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옴시티 테마는 사우디아라비아의 초대형 미래 도시 개발 계획이 본격화되는 일정과 맞물려 국내 시장에서도 간헐적인 뉴스 모멘텀에 따라 강한 테마 상승을 반복해왔습니다.
특히 사우디 고위급 방한, 수주 계약 체결, 빈 살만 왕세자의 방한 등 주요 이벤트가 있을 때마다 관련 종목들이 테마로 재조명되며 급등세를 보였습니다. 아래에서는 시기별 주요 상승기와 당시 대장주, 주도주의 변화를 중심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1차 상승기 (2022년 11월)
배경: 사우디 빈 살만 왕세자의 방한 및 26건, 총 40조 원 규모의 MOU 체결 발표
대표 테마 촉발 뉴스: “네옴시티 수혜 한국기업 주목”
당시 대장주:
에스와이 : 모듈러 건축 자재 테마 대표주로 거래량 폭증과 함께 급등
도화엔지니어링 / 유신 / 희림 : 엔지니어링 수주 기대감에 동반 강세
주도주 흐름:
다스코, 대모 : 인프라 장비 관련 수요 기대
대한전선, 비엠티 : 송전 인프라 및 밸브 부문 기술 보유 기업 부각
2차 상승기 (2023년 7월)
배경: 사우디 ‘더 라인(THE LINE)’ 프로젝트 시공 가시화 및 2단계 설계 발표
대표 테마 촉발 뉴스: “한국기업, THE LINE 입찰 참여 본격화”
당시 대장주:
삼성물산 / 현대건설 : 사우디 수주 경험 있는 대형 건설주 중심으로 순환매
에스와이 : 다시 한 번 테마주 중심에서 급등 흐름
주도주 흐름:
세아베스틸지수 / 세아특수강 : THE LINE 구조물에 필요한 고강도 철강 수요 확대 기대
SM C&C / SM Life Design : 문화 수출 관련주로 동반 부각되며 콘텐츠주로 이례적 주목
3차 상승기 (2023년 10~11월)
배경: ‘한-사우디 미래건설 포럼’ 및 사우디 국부펀드(PIF) 한국기업 투자 검토 보도
대표 테마 촉발 뉴스: “한국 기업, 네옴시티 2단계 시공 수주 유력”
당시 대장주:
에스엠 (SM) : K-컬처 확산 전략에 따라 네옴시티 공연장 사업 등과의 연관으로 급등
슈프리마 : 생체보안 솔루션 공급 가능성 부각되며 새로운 주도주로 떠오름
주도주 흐름:
성신양회 : 사우디 향 시멘트 공급 루머 및 기대감
SNT에너지 / 비츠로시스 : 플랜트 밸브, 배관 기술 보유 기업으로 재조명
요약 정리
상승기 | 촉발 요인 | 대장주 | 주도주 흐름 |
2022.11 | 빈살만 방한, 40조 MOU 체결 | 에스와이 | 도화엔지니어링, 유신, 희림, 다스코 |
2023.07 | THE LINE 2단계 발표 | 삼성물산, 현대건설 | 세아베스틸지수, 세아특수강, SM C&C |
2023.10~11 | 사우디 PIF 방한 및 포럼 개최 | 에스엠, 슈프리마 | 성신양회, SNT에너지, 비츠로시스 |
네옴시티 테마는 정책 이벤트 및 사우디 고위급 발언과 일정에 따라 돌발적 상승이 반복되는 테마의 특징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건설-인프라-플랜트-콘텐츠까지 다양한 산업군을 포함하기 때문에 상승기에 따라 대장주가 전환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앞으로도 사우디 실질 수주 계약 체결 소식, 국내 기업 참여 확대 보도, 사우디 고위급의 방한 등의 뉴스가 나온다면 네옴시티 테마는 다시 강한 반응을 보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특히 최근에는 콘텐츠 및 보안기술 관련 종목들이 새로운 주도군으로 부각되고 있는 점도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