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는 “왜 한국 상장사의 배당성향이 주요 선진국보다 낮다고 여겨져 왔는가”에 대한 비교‑근거와 논리적 설명입니다. 최근(2024~2025년) 한국의 배당정책이 빠르게 개선되는 중임을 전제로, 역사적·구조적 요인을 함께 짚었습니다.
1) 먼저, 나라별 ‘배당 수준’ 비교 (최근 수치, 출처 병기)
정의
배당성향(payout ratio) = 현금배당 ÷ 순이익,
배당수익률(dividend yield) = 배당금 ÷ 주가. 두 지표는 서로 다릅니다
(기업 이익/주가 사이클·집계범위에 따라 수치가 달라질 수 있음)
구분 | 배당성향(최근 평균) | 근거 | 지수 배당수익률(최근) | 근거 |
한국 | 약 32%(최근 5년 평균) | Fidelity International | 약 1.9%(MSCI Korea) | MSCI |
일본 | 약 40%(최근 5년 평균) | Fidelity International | 약 2.1~2.3%(MSCI Japan) | MSCI |
유럽(광역) | 약 64%(최근 5년 평균) | Fidelity International | (국가별 상이, 예: 영국 FTSE100 3.53.8%) | IG |
미국(S&P500) | 약 32%(’23년) | Damodaran | ~1.2%(MSCI USA) | Macromicro |
- Fidelity는 국가/지역별 최근 5년 평균 배당성향을 비교: 한국 32% < 일본 40% < 유럽 64%(미국은 32% 안팎).
- S&P500의 2023년 배당성향은 약 32%(더모다란 집계).
- MSCI Korea의 최근 배당수익률은 약 1.87%.
- 일본/미국의 지수 배당수익률은 일본 ~2.2%, 미국 ~1.2% 수준으로 집계됩니다.
- 영국은 지수/대형주 위주의 전통적 고배당 문화
해석
“배당성향” 기준으로 한국은 유럽·일본보다 낮고, 미국과는 비슷하거나 약간 낮은 편입니다.
“배당수익률” 기준으로는 영국·유럽 주요국 > 일본 > 한국 ≈ 미국 순서로 보는 게 일반적입니다. (배당수익률은 주가 레벨 영향을 크게 받음)
2) 왜 한국이 낮게 보이는가 — 구조적·제도적·수급 측 이유
(1) 소유구조: 지배주주 중심·소유 집중도가 높음
한국은 대기업집단(소위 ‘재벌’)이 다수 상장사를 피라미드·순환출자 등의 구조로 지배해 왔고, 지배권 유지를 중시하는 유인이 배당 확대 유인보다 강했습니다. 이는 소수주주 환원보다 내부유보(현금 축적)·지배안정을 선호하는 행태와 연결됩니다.
이와 맞물려 주주행동(액티비즘)에 대한 수용성이 낮은 편이었고, 최근까지도 대형 그룹사 주총에서 배당 확대/자사주 소각 요구가 번번이 부결되는 사례가 나옵니다(예: 2024년 삼성물산 주총에서 배당·바이백 확대 제안 무산). 이는 ‘코리아 디스카운트’의 핵심 원인으로 자주 지목됩니다.
(2) 세제 구조: 배당 과세가 상대적으로 불리, 자본이득 과세는 완화적
배당소득은 원천징수 15.4% 후, 연간 금융소득 2,000만원을 넘으면 금융소득종합과세로 최고구간에서 49.5%까지 올라갑니다. 고소득 투자자에겐 배당의 세부담이 매우 높습니다.
반면 오랜 기간 다수의 국내 소액주주는 상장주식 양도차익 과세에서 사실상 제외되어 왔습니다(‘대주주’ 요건만 과세). 이 ‘세제의 배당 역차별’은 배당 수요를 약화시켜 기업에도 배당 확대 압력을 낮추는 클라이언텔 효과를 만듭니다.
상속·증여세 최고세율(실효 60% 내외)이 OECD 최고 수준인 점도, 지배주주가 현금배당으로 사적 현금유출을 늘리는 것보다 내부유보/지분관리(우호지분 구축, 자사주 보유 등)에 더 무게를 두게 만드는 배경으로 거론됩니다.
(3) 산업·이익 사이클 특성: 변동성이 큰 업종 비중이 높음
한국 대표지수의 IT·산업재 비중이 매우 큽니다(MSCI Korea: IT ~42%, 산업재 ~19% 등). 반도체·부품·조선/자동차 등 경기민감 업종이 번갈아 흑자/적자 사이클을 크게 타다 보니, 배당을 ‘꾸준히’ 높이기 어렵고 보수적으로 배당을 책정하는 관행이 자리 잡았습니다.
(4) 재투자 성향: 높은 R&D·CAPEX 비중
한국은 R&D 지출(GDP 대비) 세계 최상위권(’22년 5%대) 입니다. 기업 차원에서도 성장투자/내부유보 선호가 강했고, 위기 경험(’97·’08 등) 이후 유동성·현금 방어 성향이 공고해졌습니다. 이런 요인은 배당보다 재투자를 우선하는 문화를 강화했습니다.
(5) 자사주(자기주식) 제도의 활용 방식
과거 한국에선 자사주 매입 후 장기간 미소각 보유가 흔했고, 이는 보호예수·우호지분 구축 등 ‘지배안정 수단’으로 쓰이곤 했습니다. 결과적으로 “소각을 통한 주당환원”이 제한되며 배당 확대 압력이 약했습니다.
2025년 들어 자사주 ‘의무소각’ 법제화가 추진·논의되며(정부·여당/야당 공히 공론화), 기존 보유분에도 소급 적용 가능성이 거론될 만큼 흐름이 바뀌고 있습니다. 제도 변화는 배당·소각을 통한 주주환원 강화로 이어질 공산이 큽니다.
(6) ‘배당 vs. 자사주’ 문화 차이
미국은 자사주매입(소각 포함)을 대규모로 활용해 총주주환원(TSR) 중 배당 비중이 낮아 보여도, 전체 환원은 큰 구조입니다. 한국은 전통적으로 배당도 낮고, 소각 동반 매입도 적은 편이었으나, 2024~2025년 들어 바이백/소각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예: 삼성전자 대규모 바이백, 2024~25년 전장산업/AI 수혜 그룹들의 잇단 매입/소각 공시 등)
(7) 거버넌스·정책 환경(최근 변화)
정부의 ‘코퍼레이트 밸류업(Value‑Up) 프로그램’(’24년 2월 발표, 5월 가이드라인)은 배당정책·자본효율(ROE) 제고를 촉구했지만 강제력이 약해 초기 평가는 엇갈렸습니다. 다만 이후 의무소각, 이사회 독립성 강화 등 추가 개혁 기대로 배당·소각 확대 흐름이 뚜렷해지고 있습니다.
3) 정리: 왜 낮았고, 지금은 어떻게 달라지나
왜 낮았나?
① 지배주주 중심 소유구조와 낮은 액티비즘 수용성 → 내부유보/지배안정 선호.
② 세제상 배당 역차별(배당 고세율 vs. 많은 소액주주의 양도차익 비과세) → 배당 수요 약화.
③ 산업·이익 변동성(IT·산업재 비중 높음) → 배당의 ‘지속 인상’이 어려워 보수적 정책.
④ R&D·CAPEX 고집행과 위기경험 → 현금축적·재투자 우선.
⑤ 자사주 장기보유 관행(미소각) → 주당환원 압력 약화.
지금은? (개선 중)
배당성향은 최근 5년 평균 32%로 과거 대비 확실히 상향, 일본(40%)·유럽(64%)보다는 여전히 낮지만 격차 축소 중.
자사주 매입·소각 급증, 자사주 ‘의무소각’ 법개정 추진 등 구조적 변화가 진행. 중장기적으로 배당/소각 확대 → ROE·밸류에이션 정상화 압력 강화가 예상됩니다.
4) 투자 관점 ‘체크리스트’(요약)
- 회사별 배당정책/목표 배당성향 공개 여부와 실제 이행 추이. (일본처럼 30~40% 타깃을 명문화하는지)
- 자사주 매입과 ‘소각’ 동반 여부, 기존 보유 자사주의 처리 계획.
- 대주주 지분구조·우호지분·내부거래 등, 배당보다 지배안정에 유인이 큰지.
- 산업 사이클·이익 변동성(특히 반도체/산업재)과 배당의 지속가능성.
- 세제 변화·정책 신호(Value‑Up 보완책, 의무소각 법안 처리) 모니터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