소경제 인프라(EPC) 중장기 성장 옵션

    국내 수소차·수소충전소 CAGR이 높고(수소차·충전소 연평균 10~20% 이상 성장 전망), 해당 EPC에 참여하는 플레이어.

    2) 리스크 요인

    재무 구조(고레버리지 + 이자부담)

    2024년 부채비율 약 495%, 이자지급액이 영업이익 수준 또는 그 이상.

    금리가 높게 유지되거나 업황 부진 시, 이자비용 > 영업이익 구조가 다시 나타날 수 있음.

    고객 집중도

    매출의 상당 부분이 SK하이닉스·일부 제한된 반도체 고객에 집중.

    투자 축소·Capex 지연 시 실적 변동성이 매우 커질 수 있음.

    수소 사업 수익성 미확립

    수소충전소 EPC는 아직 입찰 경쟁이 치열하고, 초기 프로젝트의 마진이 높지 않아 성장성 대비 수익성 불확실.

    과거 자본잠식 이력

    2022년 자본잠식 경험이 있어, 경기 역풍 시 다시 손실 확대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습니다. (다만 현재는 상장·자본확충으로 해소된 상태.)

     

    12. 정리 – 아이에스티이 투자 시 관전 포인트

    무엇으로 벌까?

    지금은 FOUP/FOSB 클리너 + EFEM/Sorter + 초기 PECVD 매출이 캐시카우,

    중장기적으로 HBM/AI 공정용 PECVD + 수소충전소/수소생산 EPC가 추가 성장축입니다.

    누가 지배하나?

    SK하이닉스 출신 장비 엔지니어인 조창현 대표가 40%대 중반 지분으로 확실한 경영권을 보유한 창업자 1인 지배 구조입니다.

    재무적으로 무엇을 봐야 하나?

    상장으로 자본잠식은 해소됐지만,

    부채비율 400~500%, 연 10억 안팎의 이자 부담이 계속되므로

    향후 2~3년간 영업이익 > 이자비용 구도가 안정적으로 자리 잡는지,

    PECVD·수소EPC 매출이 어느 정도 규모로 안착하는지가 관건입니다.

    전환사채 리스크는?

    현재 CB/BW 잔액은 없는 상태라 희석 우려는 크지 않지만,

    필요시 또다시 사채·CB에 의존하는 구조로 돌아가지는 않는지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