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페이지
  • 게시판
  • 테마정보
  • 테마별 종목

테마와 종목 선정 이유

  • 스마트홈(홈네트워크) 테마 히스토리/ 상승기 대장주 주도주 변화

    작은연못 27 회 2025-07-28

  • 

    스마트홈(홈네트워크) 테마는 국내외적으로 신축 아파트 수요 증가, 스마트시티 정책 강화, IoT 및 AI 기술 확산 등 외부 환경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해 왔으며, 특히 가전기업, 통신사, 보안·네트워크 업체들이 주도주로 교체되며 테마의 흐름을 이끌어왔습니다.

     

    다음은 과거 주요 상승기 시점별 대장주 및 주도주의 변화 흐름에 대한 정리입니다.

     

    스마트홈 테마 상승기 시점별 대장주 및 주도주 변화

    시점배경대장주주도주 흐름
    2020년 상반기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수요 폭증’과 재택근무 확산 → 홈 IoT, 공기질 관리 제품 급부상위닉스삼성전자, LG전자, SK텔레콤 등 가전·통신주가 안정적 상승. 위닉스는 공기청정기 수요 확대 수혜로 강세
    2021년 상반기정부의 스마트시티 시범도시(세종·부산) 투자 본격화. IoT 기반 아파트 시스템 확산누리플렉스, 옴니시스템에스넷, 자이에스앤디, 제일일렉트릭 등 스마트미터기·건설 홈네트워크 공급주가 순환 상승
    2022년 하반기전력요금 상승, 에너지 절감 기기 수요 확대 → HEMS(홈에너지관리시스템) 관심 증가경동나비엔위닉스, 옴니시스템, 피에스텍 등 ‘에너지관리·전력제어’ 테마주들이 단기 랠리 주도
    2023년 상반기ChatGPT 이슈로 AI 기반 홈자동화 관심 증대 + SKT·KT의 AI 플랫폼 홈 확장SK텔레콤, KTLG전자, 에스원, 포스코DX 등 AI·보안·플랫폼 확장형 업체로 주도주 중심 이동
    2024년 하반기국토부, 스마트건설·스마트빌딩 확대 계획 발표. 신규 아파트 스마트홈 의무화 확대자이에스앤디, 포스코DX현대에이치티, 코콤, HDC랩스 등 ‘건설사 연계 홈시스템 업체’ 주도 상승

     

     

    상승기별 특징

    • 1세대 대장주(2020~2021)는 위닉스, 누리플렉스 등 단일 제품 중심 수혜주들이었습니다. 공기청정기, 전력계량기 등 특정 환경 요인에 민감하게 반응하였습니다.

     

    • 2세대 주도주(2022~2023)는 스마트홈이 통합 플랫폼화되면서 통신 3사(SK텔레콤, KT, LG유플러스)와 함께 LG전자, 삼성전자 같은 기기+소프트웨어 통합 제공기업으로 확장되었습니다.

     

    • 3세대 주도주(2024~)는 스마트홈 기술이 신축 아파트 건설과 연동되는 구조로 진화하면서, 자이에스앤디, 포스코DX, 현대에이치티 등 건설+IT 융합형 기업이 주목받기 시작하였습니다.

     

    최근 기술적 주도주 분석 (2025년 기준)

    종목명최근 특징
    포스코DX스마트건설, 스마트빌딩 시스템 공급 확대로 대형주 중심 수급 유입
    자이에스앤디GS건설 계열. 아파트 단지 홈네트워크 플랫폼 고도화로 관심 확대
    현대에이치티아파트 월패드, 보안기기 중심의 꾸준한 실적 개선
    KT, SKTAI스피커와 홈 연동 서비스 확대. ChatGPT 이후 재조명

     

     

    결론

    스마트홈 테마는 단순 가전 중심에서 → 플랫폼 기반 통합 홈서비스로, → 건설 및 도시 인프라 중심의 스마트빌딩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대장주도 위닉스 → 누리플렉스 → 통신 3사 및 가전 → 건설·IT 융합업체로 교체되어 왔으며, 향후에도 정책, 기술 트렌드, 소비패턴 변화에 따라 새로운 주도주가 등장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