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분 | 주주배정 유상증자 | 제3자배정 유상증자 | 일반공모 유상증자 |
권리락 발생 여부 | 있음 (기준일 전후로 권리락 적용) | 없음 (기존 주주에 권리 미부여) | 없음 (기준일 없음, 공모참여자만 신주 인수) |
기존 주주 참여권 | 있음 (보유 지분율만큼 배정, 초과청약 가능 경우 있음) | 없음 (특정인만 참여 가능) | 없음 (모든 투자자에게 동일하게 공모) |
지분 희석 효과 | 상대적으로 적음 (참여 시 지분율 유지 가능) | 큼 (참여 불가, 무조건 희석) | 큼 (참여하지 않으면 희석, 공모에 참여해야 방어 가능) |
잠재적 이익 | 저가 발행가 청약 → 차익 기대 가능 | 전략적 투자자(SI) 유입 시 기업가치 제고 가능 | 공모로 자금조달 안정성 확보, 재무구조 개선 효과 |
잠재적 위험 | 청약자금 부담, 미참여 시 지분 희석 | 특혜 논란, 기존 주주 권리 침해, 오버행 위험 | 기존 주주도 경쟁률에 따라 참여 제한, 희석 불가피 |
시장 평가 | 일반적으로 중립~긍정 (성공적 청약 시 주가 안정) | 조건에 따라 상이: 특혜 발행 시 악재, 전략적 제휴 시 호재 | 중립적, 대규모일 경우 단기 희석 우려로 주가 약세 가능 |
발행가 산정 방식 | 할인율 적용, 수요예측·리픽싱 가능 | 협의 또는 계약에 따른 발행가 (종종 논란 발생) | 수요예측에 따른 공모가 산정 |
락업(보호예수) | 없음 (일반 주주 자유 매매) | 있음 (대주주·전략투자자 대상 보통 6개월~3년) | 없음 (일반 투자자 자유 매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