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CTV&DVR 테마의 주가는 사회적 사건, 정부 정책, 스마트시티 확대, 기술 진화와 같은 외부 모멘텀에 따라 급등락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 테마의 과거 주요 상승기를 중심으로 대장주 및 주도주의 변화를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1. 2016~2017년: 스마트시티 시범사업 및 도시 안전 강화 정책 수혜기
- 배경: 정부 주도의 스마트시티 시범사업 확대, 범죄 예방 및 치안 강화 이슈 부각
- 테마 촉발 요인: 공공기관 CCTV 설치 예산 증가, ‘여성 안전 도시’ 프로젝트 등
구분 | 주요 대장주 | 설명 |
대장주 | 아이디스 | 글로벌 수출 비중 높은 영상보안 대표주. DVR/NVR 및 고급 카메라 기술력 부각됨 |
주도주 | 코콤, 비츠로시스 | 아파트 및 건물용 영상감시 시스템 공급 증가. 홈네트워크 보안 이슈와 연계돼 부각됨 |
2. 2020년: 코로나19 이후 비대면·무인화 확산 및 AI CCTV 수요 증가
- 배경: 팬데믹 이후 비대면 보안 시스템 및 AI 기반 이상행동 감지 솔루션 수요 급증
- 테마 촉발 요인: 공공장소 및 병원 등에 AI CCTV 설치, 인공지능 객체인식 기술 수요 증가
구분 | 주요 대장주 | 설명 |
대장주 | 포커스에이아이 (당시 '뷰웍스AI') | AI 기반 객체 분석, 행동 감지 기술력 부각. 순수 소프트웨어 기업으로 차별화됨 |
주도주 | 인콘, 앤씨앤 | AI 영상분석 기능을 포함한 DVR/NVR 확대. 북미 수출 및 차량보안 시장 진출 부각 |
3. 2022~2023년: 스마트시티 및 치안강화 정책 본격화
- 배경: 윤석열 정부 출범 후 치안 기반 인프라 강화, ‘디지털플랫폼정부’ 정책 추진
- 테마 촉발 요인: 스마트도시 통합관제센터 확대, 민간 CCTV 설치 지원 확대
구분 | 주요 대장주 | 설명 |
대장주 | 한화비전 | 한화그룹 계열로 ‘토탈 보안 솔루션’ 강조. AI 영상분석과 하드웨어 원스톱 공급 체계 확보 |
주도주 | 엑시큐어하이트론, 비츠로시스 | 중저가형 CCTV 확대와 공공 프로젝트 수혜. 구축형 시스템 강자 |
4. 2024~2025년: AI 감시 솔루션 상용화 및 영상인식 기술 고도화
- 배경: AI 기반 감시, 얼굴 인식, 행동 분석 등 기술 발전과 민간 수요 폭증
- 테마 촉발 요인: AI+영상보안 통합 솔루션, GPT-기반 스마트관제 시스템, 국내외 수출 확대
구분 | 주요 대장주 | 설명 |
대장주 | 포커스에이아이 | 영상 내 객체 식별 및 추적 기술, 지자체와의 AI 관제 시스템 공급 계약 확대 |
주도주 | 한화비전, 아이디스 | 글로벌 시장 대응력과 AI 영상처리 기술 겸비. 하드웨어+소프트웨어 통합 강점 부각 |
테마 내 종목 순환 구조 요약
- 하드웨어 중심 테마 시기: 아이디스, 한화비전이 주도
- AI 분석 기능 강조 시기: 포커스에이아이, 인콘 등 소프트웨어 기반 기업 부각
- 정책 테마(스마트시티, 공공기관 설치 확대): 비츠로시스, 엑시큐어하이트론 등 구축형 시스템 기업 순환 상승
전망 요약
앞으로 이 테마는 AI+보안 통합 플랫폼이 주도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에 따라 AI 영상 분석 기술을 내재화한 기업들이 테마의 중심으로 부상할 것으로 보이며, 단기적으로는 정부 예산 편성과 지자체 발주 공고에 따라 수혜 종목군이 빠르게 바뀔 수 있는 순환매 테마의 성격을 유지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