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폰 테마의 상승기 시점별 대장주와 주도주 변화는 매년 아이폰 신제품이 발표되는 시기(보통 9월)를 전후해 형성된 기대감과 실제 판매 실적, 애플의 부품 구조 변화, 공급망 변화에 따라 달라져 왔습니다.
특히 2017년 이후 OLED 채택 본격화, 카메라 기능 고도화, 5G 도입, 고성능 배터리 확대 등의 기술적 변화가 종목별 주도권을 바꾸는 결정적 요인이 되었습니다.
아이폰 테마 주요 상승기 시점별 대장주 및 주도주 변화
시기 | 주요 상승 배경 | 대장주 | 주도주 변화 요인 |
2017년 하반기 (아이폰X) | OLED 최초 채택, Face ID 도입 | LG이노텍 | 카메라 모듈 Face ID 모듈 독점 공급으로 강한 상승세를 보였으며, 부품 단가가 크게 올라 수익성이 개선됨 |
2019년 하반기 (아이폰11) | 카메라 트리플 렌즈 확대 | LG이노텍, 하이비젼시스템 | LG이노텍은 멀티카메라 확대로 매출 증가, 하이비젼시스템은 LG이노텍의 검사장비 납품 확대 수혜 |
2020년 하반기 (아이폰12) | 5G 모델 첫 출시, OLED 전면 채택 | 비에이치, 이녹스첨단소재 | 비에이치는 OLED용 FPCB 공급 증가로 실적 개선, 이녹스첨단소재는 연성소재 수요 증가로 동반 상승 |
2021년 하반기 (아이폰13) | 카메라 성능 강화, 센서 시프트 기술 도입 | LG이노텍, 하이비젼시스템, 덕우전자 | LG이노텍은 카메라 고급화 지속, 하이비젼시스템은 고성능 검사장비 수요 급증, 덕우전자는 하우징 부품 확대 수혜 |
2022년 하반기 (아이폰14) | Pro 모델에만 A16 칩, Dynamic Island 등 디자인 변화 | 덕산네오룩스, 삼성전기, 비에이치 | OLED 및 MLCC 수요 증가, 소재부품 업체 중심의 주도권 재편 |
2023년 하반기 (아이폰15) | USB-C 채택, 티타늄 소재 프레임 도입 | 이녹스첨단소재, 인터플렉스, 프로텍 | 새 소재 채택과 공정 변화로 소재·장비 업체 주목. 프로텍은 접착공정용 디스펜서 장비 수혜 |
종합 정리: 대장주 vs 주도주의 흐름
대장주는 주로 LG이노텍이 유지: 카메라모듈, Face ID 등 애플 고급부품을 주도적으로 납품하며 실적과 주가가 동반하여 상승
주도주는 해마다 소재와 장비 쪽으로 순환:
OLED 채택 확대 시기에는 비에이치, 이녹스첨단소재, 덕산네오룩스
카메라 모듈 확대 시기에는 하이비젼시스템, 덕우전자
공정 변화 또는 디자인 변경 시기에는 프로텍, 인터플렉스 등 후공정 장비 및 FPCB 기업이 부각
최근 트렌드와 향후 주목 종목
- 향후 출시될 아이폰16/17 시리즈는 AI 칩 강화, 배터리 성능 향상, 카메라 업그레이드가 핵심이 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은 종목이 주도주로 부상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전망 시점 | 예상 주도주 | 주목 포인트 |
2024~25년 | 비에이치, 이녹스첨단소재, 하이비젼시스템 | OLED 고급화 지속, FPCB 다층화, AI ISP용 고성능 센서카메라 확장 |
AI·센서 강화 방향 | LG이노텍, 삼성전기, 프로텍 | Face ID 정밀화, 센서 통합 카메라 모듈 고도화, 고정밀 디스펜서 장비 수요 증가 |
아이폰 테마는 단기적인 이벤트(출시 일정, 부품 채택 등)와 중장기적인 기술 트렌드(OLED, FPCB, AI 칩, 카메라 고도화 등)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므로, 주도주의 교체 타이밍을 놓치지 않는 섬세한 관찰이 필요할 것입니다.
특히 공급망 내 위치와 기술 진화에 따라 종목별 기대 수혜 폭이 상이하므로, 기술 트렌드 중심의 접근이 투자 전략에서 유리하게 작용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