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페이지
  • 게시판
  • 테마정보
  • 테마별 종목

테마와 종목 선정 이유

  • 우크라이나 재건 테마 히스토리/ 상승기 대장주 주도주 변화

    작은연못 33 회 2025-07-21

  • 

    우크라이나 재건 테마는 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이후, 그리고 2023~2024년 국제사회의 재건 지원 논의가 본격화되면서 몇 차례의 급등 흐름을 보였습니다. 특히 한국 정부의 공식적인 재건 컨소시엄 참여 발표, 우크라이나 재건 회의 참가, 대통령급 외교 등이 주요 촉매 역할을 하였으며, 이때마다 대장주와 주도주가 뚜렷하게 형성되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우크라이나 재건 테마 상승기 시점별 흐름 정리

     

    1차 상승기: 2022년 2~3월

    배경: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개시

    주도 모멘텀: 전쟁 이슈와 인도적 지원 관련 기대감

     

    주도주 및 특징:

    HD현대건설기계, HD현대인프라코어: 전쟁 직후 인프라 파괴로 인한 중장비 수요 기대

    퍼스텍, 스페코: 방산/방호 관련 이슈로 동반 급등

     

    이 시기는 전쟁의 직접적 파괴에 대응한 군수·건설기계 중심의 단기 급등이 주도함

     

    2차 상승기: 2022년 6~7월

    배경: EU 및 주요국 재건 계획 논의 확대, 한국 기업들 참여 기대감 증가

    주도 모멘텀: 국제 컨퍼런스 및 '마셜플랜' 언급

     

    주도주 및 특징:

    대동, TYM: 우크라이나 곡창지대 복구 수요 반영, 농기계주 급등

    도화엔지니어링, 유신, 희림: 도시계획·인프라 설계 관련 기업 강세

     

    이 시기는 농기계와 엔지니어링 업체들이 중장기 수혜주로 부각됨

     

    3차 상승기: 2023년 7월

    배경: 한국 정부, 우크라이나 재건 회의에 공식 참가 (런던 회의 등)

    주도 모멘텀: K-건설 컨소시엄 추진 가시화

     

    주도주 및 특징:

    현대건설, 도화엔지니어링, 유신: 국내 대표 건설사 및 설계업체

    대모, 서암기계공업: 특수건설장비 및 어태치먼트 수요 반영

    포스코인터내셔널, 현대코퍼레이션: 자원 수출 및 무역 인프라 역할 기대

     

    건설 + 무역 + 특수장비 융합형 수혜주들이 중심이 된 상승기

     

    4차 상승기: 2024년 3~4월

    배경: 우크라이나 대통령 방한, 양국 재건 협력 강화 언급

    주도 모멘텀: 외교 정상급 레벨에서의 실질 협력 발표

     

    주도주 및 특징:

    디와이파워, 현대에버다임, HD현대건설기계: 굴삭기, 유압실린더 등 핵심 중장비 부품사 재조명

    에스와이, 에스와이스틸텍: 조립식 건물/패널 기업 수혜 부각

    아이톡시, 폴라리스AI: 기술 및 통신 연관주로 일부 테마성 편입

     

    대형 건설기계 외에도 부품/소재/경량건축 분야까지 테마 확산되는 특징

     

    종합 요약: 주도주 흐름 트렌드

    구분주요 시점대장주 성격주도 종목
    1차2022.02~03군수, 중장비HD현대건설기계, 퍼스텍
    2차2022.06~07농기계, 설계대동, TYM, 도화엔지니어링
    3차2023.07건설사, 컨소시엄현대건설, 대모, 포스코인터내셔널
    4차2024.03~04부품소재 확장디와이파워, 에스와이, 아이톡시

     

    투자 시 유의할 점

    • 이 테마는 뉴스, 외교 일정, 정부 발표에 강하게 반응하는 성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 단기 급등 후 조정폭이 클 수 있으며, 장기적인 실적 반영까지는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 우크라이나의 정치적 안정과 국제 재건 자금의 실제 집행 여부가 테마 지속 여부의 핵심 변수입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