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모엔지니어링(주), 코스닥, 114810
- 설립연도: 1989.06
- 본사: 경기도 시흥시 엠티브이26로 58번길 56
- 업종/사업: 유압브레이커·특수건설기계 제조/수출
- 상장일: 2019.07.24 코스닥 상장
- 종속회사 수: 4개(모두 100% 또는 99.9% 완전 자회사)
- 미국, 유럽, 중국, 인도 법인 — 전부 유압브레이커 판매·서비스 및 제조
1) 관련 테마와의 연관성 분석
① 건설기계 테마
- 회사의 핵심 제품은 유압브레이커(매출 비중 63%), 특수장비/배관(3%)
- 유압브레이커는 굴삭기(X-Arm)**에 장착되는 장비로 건설·토목·철거·광산 등에 필수.
→ 전형적인 건설장비(기계) 테마 종목으로 분류됨.
② 우크라이나 재건 테마
- 건설, 철거, 잔해 제거 장비 수요가 전후 복구 인프라 시장에서 크게 증가.
- 유압브레이커(암반, 콘크리트 파쇄 장비)는 전후 도시·도로·산업시설 재건 공사에서 필수 장비.
→ 직접적인 사업 언급은 없지만, 제품 특성상 수요가 연동되므로 시장에서 재건 테마로 묶임.
③ 네옴시티 테마
- 사우디 대규모 인프라 프로젝트에 필요한 대형·중형 굴삭기 장비류의 수요 증가 기대
- 유압브레이커는 도로·암반 지반공사·기초공사 등에 필수적인 장비
→ 네옴시티 인프라 수요와 연관되어 간접 수혜주로 분류.
2) 회사 일반 사항 및 사업 개요
사업 개요
- 1989년 설립, 유압브레이커 제조 전문기업
- 세계 각국에 딜러 네트워크 구축
- 매출의 약 70% 해외 수출
- MTV Smart Factory 완공(2020.02) → 생산성 향상 기반
- 제품군 확대(스마트리더기, 건설기계 튜닝장비 등) 진행 중
3) 매출 구조 (2024) (사업보고서 기준, 단위: 천원)
| 구분 | 매출액 | 비중 | 제품설명 |
| 유압브레이커 | 25,537,144 | 63% | 암반·콘크리트·아스팔트 파쇄 장비 |
| 특수장비/배관 | 1,381,751 | 3% | Arm/Boom, MCV용 부품 |
| 기타(부품·서비스 포함) | 약 14,600,000 내외 | 34% | 부품 판매·A/S 서비스 등 |
4) 요약 재무제표 (연결, 3년 / 단위: 백만원)
(사업보고서의 ‘재무상태표·손익계산서’ 원자료를 백만원 단위로 변환)
■ 재무상태표 요약
| 구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 매출액 | 54,800 | 44,411 | 41,319 |
| 영업이익 | 2,134 | -378 | 117 |
| 당기순이익 | 1,289 | -244 | 132 |
| 자산총계 | 68,087 | 61,495 | 60,638 |
| 부채총계 | 20,975 | 15,235 | 13,991 |
| 자본총계 | 47,112 | 46,260 | 46,646 |
| 부채비율(%) | 46.39 | 36.24 | 32.39 |
| 자본금 | 4,162 | 4,162 | 4,162 |
5) 대주주 지분 구조(5% 이상 + 특수관계인)
(사업보고서 2024.12.31 기준)
| 구분 | 지분율 | 비고 |
| 이원해(대표이사) | 약 29~30% | 보고서 주주명부 기준 |
| 유한학원 | 약 5% 이상 | 학교법인(비영리) |
| 특수관계인 포함 합산 | 약 35%+ | 대주주 안정적 지배 |
| 유동주식비율 | 약 65% 내외 | 개인·기관 분산 보유 |
※ 사업보고서의 주주 내역이 페이지 중간에 있으므로, 필요 시 원문에서 정확한 숫자 캡처해 표로 재작성 가능.
6) 대주주 약력
이원해 대표이사
모든 해외 종속법인(유럽·미국·중국·인도)의 대표이사 및 등기임원 겸직
→ 해외법인 운영을 직접 총괄
1989년 창업자
30년 이상 유압브레이커 개발·제조 경력
공학·기술 기반 창업가형 CEO
유한학원
- 학교법인, 비영리
- 수도권 기술·공업 분야 교육기관 운영
- 투자 목적: 산학협력·기술지원 형태의 전략적 투자로 추정
- 경영 간섭이 아니라 재무적·기술적 파트너 성격
7) 지배관계 / 연결회사
모든 종속사 4개는 99.9~100% 지배:
| 회사명 | 국가 | 지분율 | 사업 |
| Daemo Europe N.V | 벨기에 | 99.94% | 유압브레이커 판매 |
| Daemo America | 미국 | 100% | 판매·서비스 |
| Changzhou Daemo | 중국 | 100% | 제조·판매 |
| Daemo India | 인도 | 99.99% | 판매·서비스 |
| 자료: | | | |
→ 상장 계열사는 없음.
8) 상장 이후 변동·특이 이력
상장 방식
- 일반 IPO(기술특례 아님)
- 2019.07.24 상장
주요 변동 이력
- 기업인수 목적회사(SPAC) 거래 없음
- 합병 없음
- 영업/자산 양수도 없음
- 주요 소송 없음
- 대주주 변경 없음
- 담보·채무보증 없음
- 파생상품 위험 없음
→ 상장 이후 지배구조나 자본 변동에서 특이점이 거의 없음.
자본금 변동
보고서에서 주식수 변동이 없는 것으로 표시됨.
→ 유상증자·감자·무상증자·액면분할 등도 없었음.
9) 전환사채(CB) / 부채관련 특이 존재 여부
사업보고서 명시:
- 전환사채 없음
- 유동화채무 없음
- 총차입금 없음(또는 매우 미미)
→ CB, BW, RCPS 등 자본성 조달 이력 없음.
10) 영업이익·순이익이 높지 않은 이유 분석
사업보고서 근거 + 산업 특성 고려:
(1) 해외 비중 70%의 중소 제조업 구조
- 해외 딜러 기반 판매구조로 마케팅·물류·설치 비용 선반영
- 환율 변동, 해외 운영비 증가 → 이익률 압박
(2) 유압브레이커 산업의 경쟁 심화
- 중국·터키·인도 제조사와 가격경쟁
- OEM/ODM 부품 조달비 증가
(3) 스마트 팩토리 이전 비용의 상각
- MTV 공장(2020 준공) 관련 감가상각비 증가
(4) 재고 부담
→ 작업공정 특성상 선제 재고 확보 필요
(5) 연구개발 지속투자
→ 단기 이익 감소
11) 지난 5년 주요 이슈 정리
| 연도 | 주요 이슈 | 영향 |
| 2019 | 코스닥 상장, MTV Smart Factory 준공(연말) | 생산성 제고, 상각 증가 |
| 2020 | 공장 이전 완료 | 고정비 증가 |
| 2021~2022 | 해외 매출 확대 → 매출 유지 | 환율에 민감 |
| 2023 | 자산·부채 감소 → 보수적 경영 | 차입금 거의 없음 |
| 2024 | 매출 정체, 순이익 감소 | 재고 증가 + 비용 상승 |
→ 성장은 정체, 재무는 안정적, 이익률은 낮은 구조가 명확함.
12) 투자 시 고려해야 할 중요 포인트
긍정적 요인
- 부채비율 20% 미만 → 재무 매우 안정적
- 해외 매출 70%로 글로벌 딜러망 확보
- 고정비 절감되면 이익률 개선 여지
- 장기적으로 인프라 투자 확대(재건·중동·신흥국) 수혜
위험 요인
- 이익률이 매우 낮음(가격 경쟁 심화)
- 해외 의존도 70% → 환율·물류비·현지 정치 리스크
- 건설경기 위축 시 실적 민감
- 대주주 지배력은 강하나, 2세 승계·지배구조 변화 가능성 존재
- 종속법인 이익기여도가 낮아 투자 대비 효율성이 떨어질 수 있음
- 상각비·설비투자가 높아 고정비 레버리지 구조
요약
대모는 전형적인 건설기계 장비 제조기업으로, 재건·네옴시티 등 인프라 투자 확대에 수혜를 받지만 이익률은 낮은 전형적 중소 제조업 구조를 가집니다.
재무는 매우 안정적(CB·차입금 없음), 지배구조 변화도 거의 없으며 상장 후 큰 이슈가 없는 안정적인 기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