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유상증자 목적 | 운영자금, 시설투자, 채무상환, 인수합병(M&A) 등 자금 사용처를 명확히 해야 함 |
2. 증자 방식 | 다음 중 한 가지 방식으로 진행① 주주배정 후 실권주 일반공모② 일반공모③ 제3자배정 |
3. 신주 발행가액 | 기준주가(최근 주가 평균)에서 할인율 적용. 대개 10~30% 할인 적용됨 |
4. 신주 배정 기준일 | 해당 날짜 기준으로 주주명부에 기재된 주주에게 신주 인수권이 부여됨 |
5. 권리락일 | 신주를 받을 권리가 사라지는 날. 이 날부터 주가는 신주 발행을 반영하여 하락함 |
6. 청약일 및 납입일 | 주주 또는 일반 투자자가 실제로 청약(신청)하고, 자금을 납입하는 날짜 |
7. 신주 상장일 | 신주가 실제로 증시에 상장되어 거래되기 시작하는 날 |
8. 유상증자의 규모 | 전체 발행 주식 대비 몇 %의 신주를 발행하는지 확인해야 희석 효과 판단 가능 |
9. 주가 희석 효과 | 신주 발행으로 기존 주주의 지분율이 낮아지고, EPS(주당순이익)도 희석될 수 있음 |
10. 기존 주가에 미치는 영향 | 일반적으로 단기적으로는 주가에 부정적 압력 (물량 부담, 신뢰도 문제 등), 목적과 투자자 신뢰 여부에 따라 중장기 영향 달라짐 |
11. 유상증자 참여 여부 판단 | 신주 가격이 매력적인지, 향후 사업 전망이 긍정적인지를 따져야 참여 여부 결정 가능 |
12. 관련 공시 확인 | 유상증자 결정, 발행가액 확정, 청약일정 등은 전자공시시스템(DART)에서 확인 가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