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기계 테마의 상승기는 글로벌 인프라 투자 확대, 신흥국 건설경기 회복, 유가 상승에 따른 광산개발 수요 증가, 그리고 스마트 건설기계 기술 확대 등의 이슈가 부각될 때 반복적으로 등장해왔습니다. 이와 같은 시기마다 대장주와 주도주의 중심이 변화해왔으며, 각각의 시기는 장비 완성체 기업, 부품사, 혹은 로봇·스마트기계로 관심이 이동하는 양상을 보였습니다.
건설기계 테마 상승기별 대장주 및 주도주 변화
시기 | 주요 이슈 | 대장주 | 주도주(변화 흐름) |
2017년~2018년 초 | 중국 및 중동 중심 인프라 투자 기대감 / 원자재 가격 상승 | 두산인프라코어 (현 HD현대인프라코어) | - 두산밥캣 - 혜인 - 진성티이씨 |
2020년 하반기~2021년 상반기 | 코로나19 이후 경기부양책, 글로벌 SOC 확장 | HD현대건설기계 | - 디와이파워 (유압 부품) - 동일금속, 진성티이씨 (부품주) - 대모 (브레이커 부각) |
2022년~2023년 초 | 미 인프라 법안 통과, 유럽 재건 수요, 에너지 인플레이션 | 두산밥캣 (소형장비 수요 확대) | - 현대에버다임 (펌프카) - 대동금속, 서연탑메탈 (주물 부품) - 흥국 (고무트랙) |
2024년 중반 이후 | 스마트건설·건설로봇 이슈 부각 / 전기굴삭기, 자동화 기술 | 전진건설로봇 | - 수산세보틱스 - 프리엠스 - 디와이파워 (지속적 강세 유지) |
테마 흐름의 특징 정리
완성장비→부품주→스마트기계로의 순환
과거에는 HD현대건설기계나 두산밥캣처럼 장비 생산기업이 가장 먼저 움직였으나,
시간이 흐르며 부품 공급사로 수급이 확대되고,
최근에는 스마트 건설기계 기술을 보유한 로봇기업, 자동화기업으로 관심이 옮겨감.
실적 기반 대장주와 테마성 기대감 주도주의 병행
두산밥캣, HD현대건설기계는 실적과 수출 기반으로 중장기 수급이 몰리는 반면,
전진건설로봇, 수산세보틱스 등은 기술 트렌드 반영 기대감으로 빠르게 수급이 반응함.
건설경기 회복 기대 시 부품주가 강세
진성티이씨, 동일금속, 디와이파워 등은 굴삭기 생산량에 직접 연동되기 때문에 생산 지표 회복기에 강세가 나타남.
정리
건설기계 테마는 경기순환과 기술 트렌드에 따라 주도주가 변화하는 특징을 보이고 있습니다.
과거에는 두산인프라코어가 절대적인 대장주로 군림했지만, HD현대건설기계의 분사와 두산밥캣의 북미 실적 확대, 전진건설로봇과 같은 신흥 강자의 부각으로 주도주가 다변화되고 있습니다.
현재(2025년 기준) 시점에서는 건설 자동화, 로봇화, 전동화 이슈에 연동된 종목들, 특히 전진건설로봇, 수산세보틱스, 프리엠스 등에 대한 시장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여전히 디와이파워나 진성티이씨처럼 실적 기반 부품주도 중장기적으로 견조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