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페이지
  • 게시판
  • 테마정보
  • 테마별 종목

테마와 종목 선정 이유

  • 스마트폰 테마 히스토리/ 상승기 대장주와 주도주 변화

    작은연못 85 회 2025-07-16

  • 

    스마트폰 테마는 수년간 반복된 글로벌 스마트폰 신제품 출시 사이클과 기술 혁신 주기에 맞춰 여러 차례 상승 흐름을 나타냈으며, 그 과정에서 대장주와 주도주가 수차례 교체되어 왔습니다. 특히 삼성전자, 애플의 신제품 발표 전후, 또는 신기술(폴더블, 5G, 카메라 고화소 등) 부각 시점에 따라 시장의 주목을 받는 종목이 달라졌습니다.

     

    스마트폰 테마의 주요 상승기와 대장주/주도주 변화

    ① 2019년~2020년 : 5G 상용화 + 삼성 폴더블폰 첫 출시

    배경: 삼성의 '갤럭시 폴드' 출시, 5G 상용화 본격화

     

    대장주:

    KH바텍: 폴더블폰 힌지 공급업체로 급등세

    세경하이테크: 폴더블 디스플레이 커버윈도우 소재 공급

     

    주도주:

    인터플렉스, 파워로직스: FPCB, 배터리 모듈 관련

    엘엠에스, 나무가: OLED 부품 및 윈도우필름

    이 시기에는 폴더블폰이라는 신제품 카테고리의 등장으로, 관련 부품주들이 시장에서 '혁신 수혜주'로 주목받으며 선도했습니다.

    출처 입력

     

    ② 2021년 하반기 : 아이폰 13 출시 + 스마트폰 고급화

    배경: 아이폰 13의 고사양 카메라, A15칩, 센서시프트 OIS 등 탑재

     

    대장주:

    파워로직스, 해성옵틱스: 카메라 모듈 관련 수혜

    아모텍, 알에프텍: 소형 부품, 모듈 급등

     

    주도주:

    캠시스, 하이비젼시스템: 전장 확대 속도전 + 카메라 품질 향상 대응

    세경하이테크: 커버글라스 수혜

    이 시기는 카메라 성능 중심의 고급화 흐름이 뚜렷했으며, 광학부품/렌즈 업체들이 주도주로 부상했습니다.

    출처 입력

     

    ③ 2023년 초~중반 : 갤럭시 Z시리즈 대중화 & 중국 수출 반등

    배경: Z플립, Z폴드 시리즈 판매 호조 / 中 스마트폰 수요 회복

     

    대장주:

    KH바텍: 여전히 힌지 부품 핵심 공급사로 재상승

    인탑스: 케이스 및 내장 구조물 공급 확대

     

    주도주:

    노바텍, 세경하이테크: 커버윈도우 소재 공급 부각

    엘엠에스, 아모그린텍: EMI 차폐 필름 수요 확대

    Z플립 시리즈의 대중화가 진행되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관련주들이 주도권을 유지했습니다.

    출처 입력

     

    ④ 2024년 말~2025년 상반기 : 애플 폴더블폰 출시 루머 + 고부가 소재 이슈

    배경: 애플 폴더블폰 출시 임박 루머 / 내구성·히트디퓨저 관련 부품 부각

     

    대장주:

    세경하이테크: 애플과 삼성 양사 공급망 진입 기대

    유티아이: UTG(초박막유리) 부각

     

    주도주:

    나무가, 노바텍: 기능성 필름 및 힌지 커버 소재

    켐트로닉스, 아모텍: 무선충전과 안테나모듈 성장 기대감

    이 시기에는 고부가 소재 부품에 시장의 관심이 몰렸으며, 중소형 고기술 업체들의 상승 흐름이 주도했습니다.

    출처 입력

     

    대장주 vs 주도주 변화 정리 요약표

    시기주요 이슈대장주주도주 주요 종목군
    2019~2020폴더블 첫 출시, 5G 확산KH바텍, 세경하이테크인터플렉스, 엘엠에스
    2021년 하반기아이폰 13, 카메라 고급화파워로직스, 해성옵틱스캠시스, 아모텍
    2023년 상반기Z플립 대중화, 中 수출 회복KH바텍, 인탑스노바텍, 아모그린텍
    2024~2025 예상 구간애플 폴더블 루머, UTG 이슈세경하이테크, 유티아이켐트로닉스, 나무가

     

    스마트폰 테마는 기술 트렌드와 신제품 주기에 매우 민감하며, 소재 및 부품의 변화가 클수록 주도주의 교체 주기가 빨라지는 특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투자자는 다음과 같은 전략을 취할 필요가 있습니다:

     

    • 신제품 사양 유출 시 부품주 선별적 접근
    • 대장주는 수급 주도 흐름, 주도주는 기술 특화 기업 중심
    • 폴더블, UTG, 고화소 카메라, 무선충전 등 세부 기술 트렌드 주시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