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페이지
  • 게시판
  • 테마정보
  • 테마별 종목

주식 초보가 알아야 할 것들

객관적 정보

  • 상장사 자금조달 후 리픽싱(refixing) 발생시 주주와 투자자에게 미치는 긍정적 부정적 영향은 무엇인가?

    작은연못 14 회 2025-08-20

  • “리픽싱(refixing)”은 상장사 자금조달 과정에서 자주 등장하는 개념이며, 리픽싱의 정의와 이후 발생하는 결과에 대해서 정리했습니다.

     

    1. 리픽싱(Refixing)의 정의

    리픽싱은 신주인수권부사채(BW), 전환사채(CB), 교환사채(EB) 등 메자닌(Mezzanine) 증권에서 주로 발생합니다.

    발행 당시 정해진 전환가액(주식을 전환하거나 인수할 수 있는 가격)을 일정 조건에 따라 재조정(하향조정)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발행 이후 주가가 하락하면, 전환가액을 낮춰주는 방식으로 투자자의 손실을 보전합니다.

    즉, 투자자가 넣은 돈의 가치를 방어해주는 장치가 바로 리픽싱 조건입니다.

     

    2. 리픽싱이 일어나는 경우

    리픽싱 조항은 보통 “전환가액은 발행 후 일정 기간마다 시장가격을 기준으로 조정한다”는 식으로 정해져 있습니다.

    대표적인 경우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주가가 전환가액 이하로 하락한 경우

    조건: 발행 후 일정 기간(예: 1개월, 3개월, 6개월 단위) 주가가 발행 당시 정한 기준가격보다 낮게 형성될 경우.

    결과: 전환가액을 “발행가액 × 일정 비율”까지 낮춰줌. (예: 최초 전환가 10,000원 → 주가 하락 → 7,000원으로 리픽싱)

    영향:

    기존 주주: 향후 전환으로 발행될 주식 수가 늘어나 지분 희석이 심화됨.

    자금 투입자(투자자): 동일한 금액으로 더 많은 주식을 확보할 수 있어 방어효과 + 잠재 이익 확대.

     

    (2) 신주발행/유상증자 등에서 더 낮은 가격에 주식이 발행되는 경우

    조건: 회사가 CB 발행 이후에 유상증자·타 CB 발행 등으로 더 낮은 발행가를 적용할 경우.

    결과: 기존 CB 투자자의 전환가액도 동일하거나 유사한 수준으로 낮춰줌.

    영향:

    기존 주주: 추가로 더 낮은 가격의 주식이 풀리며 희석 + 주가 압박.

    자금 투입자: 동일한 가격 경쟁력 확보, 즉 손해 보지 않도록 보장.

     

    (3) 일정 기간 주가 평균이 특정 기준 미만일 때

    조건: 리픽싱 조건에 "최근 1개월·3개월 종가 평균이 최초 전환가 대비 일정 비율 미만일 경우" 조정한다고 명시.

    결과: 주가의 일시적 반등보다는 장기적 하락을 반영하여 전환가를 내림.

    영향:

    기존 주주: 주가가 장기적으로 부진할수록 전환물량 급증 → 희석 가속.

    자금 투입자: 시장 상황이 나빠도 “최소 방어 가격”에 맞춰 전환 가능.

     

    (4) 하한가까지 도달하는 경우

    조건: 대부분 리픽싱은 “최저 리픽싱 한도”를 둡니다. (예: 최초 전환가의 70%까지)

    결과: 주가가 아무리 떨어져도 더 이상 전환가를 낮추지 못하는 ‘바닥’을 설정.

    영향:

    기존 주주: 희석은 일정 한도에서 멈춤.

    자금 투입자: 최소 보호는 되지만, 바닥 이하 주가 하락 시엔 손실 위험 존재.

     

    3. 리픽싱의 영향

    (1) 기존 주주에게 미치는 영향

    지분 희석 효과: 전환가액이 낮아지면, 동일한 채권이 더 많은 주식으로 전환되므로 기존 주주의 지분율이 줄어듦.

    주가 압박: 리픽싱 후 투자자가 낮은 가격에 전환해 매도할 경우, 주가에 하방 압력을 줌.

    의도치 않은 손해: 회사 자금조달 자체는 긍정적일 수 있지만, 리픽싱 구조가 지나치면 소액주주 희생 구조로 비판받음.

     

    (2) 자금을 투입한 투자자에게 미치는 영향

    방어장치 확보: 주가 하락 시에도 더 많은 주식을 받게 되어 손실을 최소화.

    투자 리스크 감소: 사실상 “헤지” 효과 → 투자 결정이 쉬워짐.

    차익 실현 기회 확대: 낮아진 전환가로 확보한 주식을 매도해 차익을 실현하기 용이.

     

    4. 요약 – 리픽싱 발생 경우와 논리적 결과

    구분리픽싱 발생 조건기존 주주 영향투자자 영향
    주가 하락주가 < 전환가지분희석 심화, 주가 하방 압박더 많은 주식 확보, 방어
    더 낮은 발행가 출현후속 유상증자/CB 발행가 < 기존 전환가희석 가중, 형평성 문제동일 조건 확보
    평균가 기준 충족일정 기간 평균 주가 < 기준장기적 희석 확대안정적 방어
    하한가 도달리픽싱 하한(예: 70%) 도달희석 멈춤최소 보호, 그 이상은 리스크

     

    정리하면, 리픽싱은 투자자에게 유리한 안전장치이고, 반대로 기존 주주에게는 불리한 지분희석 요인입니다. 회사 입장에서는 단기적으로 자금조달은 성공하지만, 장기적으로 소액주주 신뢰를 해칠 수 있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