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켈 테마의 상승기 시점별 대장주와 주도주의 변화를 살펴보면, 이차전지 산업의 급성장, 글로벌 광물 공급망 재편, 니켈 가격 급등, 그리고 정책 수혜 기대감에 따라 대장주와 주도주가 시간 흐름에 따라 교체되는 특징을 보여줍니다.
아래에서는 연도별 혹은 주요 국면별로 나누어 니켈 테마의 흐름을 정리하겠습니다.
1차 상승기 (2020년 하반기 ~ 2021년 상반기)
배경:
- 전기차 시장 본격 개화
- NCM/NCA 배터리 확대 → 고니켈 수요 급증
- 테슬라 "니켈을 많이 생산해달라" 발언
- LME 니켈 가격 상승
대장주:
- LG화학 → 당시 LG에너지솔루션 분할 전, 배터리 사업이 집중 부각됨
- POSCO홀딩스(당시 POSCO) → 니켈 및 이차전지 소재 내재화 계획 발표
주도주:
- 티플렉스, 대양금속, 황금에스티 → 니켈 가격 상승에 따른 스테인리스 가공업체 강세
- 삼화전자 → 전자소재 및 페라이트 수요 기대
2차 상승기 (2022년 초)
배경: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 니켈 공급망 충격
- LME 니켈 폭등 사태 (2022년 3월, 니켈 거래 중단 사태 발생)
- 인도네시아 니켈 수출 제한 정책 강화
대장주:
- POSCO홀딩스 → 인도네시아 제련소 투자 발표, 배터리용 니켈 공급망 강화 이슈
- LX인터내셔널 → 인니 니켈광산 지분 확보 및 광물 트레이딩 확대 부각
주도주:
- 이상네트웍스 → 광물자원 신사업 진출 테마로 단기 급등
- 유에스티, 제이스코홀딩스 → 금속 가공 부문에서 니켈 수요 기대감으로 동반 부각
3차 상승기 (2023년 중반 ~ 하반기)
배경:
- IRA(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 영향 → 북미/친미권 중심 니켈 공급망 구축 수혜
- POSCO-포스코인터내셔널-포스코퓨처엠 연결 고리 강화
- LG에너지솔루션과 글로벌 완성차 기업의 배터리 합작 법인 설립
대장주:
- LG에너지솔루션 → 배터리 대형 수주 및 니켈 장기공급 계약 이슈
- 포스코인터내셔널 → 니켈 공급망 구축 책임 기업으로 부각
주도주:
- 티플렉스 → 니켈합금, 특수소재 가공 부문에서 고평가 수혜
- 이지트로닉스 → 전장 부품 + 전기차 관련주로 동반 테마 수혜
- 삼화전자 → 지속적인 전자소재 수요 기대감 반영
최근 국면 (2024년 하반기 ~ 2025년 현재)
배경:
- 인도네시아·중국 중심 니켈 생산 확대 → 가격 일시 하락
- 탄소중립 연계 ‘친환경 제련 기술’ 부각
- LFP 배터리와의 경쟁 속 고성능 배터리용 고니켈 전략 유지
대장주:
- POSCO홀딩스 → 지속적 공급망 전략 및 광물 내재화
- LG에너지솔루션 → 북미 수요 중심 니켈계 배터리 집중
주도주:
- LX인터내셔널 → 자원개발 주체로 안정적 평가
- 황금에스티, 현대비앤지스틸 → 원재료 수요 수혜, 단기 순환매
정리: 대장주와 주도주 변화 흐름
구분 | 대장주 | 주도주 |
1차 상승기 (2020~2021) | LG화학, POSCO | 티플렉스, 삼화전자, 대양금속 |
2차 상승기 (2022) | POSCO홀딩스, LX인터내셔널 | 이상네트웍스, 유에스티, 제이스코홀딩스 |
3차 상승기 (2023) | LG에너지솔루션, 포스코인터내셔널 | 이지트로닉스, 티플렉스, 삼화전자 |
최근 (2024~2025) | POSCO홀딩스, LG에너지솔루션 | 황금에스티, LX인터내셔널, 현대비앤지스틸 |
이처럼 니켈 테마는 글로벌 공급망 이슈와 배터리 수요에 따라 대장주와 주도주가 교차하며 부각되고 있으며, 정책 변화, 원자재 가격 흐름, 기술 진화 속도에 따라 새로운 종목이 주도주로 부상하는 특징을 보이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니켈 공급망에 대한 전략적 투자나, 북미·유럽 내 니켈 내재화 시도, 그리고 리사이클링 니켈 사업 등도 주요 변수로 작용하게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