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페이지
  • 게시판
  • 테마정보
  • 테마별 종목

테마와 종목 선정 이유

  • 3D 프린터 테마 히스토리/ 상승기 대장주와 주도주 변화

    작은연못 38 회 2025-07-16

  • 

    3D 프린터 테마는 국내에서 몇 차례의 기술적·정책적 모멘텀에 따라 주기적인 관심을 받아왔으며, 그 상승기마다 대장주와 주도주의 변화가 나타나고는 했습니다. 전반적으로 보면 의료·바이오 프린팅에 특화된 기업들이 시장의 가장 큰 주목을 받았으며, 이후 스마트팩토리 수혜주 중심으로 산업용 3D 프린팅 관련 종목들이 주도세를 형성하는 흐름을 보였습니다.

     

    1. 2014~2015년 1차 급등기: 기술 호기심 + 교육용 수요 중심

    배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3D 프린팅을 ‘미래 제조업의 핵심’으로 언급한 것이 세계적인 촉매로 작용하였고, 국내에서도 교육용 3D 프린터 도입 확대가 논의되며 첫 번째 큰 관심을 받았던 시기였습니다.

     

    대장주:

    로킷헬스케어 (당시엔 바이오 3D 프린팅 기대감으로 급등)

    스맥, 링크솔루션 (교육용·산업용 프린터 장비 기대감 부각)

     

    특징:

    시장이 3D 프린터 그 자체에 대한 기대감을 가졌던 초기 단계였습니다.

    실적보다는 ‘정책 기대’와 ‘신기술 테마’에 따른 순수 테마 급등 흐름이 강했습니다.

     

    2. 2018년 전후 2차 급등기: 바이오 프린팅과 의료기기 융합

    배경: 국내 바이오 3D 프린팅 기업들의 생체재료 및 조직 프린팅 성공사례가 언론에 보도되면서, 의료 혁신 수단으로서의 가능성에 관심이 커진 시기였습니다.

     

    대장주:

    티앤알바이오팹 (코스닥 상장 전후로 급등하며 바이오 3D 프린팅 대표주 자리매김)

    코렌텍 (의료용 인공관절 생산 업체로, 3D 프린터 기반 맞춤형 제품 부각)

    로킷헬스케어 (여전히 장기 주도세 유지)

     

    주도주 변화:

    산업용 장비 업체들보다 생체조직·정형외과 기반 기업들이 강세를 보이며 주도권 이동

    정부의 바이오헬스 산업 중점 육성 정책이 배경이 되었습니다.

     

    3. 2020~2021년 코로나 이후: 디지털 헬스케어와 스마트제조 접목 기대

    배경: 코로나19로 인해 비대면 기술 및 정밀 의료 기술에 대한 관심이 급증했고, 제조업 측면에서는 스마트팩토리 및 자동화 설비 도입이 본격적으로 증가했습니다.

     

    대장주:

    티앤알바이오팹 (정밀 의료와 3D 프린팅 기술의 융합 기대)

    TPC·로보스타·에스티아이 (스마트팩토리 구축 확대 기대에 따른 자동화 장비 수혜 기대)

     

    주도주 변화:

    초기엔 바이오 프린팅 관련 종목이 급등을 이끌었지만,

    중반 이후엔 산업용 자동화·정밀제어 장비 공급업체들이 주도주로 부상하였습니다.

     

    4. 2023~2024년: AI + 3D 프린터 + 스마트팩토리 결합 기대

    배경: ChatGPT 등장 이후 산업 전반에 AI 융합 바람이 불며, 3D 프린터 기술도 단순한 출력에서 계 자동화(AI CAD/CAM), 프린팅 최적화로 진화하기 시작했습니다.

     

    대장주:

    TPC (AI 제어 기반 스마트 제조 시스템 부각)

    하이비전시스템 (3D 검사 장비 기반으로 품질관리 자동화 수혜주로 부각)

    스맥 (스마트공장+3D 프린터 제조기술 기반 장비업체)

     

    주도주 변화:

    의료용 3D 프린터는 상대적으로 조정기였으며,

    AI+제조 융합 기반의 자동화 기기 공급사들이 새롭게 부각되기 시작했습니다.

     

    정리

    시기대장주주도 변화 흐름주요 배경
    2014~15로킷헬스케어링크솔루션, 스맥교육 및 산업용 3D 프린터 기술 주목
    2018년티앤알바이오팹코렌텍, 로킷헬스케어의료용 바이오 3D 프린팅 기대
    2020~21티앤알바이오팹TPC, 에스티아이, 로보스타팬데믹 이후 디지털 헬스케어·스마트제조 부각
    2023~24TPC하이비전시스템, 스맥AI+스마트팩토리와 3D 프린팅 융합 흐름

     

     

    이와 같이 3D 프린터 테마는 단일 산업이 아닌 바이오·제조·로봇·AI 등의 융합 산업 트렌드에 따라 대장주와 주도주의 흐름이 유동적으로 변화해왔습니다. 테마에 재편이 생길 때마다 실제 기술 상용화 가능성과 정책 수혜 유무를 중심으로 주도주의 이동이 발생해 왔다는 점이 핵심적인 특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