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블폰 테마의 주가 상승기는 삼성전자 갤럭시 Z 시리즈(폴드/플립)의 출시 시기 및 글로벌 폴더블폰 시장의 성장 기대감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습니다.
아래에서는 주요 상승 시점을 중심으로 대장주 및 주도주의 변화 흐름을 시기별로 정리하여 설명하겠습니다.
1. 1차 상승기 (2019년 하반기)
배경:
삼성 갤럭시 폴드 1세대(2019년 9월 출시) → 세계 최초의 폴더블폰 상용화
관련 부품·소재 업체들에 대한 기대감 급등
대장주 및 주도주:
KH바텍: 폴더블폰 힌지(경첩) 공급업체로 1세대 폴드 수혜주로 급부상, 이 시기 대장주 역할
이녹스첨단소재: 디스플레이용 OCA(광학접착필름) 공급으로 강세
세경하이테크: 기능성 필름 수혜 기대감으로 동반 상승
이 시기엔 힌지와 디스플레이 소재 관련 종목들이 주도했습니다.
2. 2차 상승기 (2020년 8월 전후)
배경:
갤럭시 Z 폴드2, Z 플립 출시 (2020년 2월, 9월)
삼성의 폴더블 라인업이 정식 시리즈로 자리 잡으며 수요 확대 전망
대장주 및 주도주:
비에이치, 인터플렉스: FPCB(연성회로기판) 수요 급증에 따른 강세
PI첨단소재: 폴더블용 PI필름 공급 전망으로 급등
SKC: 투명 PI필름 관련 모멘텀으로 시장 주도
회로기판 및 투명 PI 소재 업체들이 주도주로 전환되었으며, 기존 힌지 관련주는 다소 주춤했습니다.
3. 3차 상승기 (2021년 7월~8월)
배경:
갤럭시 Z 폴드3 / Z 플립3 공개 (2021년 8월)
전작 대비 대중성 있는 가격 및 디자인으로 시장 폭발적 반응
폴더블폰 대중화 신호탄
대장주 및 주도주:
KH바텍: 힌지 독점 공급 부각, 다시 한 번 강력한 대장주로 복귀
유티아이: UTG(초박막유리) 가공 업체로 급등
이녹스첨단소재, 세경하이테크: 다층 필름 수요 증가로 재부각
파인엠텍, 파인텍: 안테나 및 경량화 구조부품 수혜주로 상승
이 시기엔 기계 구조 및 커버 윈도우 부품 관련주들이 다시 강세를 보였으며, KH바텍이 대표 대장주로 자리했습니다.
4. 4차 상승기 (2022년 7~8월)
배경:
갤럭시 Z 폴드4 / Z 플립4 출시 임박
기존 모델의 흥행에 따른 수요 지속 증가 기대
대장주 및 주도주:
노바텍, 테이팩스: 방열 및 점착 필름소재 기업으로 부각
동운아나텍: 폴더블폰용 카메라 액추에이터 관련주로 상승
삼성전기: 프리미엄 카메라 모듈 탑재 기대감
이 시기에는 기존 핵심 부품 외에 보조 부품과 기능성 소재 관련 종목들이 주도주로 전환되기 시작했습니다.
5. 5차 상승기 (2023년 8월 전후)
배경:
삼성 갤럭시 Z 폴드5 / 플립5 공개
경쟁사인 화웨이, 오포, 샤오미 등의 폴더블폰 진출 본격화
글로벌 폴더블 시장의 경쟁 심화 → 관련 부품 수요 다변화
대장주 및 주도주:
KH바텍: 여전히 힌지 독점공급 강점으로 시장 주도
유티아이: UTG 가공 기술로 중국 폴더블 진출 수혜 기대
PI첨단소재, SKC: 중국 수출 확대 기대감으로 강세
이 시기엔 중국발 수요 기대감에 따른 글로벌 공급망 업체들이 부각되었습니다.
종합 요약: 주도주 변화 흐름 정리표
시기 | 대장주 | 주요 주도주 | 특징 |
2019년 | KH바텍 | 이녹스첨단소재, 세경하이테크 | 1세대 출시, 힌지 중심 |
2020년 | PI첨단소재 | 비에이치, 인터플렉스, SKC | 회로기판, 투명 PI 부각 |
2021년 | KH바텍 | 유티아이, 이녹스첨단소재 | 대중화 시작, 구조 부품 부각 |
2022년 | 노바텍 | 동운아나텍, 테이팩스 | 보조 기능소재 업체 부각 |
2023년 | KH바텍 | 유티아이, PI첨단소재 | 중국 진출 확대 기대 |
폴더블폰 테마의 대장주는 전반적으로 KH바텍이 가장 안정적으로 대장주 자리를 유지해왔으며, 부품 및 소재 기술 변화에 따라 주도주는 수시로 교체되는 구조를 보여왔습니다.
향후에는 애플의 폴더블 제품 출시 가능성이나 중국 폴더블 시장 확대, 차세대 소재 적용 여부에 따라 주도주의 변화가 계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