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페이지
  • 게시판
  • 테마정보
  • 테마별 종목

테마와 종목 선정 이유

  • 게임 테마 히스토리/ 상승기 대장주와 주도주 변화

    작은연못 29 회 2025-07-25

  • 

    게임 테마는 국내외 시장의 흐름, 정책 변화, 기술 트렌드, 신작 흥행 여부 등에 따라 상승 사이클이 여러 번 존재해왔습니다. 특히 2017년~2023년까지는 모바일 게임 성장, 중국 판호 이슈, 코로나19 수혜, P2E(Play to Earn) 게임 붐 등으로 대장주 및 주도주가 수 차례 교체되는 흐름을 보여주었습니다.

     

    아래에서는 대표적인 상승기 시점별로 대장주와 주도주 변화를 정리해 설명하겠습니다.

     

    1. 2017년 ~ 2018년: 모바일 게임 성장기

    구분종목명주요 내용
    대장주넷마블코스피 상장(2017), '리니지2 레볼루션' 글로벌 흥행
    주도주컴투스, 게임빌'서머너즈워', '별이되어라' 등 해외 매출 증가
    특징모바일 중심 구조, 퍼블리셔 중심 흥행 지속 

    당시에는 모바일 게임이 콘솔·PC를 빠르게 대체하며 성과를 이끌었고, '리니지2 레볼루션'의 글로벌 흥행이 시장 전체에 자극을 주는 구조였습니다.

     

    2. 2020년: 코로나19 + 게임 산업 호황

    구분종목명주요 내용
    대장주엔씨소프트'리니지M', '리니지2M' 등 국내 매출 견인
    주도주펄어비스, 웹젠, 엠게임'검은사막 모바일', 고전 MMORPG 부활
    특징언택트 수혜주로 게임 업종 전반 강세 

    재택근무와 외출 자제로 인해 게임 이용량이 급증하면서 전반적인 게임 섹터가 강세를 보였고, 중소형주까지 랠리가 확산되었습니다.

     

    3. 2021년 하반기: P2E(Play to Earn), NFT, 메타버스 급등기

    구분종목명주요 내용
    대장주위메이드'미르4 글로벌' 흥행, 위믹스 토큰 급등
    주도주위메이드맥스, 게임빌, 넵튠NFT, P2E 테마 편입으로 급등
    특징블록체인 기반 게임, 메타버스 기대감 집중 

    위메이드는 '미르4 글로벌'에 블록체인을 접목한 최초 사례로, 국내 게임주 전체의 패러다임을 변화시킨 대표 종목으로 급부상했습니다.

     

    4. 2023년 하반기 ~ 2024년: 신작 게임 & 해외 흥행 기대

    구분종목명주요 내용
    대장주시프트업'승리의 여신 니케' 흥행, IPO 대박
    주도주카카오게임즈, 네오위즈, 넥슨게임즈'우마무스메', 'P의 거짓', '블루아카이브' 글로벌 히트
    특징콘솔/글로벌 시장 중심으로 성장 구조 전환 

    콘솔, 글로벌 진출이 강화되며 국내 게임사들이 전통적인 PC·모바일 외 시장으로 확대했고, 이에 따라 신작 흥행 기대감이 주가를 견인했습니다.

     

    종합 요약표

    시기대장주주도주주도 트렌드
    2017~2018넷마블컴투스, 게임빌모바일 게임 중심 성장
    2020 (코로나 시기)엔씨소프트펄어비스, 엠게임, 웹젠언택트 수혜, MMORPG 부활
    2021 하반기위메이드위메이드맥스, 게임빌, 넵튠P2E, NFT, 블록체인 게임
    2023~2024시프트업네오위즈, 넥슨게임즈, 카카오게임즈콘솔/글로벌 신작, IP 확장, 기술력 중심

     

     

    게임 테마는 다른 산업보다 기술·콘텐츠 혁신의 영향을 크게 받으며, 대장주가 고정되지 않고 순환적으로 교체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엔씨소프트, 넷마블, 위메이드, 시프트업 등은 특정 시기에서 대장주 역할을 했지만, 항상 신작 성과, 흥행력, 글로벌 진출 정도에 따라 새롭게 주도주가 등장해왔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