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페이지
  • 게시판
  • 테마정보
  • 테마별 종목

테마와 종목 선정 이유

  • 냉각시스템(액침냉각) 테마 히스토리/ 상승기 대장주 주도주 변화

    작은연못 31 회 2025-07-23

  • 

    냉각시스템(액침냉각) 테마는 전통적인 산업군(공조, 전기장비 등)보다는 AI·반도체 고열 관리 수요의 확대와 전기차 배터리의 열폭주 억제 기술 이슈가 맞물리며 새롭게 부상한 신성장 테마입니다. 따라서 상승기 시점은 비교적 최근에 집중되어 있으며, 대장주와 주도주는 기술 적용의 구체성, 테마 연상 강도, 거래대금 순환에 따라 시점별로 교체되어 왔습니다.

     

    냉각시스템(액침냉각) 테마 상승기별 대장주 및 주도주 변화

    시점시장배경 및 트리거대장주주도주
    ① 2023년 4~5월AI 서버 확산 + 구글 액침냉각 서버 도입 뉴스3S유니셈, GST
    ② 2023년 11월엔비디아 중심 AI 서버용 열관리 장비 수요 급증유니셈LG전자, GST
    ③ 2024년 6~7월AI+데이터센터용 냉각기술 주목 + 국내업체 기술이전 기대LG전자한화에어로스페이스, 3S, 케이엔솔
    ④ 2025년 3~4월전기차 배터리 화재 대응 기술 이슈 + 한화 관련 특허한화에어로스페이스SK이노베이션, 케이엔솔, 유니셈

     

    시점별 상세 분석

     

    ① 2023년 4~5월: AI 열풍 초기, 액침냉각이 주목받기 시작한 시점

    • 배경: ChatGPT 등 AI 서비스 폭증 → 고성능 GPU 서버 수요 급증 → 데이터센터 발열 이슈 부각
    • 3S: 정밀공조 장비 제조 경험 부각으로 대장주 역할. 당시 시장에서 “AI 냉방주”로 인식
    • GST, 유니셈: 반도체 정밀온도관리 장비 보유로 부각. 공정 후 열처리 관련 수요 반영

     

    ② 2023년 11월: AI GPU 서버의 전력소모·발열 집중 이슈화

    • 배경: 엔비디아 H100급 GPU 대량 보급 → 전력당 냉각 효율 이슈 급부상
    • 유니셈: 반도체 공정 내 열제어·냉각 장비 생산기업으로 재부각. 수급 몰림
    • LG전자: 전장부문서 냉각시스템 기술력을 AI서버 냉각으로 연계 가능성 부각

     

    ③ 2024년 6~7월: AI 데이터센터 국내 투자 확대 (KT, 네이버 등)

    • 배경: 국내 대형 통신사 및 빅테크의 AI 전용 데이터센터 투자 계획 발표
    • LG전자: 국내 주요 데이터센터 냉각시스템 수주 가능성 언급되며 대장주 역할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방산 냉각 기술을 민간 확장 중이라는 점이 부각
    • 케이엔솔, 3S: 전력제어 및 정밀냉각 모듈 기업으로 재편입, 순환매 발생

     

    ④ 2025년 3~4월: 전기차 배터리 화재 이슈와 냉각시스템의 중요성 부각

    • 배경: 일부 전기차 배터리 화재로 인해 배터리팩 액침냉각 기술이 언급됨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항공·우주·전기차 열제어 기술을 확보한 점이 강점으로 작용
    • SK이노베이션: 배터리팩 설계 단계에서 액침냉각 적용 기술 특허 이슈
    • 케이엔솔: 배터리·ESS용 전력모듈 기술 기반으로 관련 기술 수혜 기대

     

    요약 정리

    구분내용
    테마 발현 시점2023년부터 본격 부각, AI 서버 및 전기차 열관리 이슈 주도
    대장주 변화 흐름3S → 유니셈 → LG전자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주도주 특징냉각기술 보유, 전력제어 시스템 설계 역량, 열관리 장비 제조사
    현재(2025년 중반)AI + EV 열관리 기술 교차지점에서 LG전자,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케이엔솔이 유력

     

    이 테마는 고정된 대장주보다도 시장 이슈에 따라 주도주가 빠르게 교체되는 경향이 뚜렷하므로, 기술 도입 시점과 관련 뉴스의 선행성, 그리고 공급망 내 수혜 강도를 중심으로 종목을 선별하는 전략이 유효할 것입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