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NG(액화천연가스) 테마는 국제 에너지 가격, 지정학적 리스크, 국내 발전 정책, 친환경 에너지 수요 증가와 같은 복합적 요인에 따라 주기적으로 부각되는 테마입니다.
아래에서는 이 테마의 주요 상승기 시점별 흐름과 당시의 대장주 및 주도주의 변화를 연대기 순으로 정리하겠습니다.
1. 1차 상승기: 2021년 하반기 ~ 2022년 초
배경
- 천연가스 가격 급등: 코로나 이후 수요 급반등, 공급망 차질
- 유럽 에너지 대란: 러시아-우크라이나 갈등 전초전
- 탄소중립 정책 확산으로 LNG가 석탄 대체 에너지원으로 주목됨
대장주 및 주도주 흐름
구분 | 종목 | 주도 이유 |
대장주 | 한국가스공사 | 가스 수입·공급 독점 지위, 실적 턴어라운드 |
주도주 | 한국카본 | LNG선용 단열재 핵심 공급사로 테마 급등 수혜 |
〃 | 동성화인텍 | LNG선 단열 기술, 삼성·현대조선향 수주 확대 |
〃 | HD한국조선해양 | LNG 운반선 발주 급증, 친환경 선박 수혜 |
2. 2차 상승기: 2022년 2월 ~ 2022년 말
배경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 유럽, 러시아산 가스 의존도 탈피 → 미국·카타르산 LNG 수입 급증
- LNG 운반선 수요 급증 + 조선업 호황 시작
- 한국 조선업의 LNG선 독점 수혜 기대감 확대
대장주 및 주도주 변화
구분 | 종목 | 주도 이유 |
대장주 | HD한국조선해양 | LNG 운반선 독점적 수혜, 대규모 수주 발표 |
주도주 | 동성화인텍 | 고부가 LNG선 단열 모듈 수혜, 수출 확대 |
〃 | 한국카본 | LNG보냉재 수출 확대로 실적 급증 |
〃 | HD현대미포 | LNG벙커링선 등 중형선 수주 확대 |
〃 | SK가스 | 글로벌 LNG 수입 확대에 따른 가스유통 구조 개편 기대 |
3. 3차 상승기: 2023년 하반기 ~ 2024년 초
배경
- 조선업 대형 수주 지속 (카타르, 미국 LNG 운반선 발주)
- 한전 적자 감소 + LNG 발전 확대 전망
- 국내 에너지안보 재조명 및 발전믹스 전환 논의
대장주 및 주도주 변화
구분 | 종목 | 주도 이유 |
대장주 | 한국가스공사 | 실적 개선, 배당 매력 부각, 에너지 안보 키워드 수혜 |
주도주 | 한국전력 | 적자폭 축소, LNG 기반 전력 확대 기대감 |
〃 | 비에이치아이 | LNG 발전소용 보일러 수요 확대 |
〃 | 대한해운 | LNG 운송 부문 진출 확대 발표 |
〃 | 팬오션 | 탄소규제 대응용 LNG추진선 확대 계획 수혜 |
4. 최근 모멘텀 (2025년 상반기 기준)
배경
- 미국 LNG 수출 급증
- 중동 LNG 프로젝트 투자 본격화 (카타르 등)
- 한국형 원전/LNG 병행 수출 정책 논의
- 조선업계 구조적 수주 호황 지속
최근 강세 종목 흐름
구분 | 종목 | 주도 이유 |
대장주 | HD한국조선해양 | LNG선 대규모 수주 잇따르며 실적 랠리 |
주도주 | 동성화인텍 | 수출 성장 지속, 해운업 동반 호황 |
〃 | 한국카본 | LNG보냉재 원가절감, 실적 서프라이즈 |
〃 | SK오션플랜트 | LNG플랜트용 모듈 제작 실적 가시화 |
〃 | 대창솔루션 | LNG선 기자재 수요 확대에 따른 재조명 |
정리: 시기별 대장주·주도주 요약표
상승기 시점 | 대장주 | 주요 주도주 | 주요 배경 요인 |
2021년 하반기 | 한국가스공사 | 한국카본, 동성화인텍, HD한국조선해양 | 천연가스 가격 상승, 탄소중립 정책 |
2022년 상~하반기 | HD한국조선해양 | 동성화인텍, 한국카본, 현대미포, SK가스 | LNG선 수주 급증, 에너지 안보 이슈 |
2023년 하반기 | 한국가스공사 | 한국전력, 비에이치아이, 팬오션 | 한전 적자 완화, 발전 수요 증가 |
2025년 현재 | HD한국조선해양 | 동성화인텍, SK오션플랜트, 한국카본 | 조선업 호황, 글로벌 LNG 수요 확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