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 테마의 상승기 시점은 주로 정부의 교통 인프라 투자 확대 발표, GTX(수도권광역급행철도) 사업 본격화, 남북철도 연결 기대감, 또는 철도 수출 계약 체결 등과 연계되어 발생해왔습니다. 이와 같은 정책적, 지정학적, 수출 이슈에 따라 대장주 및 주도주가 시기별로 교체되어 왔습니다. 다음은 주요 상승기별 흐름과 대장주, 주도주의 변화를 정리한 내용입니다.
① 2017~2018년 남북경협 기대감 상승기
- 배경: 문재인 정부의 남북철도 연결 추진, 남북정상회담
- 주요 테마 자극 요인: 경의선·동해선 연결 사업 언급, 유엔 대북제재 완화 기대
시기 | 대장주 | 주도주 | 특징 |
2018년 1~6월 | 현대로템 | 대호에이엘, 특수건설, 동아지질 | 현대로템은 철도차량 대표, 특수건설·동아지질은 철도 토목공사 수혜 |
2018년 하반기 | 현대로템 → 다원시스 | 푸른기술, 유신, 도화엔지니어링 | 현대로템 급등 이후 수급 분산, 중소형 전기장치·설계회사 부각 |
② 2020년 코로나 이후 경기부양 기대감 상승기
- 배경: 한국판 뉴딜(디지털+그린 뉴딜), SOC 투자 확대
- 주요 테마 자극 요인: 국가철도망 계획 2차 개정 발표, GTX 사업 속도 조정
시기 | 대장주 | 주도주 | 특징 |
2020년 중반 | 다원시스 | 에스트래픽, 제룡전기, 서한 | 전동차 전장부품/신호제어 관련주 강세 |
2020년 말 | 에스트래픽 | 옵티시스, 우리넷, 푸른기술 | 역사 자동화, 신호시스템 관련 기술주 순환매 |
③ 2021~2022년 GTX 본격화 및 지방 대선 공약 수혜기
시기 | 대장주 | 주도주 | 특징 |
2021년 상반기 | 현대로템 | 유신, 도화엔지니어링, 특수건설 | 철도설계·엔지니어링 수혜주 부각 |
2022년 초 | 다원시스 | 제룡전기, 세명전기, 알루코 | 다원시스는 지속 수급 유입, 전력기기 종목군 순환매 강세 |
④ 2023~2024년 AI+인프라/GTX 전국 확대 기대 시기
시기 | 대장주 | 주도주 | 특징 |
2023년 상반기 | 다원시스 | 제룡전기, 피앤씨테크, 폴라리스AI | 철도차량 제어+전력공급·AI 관련주 상승 전환 |
2023년 하반기~2024년 초 | 에스트래픽 | 푸른기술, 와이어블, 옵티시스 | 역사 자동화 및 통신·신호장치 기업 강세 |
요약 정리
시기 | 주요 이슈 | 대장주 | 주도주 흐름 |
2018 | 남북철도 연결 | 현대로템 | 동아지질, 특수건설, 도화엔지니어링 |
2020 | 뉴딜 정책 | 다원시스 | 에스트래픽, 제룡전기 |
2021~22 | GTX 본격화 | 현대로템, 다원시스 | 도화엔지니어링, 알루코, 서한 |
2023~24 | GTX 전국화, AI융합 | 다원시스, 에스트래픽 | 푸른기술, 옵티시스, 폴라리스AI |
앞으로의 주도주 변화 전망
- GTX-C 이후 추가 노선 공사 착공 시 → 현대로템, 특수건설, 유신 등 재부각
- AI 기반 스마트 철도 확산 시 → 에스트래픽, 폴라리스AI, 옵티시스 등 기술주 순환매
- 철도차량 노후 교체 본격화 시 → 다원시스, 제룡전기, 세명전기 재상승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