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페이지
  • 게시판
  • 테마정보
  • 테마별 종목

기업 분석 및 이슈

개별 기업에 대한 분석과 사회적 이슈나 뉴스

  • 현대무백스/ 로봇(산업/협동), 스마트팩토리, SI(시스템통합) 테마주/ 재무 최대주주 관련기업/ 25년3월 공시참조

    작은연못 10 회 2025-09-02

  • 1) 테마 연관성(로봇·스마트팩토리·SI)

    로봇(산업/협동): 동사는 물류 이송 로봇(AGV/AMR), 스태커크레인(SRM) 등 물류 로보틱스 라인업을 보유·공급합니다. 배터리·제조 공장에 AGV/AMR을 다수 투입하는 프로젝트를 수주했고, 대형 AMR 플랫폼 개발·실증도 추진 중입니다.

    스마트팩토리: 글로벌 배터리·타이어·제조 공장의 자동창고(AS/RS), 컨베이어, EMS, 고속수직반송기, 통합제어(WMS/WCS) 등을 턴키로 공급합니다(캐나다 에코프로비엠 양극재 공장, 美 테네시 스마트물류 등).

    SI(시스템통합): 물류 IT(WMS/WCS)와 현장 설비를 통합 구축하는 SI 역량이 핵심입니다. 자체 WCS와 연동되는 WMS 등 IT 솔루션 포트폴리오를 보유(IT/솔루션 소개).

    2) 회사 일반 사항·사업 개요

    사업: 스마트물류(물류 자동화 시스템·로봇), IT서비스(SI/솔루션), 승강장안전문(PSD). 현대엘리베이터 물류자동화 부문 분리(2017) 및 현대유엔아이 합병(2018)으로 현 구조 확립.

    주요 레퍼런스/영역 확대: 2차전지 공정 특화 솔루션로 글로벌 수주 확대(에코프로비엠 캐나다, 美 테네시 등).

    코어 역량: 물류 로보틱스(AGV/AMR) + 자동창고/컨베이어 + WMS/WCS 통합.

    3) 연결 재무 요약(최근 3년, 단위: 백만원)

    연도매출영업이익당기순이익(지배)        부채비율
    2022     210,50012,200            9,20042.0%
    2023267,800     4,1004,20054.9%
    2024341,40024,60026,90073.6%
    • 매출/영업이익(연결): 2022~2024년 2,105→2,678→3,414억원 / 122→41→246억원(백만원 환산 반영).
    • 당기순이익(지배주주): 2022년 92억원, 2023년 42억원, 2024년 269억원(회사 공지 및 다수 기사).
    • 부채·자본(억원) 기준 부채비율 계산: 2022년 649/1,546=42.0%, 2023년 882/1,607=54.9%, 2024년 1,267/1,721=73.6%.

    4) 대주주 및 유동주식비율

    최대주주: 현대엘리베이터 외 5인 60.22%(최종변동 2025-08-14)

    기타 5%+: HMM(에이치엠엠) 13.01%(변동기준 2021-03-12)

    자사주: 1.51%(2025-07-03)

    유동주식비율: 38.27%

    5% 이상 주주 합계 약 73.23%(현대엘리베이터 그룹 60.22% + HMM 13.01%). 유동주식비율은 별도 공시 기준 38.27%.

    5) 대주주 약력(핵심 인물 중심)

    현정은 현대그룹 회장: 현대그룹 총괄. 이화여대 사회학과·동 대학원, 현대그룹 회장 취임 이후 그룹 재건 주도.

    정지이 현대무벡스 전무(현대그룹 장녀): 서울대 고고미술사·연세대 신문방송학 석사, 현대상선·현대유엔아이 거쳐 현대무벡스 전무. 대외활동(재단 이사장 등) 경력.

    ※ 법적 최대주주는 현대엘리베이터(법인)이며, 오너 일가의 공개 약력은 그룹 지배구조 이해 차원에서 참고

    6) 지배·지분 관계 있는 상장사

    지배(모회사): 현대엘리베이터(017800, KOSPI) – 현대무벡스 최대주주.

    5%+ 주주: HMM(011200, KOSPI) – 2021년 공시 기준 13.01% 보유 이력(현 시점 변동 여부는 후속 공시 확인 필요).

    계열/사업 연계: 동사는 현대그룹 내 스마트물류·IT 중추이며, 별도 상장 자회사 없음(주요 현장은 배터리·제조 고객사와의 프로젝트). 관련 수주 기사 다수.

    7) 상장 이력(특례 여부)

    상장 방식: 2021년 3월 12일 스팩(SPAC) 합병을 통한 코스닥 상장(NH스팩14호와 합병). 통상적 IPO가 아닌 스팩합병(우회상장 성격) 경로.

    직상장 추진 → 심사 지연 → 스팩합병 전환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