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페이지
  • 게시판
  • 테마정보
  • 테마별 종목

기업 분석 및 이슈

개별 기업에 대한 분석과 사회적 이슈나 뉴스

  • 원익그룹 지배구조 관계도/ 원익홀딩스, 원익IPS, 원익QnC, 원익머트리얼즈, 원익큐브, 케어랩스, 원익/사업연계성

    작은연못 8 회 2025-08-28

  • 원익그룹(원익홀딩스 중심)의 상장 계열 전반을 “지배·지분구조 + 사업적 연계성” 위주로 정리했습니다.

     

    1) 그룹 상단 구조(지배의 축)

    • 최상단(사익회사) → ㈜원익(032940) → 원익홀딩스(030530) 순으로 이어지는 피라미드형.
    • 창업주 일가 가족회사 ‘호라이즌’이 ㈜원익의 최대주주(46.33%) → ㈜원익이 원익홀딩스 30.00% 보유. 이 회장 개인 및 우호지분도 존재. 이 구조는 흔히 말하는 ‘옥상옥’(비지주사가 지주사 위에 있는) 형태로 해석됩니다.

     

    2) 원익홀딩스 → 주요 상장 자·관계회사 지분

    회사(티커)원익홀딩스 등 직접 지분율비고/핵심 사업
    원익홀딩스(030530)가스/토탈가스솔루션, 지주기능.
    원익IPS(240810)32.99%(원익홀딩스)반도체·디스플레이 장비. 회사 IR에도 주요주주로 명시.
    원익QnC(074600)21.00%(원익홀딩스) + 이용한 19.35% 등 ‘최대주주 등’ 합산 40%대쿼츠웨어·세정·미국 MQT(구 모멘티브 쿼츠) 보유.
    원익머트리얼즈(104830)45.7%(원익홀딩스)고순도 특수가스.
    원익PNE(131390)/비상장31.0~33.3%(원익홀딩스)2차전지 포메이션 등 배터리 장비. 지분확대 공시·기사 다수.
    티엘아이(TLI, 062860)/비상장                           62.5%(원익홀딩스, 2차 공개매수 결과)DDI/티콘 팹리스. 24~25년 상장폐지 추진→미완, 합병 철회 이슈.
    케어랩스(263700)24.05%→31.8% 내외(원익홀딩스, 23~25년 증자·취득)                                                 굿닥/바비톡 플랫폼. 인수 배경·후속 변동 다수.
    ㈜원익(032940)호라이즌 46.33%(최대주주)유통/의료기기·브랜드/지주 위 지배축. 원익홀딩스 30.00% 보유.

     

    3) 계열 확장·M&A로 형성된 추가 연결 포인트(상장 중심)

    • 미국 ‘Momentive Quartz Technologies(MQT)’(원익QnC 美子회사): 19~20년 컨소시엄 딜로 인수, 이후 미국 내 쿼츠웨어 거점. 25년 MQT 상장(‘MT Holding’) 추진은 시장 여건으로 지연, 드래그얼롱 기한 연장.

     

    4) 사업적 상호관련성(밸류체인 관점)

    장비(IPS) ↔ 소재·부품(머트리얼즈·QnC): 동시 고객(삼성전자·삼성디스플레이·TSMC 등)에 장비+특수가스+쿼츠웨어 패키지 공급력. 고객 설비 투자(CAPEX) 사이클 민감. 2024~25년 보수적 CAPEX 국면에서 IPS 실적 변동성이 확인됨.

    머트리얼즈 ↔ 큐브: 고분자·케미칼 유통·전자소재 등에서 내부 수요·공급망 보완. 큐브는 원가·환율 영향 수익성 변동성.

    배터리(원익PNE): 23~24년 ‘배터리 캐즘’ 여파로 영업손실 발생, 다변화 과제. 홀딩스 차원에서 Non-메모리/Non-소부장 포트폴리오 보완(헬스케어·팹리스) 병행.

    디지털 헬스(케어랩스): 그룹 신사업 축(‘굿닥/바비톡’). 인수 프리미엄·자금조달 이슈로 주주평가 엇갈림.

     

    5) 핵심 거버넌스 포인트(리스크 & 관찰 포인트)

    1. ‘옥상옥’ 논란 가능성: ㈜원익(비지주) → 원익홀딩스(지주) 상단 구조. 의사결정·소유·이익배분 축이 분리돼 소액주주 관점 논쟁 소지. 다만 ㈜원익·이용한 회장·QnC 등 우호 연합으로 안정 지배력 확보.
    2. 승계 트랙 가시화: 2024년 ㈜원익 최대주주가 가족회사 ‘호라이즌’으로 정리되며 2세 승계 포석 평가. 그룹 차원의 중장기 사업 포트폴리오 전환(팹리스·헬스케어)과 맥락.
    3. TLI 상장폐지·합병 불확실성: 24년 1·2차 공개매수로 62.5%까지 확보했으나 95% 미만 → 상폐 미진행, 25.7 합병 철회 공시로 재정비 중. 지배/재무 전략의 유연성 높으나 가시성은 낮음.
    4. MQT(美) IPO 지연: 현지 사업은 견조하나 시장창구(IPO) 타이밍 지연. 연내/내년 재추진 여부 주목.
    5. 업황 민감도: 삼전 CAPEX·메모리 사이클·TSMC 퀄리티 게이트 등 대형 고객 의존. IPS·머트리얼즈 실적 민감, QnC는 비교적 방어력 우수(글로벌 점유 확장).

     

    원익그룹 지배구조 (상장 vs 비상장 구분)

    구분회사명상장 여부원익홀딩스 등 지분주요 사업
    지주원익홀딩스 (030530)상장그룹 지주, 반도체 특수가스 유통/솔루션
    주요 자회사     원익IPS (240810)상장원익홀딩스 32.99%반도체·디스플레이 장비
    원익QnC (074600)상장원익홀딩스 21% + 이용한 회장 외 합계 40%대쿼츠웨어, 세정, 미국 MQT
    원익머트리얼즈 (104830)상장원익홀딩스 45.7%반도체용 고순도 특수가스
    원익큐브 (014190)상장원익머트리얼즈 31.57%전자소재·유통
    케어랩스 (263700)                            상장원익홀딩스 24~32%디지털 헬스케어 플랫폼 (굿닥·바비톡)
    비상장원익PNE비상장원익홀딩스 31% 내외2차전지 장비 (포메이션 장비 등)
    비상장티엘아이 (TLI)비상장 (상장폐지 추진 중, 합병 철회 후 재정비)                          원익홀딩스 62.5%DDI·티콘 팹리스
    지배축㈜원익 (032940)상장호라이즌 46.33% / ㈜원익이 원익홀딩스 30% 보유                                           유통·의료기기, 그룹 최상단 지배

     

    핵심 포인트

    • 상장사: 원익홀딩스, 원익IPS, 원익QnC, 원익머트리얼즈, 원익큐브, 케어랩스, ㈜원익.
    • 비상장사: 원익PNE, 티엘아이(TLI).
    • 특수 관계: 원익머트리얼즈 → 원익큐브(지배), 원익QnC → 미국 MQT 자회사 보유.
    • 상단 구조: ㈜원익(상장) 위에 가족회사 ‘호라이즌’이 최대주주 → 지배 체계가 ‘옥상옥’ 형태.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