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귀금속(희토류) 테마는 전기차, 풍력발전, 반도체, 방산 등 핵심 산업의 고도화와 함께 공급망 불안 이슈가 불거질 때마다 주기적으로 급등하는 흐름을 보입니다. 특히, 중국의 수출 규제 강화, 미국과의 갈등 심화, 국산화 정책 발표, 광물 확보를 위한 해외 자원 외교 등이 상승 트리거가 되며, 이에 따라 대장주 및 주도주의 변화도 나타나게 됩니다.
희귀금속(희토류) 테마 주요 상승기 시점 및 대장주 흐름
시점 | 상승 촉발 요인 | 대장주 | 주도주 및 특징 |
2019년 5월 | 미·중 무역전쟁 격화, 中 희토류 수출 제한 검토 | 유니온 | 유니온머티리얼, 쎄노텍 → 희토류 정광 및 영구자석 생산 관련주가 급등 |
2020년 하반기 | 전기차 배터리, 풍력발전 수요 급증 美·中 기술 패권 경쟁 심화 | 노바텍 | EG, 삼화전자, 티플렉스 → 모터용 영구자석, 희토류 가공 기업 부각 |
2022년 1~3월 |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니오븀 등 전략광물 수급 차질 | EG | 동국알앤에스, 성안머티리얼스 → 희귀금속 재활용, 정제 기술 관련 기업 주도 |
2023년 7~9월 | 중국, 갈륨·게르마늄 수출 통제 발표 → 공급망 불안 확대 | 유니온머티리얼 | POSCO홀딩스, 그린리소스, LS에코에너지 → 희토류 원료 자체 보유 또는 해외 광산 투자 기업 급등 |
2024년 하반기 | IRA(인플레이션 감축법) 및 EU 전략광물 규제 강화 → 한국 소재 기업 국산화 기회 확대 | 노바텍 | EG, 유니온, 티플렉스, 현대비앤지스틸 → 정밀가공 및 첨단소재 기업 전반으로 확산 |
2025년 6~7월 (현재) | 미국, 희토류 국방 전략물자 지정 검토 → 방산·우주항공 연계 기대 | EG, 티플렉스 | 유니온머티리얼, 삼화전자, 동국알앤에스 → 방산 및 항공소재 분야까지 주도주 영역 확장 |
대장주 및 주도주 변화의 특징
초기(2019~2020년)에는 유니온, 유니온머티리얼처럼 광산 및 정광 처리 기반 기업이 주도했습니다. 이는 공급망 단절 우려가 클 때 전통적인 생산 기반 기업에 먼저 수급이 몰리는 현상 때문입니다.
중기(2021~2023년)에는 노바텍, EG, 동국알앤에스 등이 재활용, 가공, 영구자석 제조 기업으로 주도주 역할을 하며, 수요 산업의 확대와 기술 내재화를 반영했습니다.
최근(2024~2025년)에는 티플렉스, EG, 현대비앤지스틸 등 방산, 항공, 배터리 소재와 직접 연결되는 정밀가공·고기능 합금 제조 기업이 부각되고 있습니다. 이는 희귀금속이 단순 채굴의 영역을 넘어 전략산업과의 융합 중심으로 발전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희귀금속 테마는 공급망 위기 또는 산업 수요 급증 국면마다 반복적으로 주목받는 구조적 테마다운 흐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초기에는 원광/정광 채굴 관련주가, 중기에는 영구자석·재활용·가공 기업이, 최근에는 전략소재 및 방산 연계 기업이 주도주로 부각되는 패턴이 명확하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희토류 테마는 국가 안보, 에너지 전환, 산업 주권이라는 정책적 흐름과 맞물려 수급 뉴스, 광산 확보, 수출 규제 이슈 등에 민감하게 반응할 것으로 전망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