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비젼웍스의 2차전지(장비) 테마 연관성
사업 분야
아이비젼웍스는 스마트팩토리 영상처리 검사장비 및 자동화장비를 개발하고 있으며, 이러한 장비들은 2차전지 제조 공정에 적용될 수 있습니다.
특히 전기차용 배터리의 품질검사, 조립공정 모니터링 등에서 비전검사장비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어, 아이비젼웍스의 제품은 2차전지 장비 테마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시장 확장
2차전지 산업의 고도화와 대량생산 확대에 따라 고속·고정밀 영상 검사 및 자동화 시스템에 대한 수요 증가가 예상되며, 이는 아이비젼웍스의 수혜 요인입니다.
동종 업계
같은 테마에 포함되는 기업으로는 엔시스, 씨아이에스, 피엔티, 씨아이에스 등 2차전지 조립·검사 장비 제조사들이 있으며, 아이비젼웍스는 이들과 유사한 산업 구조를 가집니다.
아이비젼웍스 회사 개요 (2025년 1분기 기준)
항목 | 내용 |
회사명 | 아이비젼웍스 |
설립일 | 2007년 1월 10일 |
상장시장 | 코스닥 |
주요사업 | 스마트팩토리 기반 머신비전 검사장비, 자동화장비, 인공지능 검사 소프트웨어 |
매출 구성 | 검사장비 및 모듈(91.8%), 기타 제품 및 용역 |
주요 제품 | 머신비전 시스템, 영상처리 검사 장비, 자동화 검사 모듈 |
주요 고객사 | 전자/디스플레이/배터리 제조사 등 |
연구개발비 비중 | 매출 대비 약 9.6%로, 높은 기술집약형 구조 |
직원 수 | 98명 (연구개발 인력 비중 약 38%) |
2025년 1Q 실적 | 매출액 39억, 영업이익 -9억 (적자지속) |
특이사항: 2024년 기준 일본 기업과의 영상검사 알고리즘 협업, AI 비전 검사 기술 확대 등 기술 고도화 전략이 반영되고 있음.
출처 입력
======================================================================
아이비젼웍스의 2025년 1분기 분기보고서를 기반으로 한 재무제표 요약은 다음과 같습니다:
아이비젼웍스 재무제표 요약 (2025년 1분기 기준)
① 손익계산서 요약
항목 | 2025년 1분기 | 2024년 1분기 | 증감 |
매출액 | 약 39.4억 원 | 약 67.2억 원 | ▼41.4% 감소 |
영업이익 | 약 -9.2억 원 | 약 3.4억 원 | 적자전환 |
당기순이익 | 약 -8.7억 원 | 약 2.4억 원 | 적자전환 |
영업이익률 | -23.3% | 5.0% | ▼ |
매출 감소와 고정비 부담으로 인해 적자 전환, 수익성 악화
출처 입력
② 재무상태표 요약
항목 | 2025.03.31 기준 | 2024.12.31 기준 | 증감 |
자산총계 | 약 415억 원 | 약 433억 원 | ▼ 약 18억 감소 |
부채총계 | 약 93억 원 | 약 102억 원 | ▼ 약 9억 감소 |
자본총계 | 약 322억 원 | 약 330억 원 | ▼ 약 8억 감소 |
부채비율 | 약 28.9% | 약 30.9% | ▼ |
자산 및 자본 감소는 적자와 운전자본 감소에 기인함.
부채비율은 낮은 편으로 재무건전성 양호
출처 입력
③ 현금흐름표 요약
항목 | 2025년 1분기 |
영업활동현금흐름 | 약 -6억 원 (순유출) |
투자활동현금흐름 | 약 -1.6억 원 (설비투자 등) |
재무활동현금흐름 | 약 +0.6억 원 (차입금 유입 등) |
기말 현금 | 약 61억 원 |
현금흐름은 마이너스이나 보유현금은 충분.
영업활동에서의 손실 지속 시 현금 유출 구조는 부담 요인.
출처 입력
종합 평가
- 성장성: 2차전지 및 스마트팩토리 장비 수요 확대에 따라 중장기적 성장 가능성 보유.
- 단기 실적: 매출 감소와 고정비 부담으로 인해 수익성 악화, 적자 구조 지속.
- 재무 안정성: 낮은 부채비율, 양호한 유동성으로 재무구조는 안정적인 편.
- 위험 요인: 고정비 부담, 고객사 수요 변동, 투자 대비 수익성 개선 필요.
아이비젼웍스는 기술특례상장(기술상장) 제도를 통해 코스닥 시장에 상장한 기업입니다. 다음은 상장 이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입니다.
????️ 아이비젼웍스 상장 이력 요약
항목 | 내용 |
상장일 | 2023년 12월 20일 |
상장시장 | 코스닥 |
상장 방식 | 기술특례상장 |
주관사 | 대신증권 |
기술평가기관 | 나이스평가정보, 이크레더블 |
기술등급 | AA / A (상장 요건 충족 등급) |
기술특례상장이란?
기술특례상장은 매출이나 이익 등의 재무요건을 충족하지 않아도, 외부 전문평가기관 2곳으로부터 기술력이 우수하다고 평가(A등급 이상) 받으면 코스닥에 상장할 수 있도록 허용한 제도입니다.
아이비젼웍스는 영상처리 기반의 스마트팩토리 검사장비 및 AI 비전 검사 소프트웨어 기술력을 인정받아 해당 제도를 통해 상장하였습니다.
출처 입력
특이사항
- 상장 전 기술특례심사에서 스마트팩토리와 머신비전 기술의 원천성 및 시장 확장성이 높이 평가됨.
===============================================================
아이비젼웍스(코스닥 469750)의 대주주 및 주요 주주 지분 현황 (2025년 7월 기준)
최대주주 및 주요주주 현황
- 길기재 대표이사: 보통주 10,624,930주, 지분율 약 31.31% (최대주주)
- 나인테크: 보통주 5,787,187주, 지분율 약 17.05% (지분 10% 이상 주요주주)
- 자사주: 65,263주, 0.19%
주주 구성 요약
구분 | 주주 | 보유주식수 | 지분율 |
최대주주 | 길기재 대표이사 | 10,624,930주 | 31.31% |
10%-이상 주요주주 | 나인테크 | 5,787,187주 | 17.05% |
자사주 | 회사 | 65,263주 | 0.19% |
기타 | 임원(5% 미만) / 직·간접 주주 | - | - |
- 길기재 대표이사가 1인 최대주주로, 경영에 절대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지분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 나인테크는 전문 기업으로서 2차전지 관련 사업을 강화 중이며, 사업 전략·기술 협업 가능성도 염두에 둘 수 있는 주요 주주입니다
- 자사주는 미미한 수준이며, 유통가능 주식 수 대비 큰 영향은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시사점
- 경영 안정성: 최대주주가 과반은 아니지만 핵심 의사결정에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지분을 보유.
- 전략적 협업 가능성: 나인테크 보유로 인해 연구개발 및 사업 확장 시 시너지 기대.
- 유통 가능 주식: 자사주 비중이 낮아 유통 시장 내 거래 유동성은 높은 편임.
======================================================================
아이비젼웍스의 최대주주인 길기재 대표이사와 주요주주 나인테크의 약력
길기재 대표이사 (아이비젼웍스)
현직: 아이비젼웍스 대표이사 겸 최대주주(지분율 약 31.3%)입니다.
경영 철학: 2015년 IPO 기자간담회에서, "코스닥 상장은 최종 목표가 아니며, 기술력을 바탕으로 글로벌 배터리 검사시스템 선도기업으로 도약하겠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사업 역량: 머신비전 기반 2차전지 검사시스템 설계 및 개발에 집중.
“고객 맞춤형 검사시스템 설계 능력, 소프트웨어·시스템 개발 능력, 높은 신뢰를 기반한 납품 이력”을 핵심 역량으로 강조했습니다.
주요 고객사 확대: 2015년 8개에서 2023년 기준 57개로 증가하며, 매출 500억 원 달성과 글로벌 도약을 추진했습니다.
나인테크 (주요주주)
설립 및 성장: 2006년 설립된 2차전지 및 반도체·디스플레이용 소재·장비 전문기업입니다. 2020년 코스닥 상장(대표: 박근노) 후 매출·기술 면에서 확장하고 있습니다.
사업 내용:
2차전지 조립공정 장비, 반도체용 유리기판 장비, 열전소자 등의 생산 및 R&D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벤처천억기업’으로 선정되었으며 2023년에 1,000억 원 이상 매출 달성 후 안정적 성장세입니다.
아이비젼웍스와의 관계:
2016년부터 전략적 투자 및 협력관계를 유지하며, 2024년 상장 당시 250억 원 규모 투자 수익을 기대했습니다.
아이비젼웍스의 상장 첫날 상한가로 인해 나인테크는 큰 자본이득을 실현했습니다.
요약
인물/기업 | 핵심 내역 |
길기재 대표 | - 머신비전 검사 장비 기술력 기반 경영 - 글로벌 확대 목표 - 기술역량 강화 중심의 리더십 |
나인테크 | - 2차전지 및 IT 소재·장비 분야 전문기업 - 2020년 상장, 2023년 매출 1,000억 돌파 - 아이비젼웍스 초기 투자자이자 전략적 파트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