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페이지
  • 게시판
  • 테마정보
  • 테마별 종목

테마와 종목 선정 이유

  • 무선충전기술(Wireless Charging Technology) 테마 개요와 관련 종목들

    작은연못 39 회 2025-07-22

  • 

    무선충전기술(Wireless Charging Technology)은 전선 없이 전자기 유도를 통해 전력을 전달하는 기술로, 스마트폰, 웨어러블 기기, 전기차, 의료기기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며 그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Qi(치) 규격 등 국제 표준 기반의 범용 충전 솔루션이 확대되면서, 관련 기술을 보유하거나 이를 응용한 제품을 생산하는 기업들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무선충전기술 테마 설명

    무선충전 기술은 크게 세 가지 방식으로 분류됩니다.

     

    유도식 충전 (Inductive Charging)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식으로, 송신 코일과 수신 코일 간의 자기 유도 현상을 통해 전력을 전송합니다. 스마트폰이나 스마트워치 등의 소비자 전자기기에 주로 적용됩니다.

    공진식 충전 (Resonant Charging)

    송신기와 수신기가 동일한 주파수에서 공진하여 중간 거리를 두고도 효율적인 충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식입니다. 가구 내 탑재형 무선충전, 자동차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등에 활용됩니다.

    RF 방식 또는 자기파/마이크로파 방식

    전자기파를 통해 일정 거리 내 전력을 전달하는 방식으로, 웨어러블 소형 기기나 IoT 디바이스에 적합합니다.

    이 기술은 차세대 스마트폰, IoT, 차량용 전장 부품 확대와 함께 성장 가능성이 높습니다. 특히 글로벌 스마트폰 제조사들이 무선충전 기능을 기본 탑재하면서 관련 부품업체들의 수요가 급격히 늘어나고 있습니다.

     

    무선충전기술 관련 종목 분석

    아래는 해당 테마에 속하는 주요 종목과 이들의 무선충전 기술과의 연관성을 정리한 표입니다.

    종목명주요 역할 또는 무선충전 관련 사업
    LG이노텍애플에 무선충전 모듈 부품 공급. 카메라 모듈 외에도 전장/충전 부품 확대 중
    LG전자자체 브랜드 무선충전기 생산. 전장사업에서 차량 무선충전 기술 개발 중
    LSLS전선 계열을 통해 전력 전송 솔루션 보유. 전기차 및 무선전력 분야 확대
    비에이치스마트폰용 연성회로(FPCB) 생산. 무선충전 회로 포함한 다기능 부품 제공
    삼성전자갤럭시 시리즈 무선충전 기술 보유 및 자체 충전기 생산. 관련 부품사 다수 육성
    아모센스차량용 무선충전기 및 NFC, 센서 솔루션 개발. 차량 전장용 수혜 기대
    알에프텍무선충전용 실드캔, 메탈케이스 제조. 전자파 차폐 부품 특화
    웰킵스하이텍무선충전 관련 특허 출원 및 부품개발 보유. 중소형 기기 위주 응용
    위츠모바일 기기 부품 생산. 무선충전기술 관련 소형 모듈 개발 및 공급
    이랜텍배터리팩, 무선충전 모듈 납품. 삼성전자 스마트폰용 충전모듈 주요 공급사
    켐트로닉스차량용 무선충전기 제조. 전기차 충전 및 전장 부품 사업 확대 중
    한솔테크닉스무선충전기 OEM 생산. 스마트기기용 충전기 대량 납품 중

     

    테마 내 종목 특징

     

    • 대형주 리더: 삼성전자, LG이노텍, LG전자 – 관련 기술을 자체 내재화하거나 해외 고객사에 공급하면서 테마의 방향을 주도합니다.
    • 부품 공급사: 비에이치, 알에프텍, 이랜텍 – FPCB, 충전모듈, 금속부품 등 충전회로의 핵심 부품 공급자로서 수요 증가에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 전장 확장 기업: 아모센스, 켐트로닉스, 한솔테크닉스 – 스마트폰 외 차량용 무선충전 기술로 영역 확장 중입니다.

     

    투자 포인트

     

    스마트폰 출하량 반등 시 수혜 기대

    애플과 삼성전자 등 프리미엄 스마트폰 중심으로 무선충전 기능이 기본 탑재되면서 관련 부품 수요가 동반 상승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차량용 무선충전 기술 확대

    전기차 및 커넥티드카 내 스마트 디바이스의 충전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차량 내 무선충전 패드 채택률이 상승하고 있습니다.

    Qi2 등 신기술 표준 도입에 따른 모듈 업그레이드 수혜

    WPC(World Power Consortium)의 Qi2 인증이 확대되면, 기존 모듈이 교체되거나 신형 모듈이 새롭게 채택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