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챗봇/챗GPT 테마는 ChatGPT의 글로벌 대중화(2022년 11월~)를 계기로 국내 주식시장에서도 주목을 받기 시작하였으며, 2023년부터 현재(2025년 중반)까지 몇 차례 상승 파동을 경험하였습니다. 그 과정에서 대장주와 주도주가 순환적으로 교체되며 테마 내 종목들의 관심도가 달라지는 흐름이 전개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시기별 흐름을 중심으로 대장주와 주도주 변화를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1차 상승기 (2023년 1월 ~ 3월)
모멘텀: OpenAI의 ChatGPT 대중화 → 국내에서도 생성형 AI 도입 기대감
핵심 키워드: "챗GPT", "초거대 AI", “국산 언어모델”
구분 | 종목 | 설명 |
대장주 | 솔트룩스 | 국내 언어AI 대표기업. GPT 대항마로 자체 언어모델 개발 소식 부각 |
주도주 | 와이즈넛 | 공공기관 챗봇 납품 실적 다수. 실제 매출 발생 기대감 |
주도주 | 셀바스AI | 음성합성·자연어처리 기술로 의료 챗봇·고객 응대 시장 확대 가능성 |
이 시기는 ‘국내에도 GPT 같은 게 가능한가?’라는 기대감이 시장에 퍼지면서, 언어모델을 자체 개발 중인 회사 또는 챗봇 솔루션 상용화 경험이 있는 기업이 주목받기 시작한 단계였습니다.
2차 상승기 (2023년 6월 ~ 8월)
모멘텀: 네이버 '하이퍼클로바X', 카카오 'KoGPT' 등 국산 초거대언어모델 공개
핵심 키워드: “생성형 AI 상용화”, “검색+광고+챗봇 접목”
구분 | 종목 | 설명 |
대장주 | NAVER | '하이퍼클로바X' 상용화 발표, 검색+쇼핑에 AI 챗봇 도입 선언 |
주도주 | 카카오 | KoGPT 기반 서비스 확대 기대감 (톡상담, 금융상담 등) |
주도주 | 플리토 | AI 번역 챗봇 수요 확대 기대감. 다국어 학습 데이터 기업으로 부각 |
주도주 | 코난테크놀로지 | AI 추론 엔진 기반의 자연어 처리 기술 보유로 관심 증폭 |
이 시기에는 플랫폼 대기업들이 직접 GPT 대항 언어모델을 개발하며 시장 주도권 경쟁에 나섰고, 이에 따라 NAVER와 카카오가 대장주로 부상하였습니다.
3차 상승기 (2024년 1월 ~ 2월)
모멘텀: 기업용 GPT API 상용화 본격화, 정부 디지털정책에 AI챗봇 포함
핵심 키워드: “B2B AI 챗봇”, “정부 민원 AI”, “교육·금융 AI 상담 확산”
구분 | 종목 | 설명 |
대장주 | 브리지텍 | AI 콜봇·챗봇 솔루션 중심의 수익구조 확장. 다수 금융권 납품 |
주도주 | 인포뱅크 | 자체 챗봇 플랫폼 ‘플러스챗’ 확장. 통신·공공기관 납품 확대 |
주도주 | 브레인즈컴퍼니 | IT인프라 자동화 + 챗봇 도입 수혜. 기술적 반등 구간에서 급등 |
주도주 | 엑셈 | 모니터링 솔루션과 AI 통합 추진하며 테마성 부각 |
이 시기에는 단순 기술보유보다 매출 연계가 가능한 기업, 특히 정부기관, 금융기관에 납품하는 기업 중심으로 재조명되었으며, 기존 언더독 종목들이 부각되며 대장주와 주도주가 중소형주로 이동하는 경향이 강했습니다.
4차 상승기 (2024년 10월 ~ 11월)
모멘텀: 오픈AI의 GPT-4 Turbo 출시, ChatGPT 기업용 플랜 급확산
핵심 키워드: “AI 비서 서비스”, “RAG”, “AI 오피스 융합”
구분 | 종목 | 설명 |
대장주 | 한글과컴퓨터 | 생성형 AI 오피스 통합 기능 발표 (요약, 자동완성 등) |
주도주 | 폴라리스오피스 | AI 기능 탑재 계획 발표. 테마편입 + 저가매수로 급등 |
주도주 | 모델솔루션 | AI 서버 프로토타입 제작 기업으로 엔비디아 수혜 모멘텀 |
주도주 | 이수페타시스 | AI 반도체용 PCB 공급 확대 기대감으로 재편입 |
이 구간은 AI가 업무 자동화·문서 편집·회의 요약 등 생산성 도구로 진화하는 흐름 속에서, 기존 ‘소프트웨어+오피스’ 기업들이 새로운 수혜주로 주목받은 시점이었습니다.
현재(2025년 중반)
모멘텀: AI 챗봇의 고도화 → 검색, 상담, 교육, 헬스케어 등 실질적 성과 기대
주목 흐름: 대형 IT기업들의 기술 고도화는 안정기 접어듬. 반면 AI 챗봇을 실제 납품·상용화하고 있는 중소형 솔루션 기업들이 순환매성 관심을 받고 있음.
유망 종목군: 마음AI, 브리지텍, 인포뱅크, 와이즈넛, 사이냅소프트, 코난테크놀로지
요약: 테마 내 대장주 흐름 변천
시기 | 대장주 | 테마 흐름 요약 |
2023.1 ~ 3 | 솔트룩스 | 국내 GPT 대항마 기대감 |
2023.6 ~ 8 | NAVER | 대기업 하이퍼클로바X 출시 |
2024.1 ~ 2 | 브리지텍 | 공공·금융기관 AI 챗봇 납품 확대 |
2024.10 ~ 11 | 한글과컴퓨터 | 생성형 AI 오피스 통합 수혜 |
2025.현재 | 순환매 구간 | 챗봇 상용화 기업 중심 재조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