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페이지
  • 게시판
  • 테마정보
  • 테마별 종목

테마와 종목 선정 이유

  • 적층세라믹콘덴서(MLCC) 테마 히스토리/ 상승기 대장주 주도주 변화

    작은연못 25 회 2025-07-30

  • 

    적층세라믹콘덴서(MLCC) 테마는 스마트폰, 전기차, 서버, 통신장비 등 전방산업의 수요 변화와 함께 민감하게 반응하는 특성이 있으며, 이에 따라 테마 상승기 시점마다 대장주와 주도주가 달라지는 흐름을 보여왔습니다. 특히 삼성전기를 중심으로 한 대형 제조사 중심 구간, 그리고 소재·장비주 중심의 2차 확산 구간이 반복적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아래에서는 최근 주요 상승기 구간을 중심으로 대장주와 주도주의 변화 흐름을 정리하였습니다.

     

    1. 2020년 하반기 ~ 2021년 초

    스마트폰·IT 기기 출하량 급증 → MLCC 수요 확대

    항목내용
    시기2020년 10월 ~ 2021년 3월
    배경코로나19 이후 리오프닝 국면에서 스마트폰·노트북 출하량 급증. IT 기기향 MLCC 수요 확대
    대장주삼성전기: 글로벌 MLCC 시장 점유율 급등, 외형 성장 동반
    주도주삼화콘덴서, 아모텍: 전장용 및 수동부품 업체로서 동반 강세
    특징삼성전기가 강한 실적 개선세를 보이며 중심축 역할. 후속으로 전장·고전압 특화 제품을 보유한 중소형 업체로 확산

     

     

    2. 2021년 하반기 ~ 2022년 상반기

    전기차 시장 성장 가속 → 전장용 MLCC 수요 급등

    항목내용
    시기2021년 8월 ~ 2022년 5월
    배경테슬라 및 글로벌 전기차 확대 → 차량용 MLCC 수요 급증. 기존보다 내열성·고전압 제품 수요 증가
    대장주삼화콘덴서: 전장용 MLCC 비중 확대, 독자적 고온 대응 기술 부각
    주도주대주전자재료, 코스모신소재: 내외전극용 페이스트 및 세라믹 소재 이슈로 주목
    특징전장용 MLCC가 주목받으며 중소형 소재 업체의 급등이 나타남. 삼성전기는 상대적 정체 구간

     

     

    3. 2023년 하반기 ~ 2024년 상반기

    AI서버·데이터센터 수요 증가 → 고용량 MLCC 필요성 확대

    항목내용
    시기2023년 9월 ~ 2024년 4월
    배경ChatGPT 등 생성형 AI 확산 → AI서버 증설 → 고신뢰성·고용량 MLCC 수요 증가
    대장주삼성전기: AI 서버향 MLCC 공급 확대 기대감 반영
    주도주네온테크, 원준: MLCC 장비 수요 급증 기대에 따른 설비 투자 확대 기대감 부각
    특징전방산업 변화(서버 중심)에 따라 장비·소재주로 확산. 고온·고전압 대응 MLCC 수요 증가로 특수 제품군 중심 재조명됨

     

     

    4. 2025년 상반기~최근

    전고체배터리·AI 엣지 디바이스 확대 → 소형 고용량 MLCC 부각

    항목내용
    시기2025년 2월 ~ 진행 중
    배경전고체배터리 장비 이슈와 함께 MLCC 소성 장비 공급 확대 전망. 스마트폰/웨어러블 기기에서 소형·고용량 MLCC 수요 지속
    대장주원준: 전고체배터리 소성로뿐 아니라 MLCC용 소성 장비 공급 확대 기대감
    주도주코스모신소재, 코칩: 소재 내재화 및 신규 진입 모멘텀으로 시장 관심 집중
    특징메가테크와 연결된 소재·장비주의 확산. 삼성전기는 고점 부담 및 수익률 정체 구간 진입 중

     

     

    정리: 시기별 대장주·주도주 흐름 요약표

    시기대장주주도주주요 이슈
    2020.10 ~ 2021.03삼성전기삼화콘덴서, 아모텍스마트폰·IT 회복
    2021.08 ~ 2022.05삼화콘덴서대주전자재료, 코스모신소재전기차 전장용 확대
    2023.09 ~ 2024.04삼성전기네온테크, 원준AI서버·고신뢰성 수요
    2025.02 ~ 현재원준코스모신소재, 코칩전고체배터리+소형화 트렌드

     

     

    이와 같이 적층세라믹콘덴서(MLCC) 테마는 전방산업의 변화와 기술 트렌드에 따라 순환적으로 주도주가 변화해왔으며, 삼성전기를 축으로 대형주 → 소재/장비 → 신규 진입 테마 확산의 흐름이 반복되는 구조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향후 전기차, AI 엣지 디바이스, 전고체배터리 등 신산업군의 확장에 따라 고신뢰성·초소형 MLCC 수요가 증가할 것이며, 관련 종목들은 중장기적 관점에서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할 것입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