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페이지
  • 게시판
  • 테마정보
  • 테마별 종목

기업 분석 및 이슈

개별 기업에 대한 분석과 사회적 이슈나 뉴스

  • EG 기업분석/ 희토류, 페라이트, 2차전지(리튬인산철), 수소차(연료전지) 테마주/ 재무(**높은 부채율, 지속 적자)/ 대주주(박지만, 전대통령 아들 )/ 25년공시 참조

    작은연못 7 회 2025-10-13

  • EG(코스닥 037370)

    1) 테마 연관성 (희토류·페라이트·LFP(리튬인산철)·수소연료전지)

    • 페라이트(자석)·희토류 대체: EG는 모터용 페라이트 코어의 핵심 원료인 고순도 산화철(Fe₂O₃)을 주력 생산. 전기차 모터의 희토류(네오디뮴 등) 사용 축소 논의가 커질수록 페라이트 대체재가 부각되어 EG가 수혜 테마로 묶입니다. 테슬라의 ‘차세대 모델에서 희토류 배제’ 이슈 때 EG가 급등한 배경도 동일 맥락(페라이트 대체 가능성)입니다.
    • LFP(리튬인산철) 연계: LFP 양극재는 ‘리튬+인산+’ 기반. 업계 뉴스·해설에서 철계 소재 수요 확대와 함께 EG의 산화철이 LFP 밸류체인 소재 측면에서 거론됩니다(국내 배터리 3사의 LFP 전환/양산 준비 보도 동반 부각).
    • 수소차(연료전지) 테마: EG는 본업이 산화철·에너지환경 플랜트. 수소경제/연료전지 확산 국면에서 환경·에너지 플랜트 사업과 소재 R&D(전자파 흡수용 입실론(ε) 산화철)을 병행하며 관련 테마에 동행합니다(직접적인 연료전지 핵심부품사는 아니지만 에너지·소재 사업의 인접 수혜로 분류).

    • 그 외/정치 테마: ‘박근혜 관련주’로 오래전부터 분류(최대주주 박지만 회장)되며 대선기(2012년) 등 정치 이슈 때 주목된 이력이 큽니다.

    2) 회사 일반 사항·사업 개요

    • 연혁/상장: 1987년 설립 → 2000년 코스닥 상장. 자회사로 EG테크, EG메탈, 에너지파크 등을 보유(비상장). 주력은 고순도 산화철(세계적 점유/규모), 환경·에너지 플랜트(중소형 발전, 신재생, 환경플랜트) 및 차세대 전자파 흡수재(입실론 산화철) 양산 추진.

    3) 연결 재무 요약(최근 3개년, 단위: 백만원)

    구분202220232024
    매출액70,20061,80065,200
    영업이익-8,600-14,400-5,500
    당기순이익-11,300           -20,600            -6,700
    자본총계50,60033,00026,800
    자본금8,6008,6008,600
    부채비율(%)      204.60352.43467.41

    4) 대주주·유동주식비율(지분 5%+ 포함)

    • 최대주주 등(본인+특수관계인): 2,100,617주 24.36%(최종변동 2022/05/31). 박지만 24.22%, 박세현 0.14% 표기. 5%+ 기타 주주 표기는 없음(즉, 5% 이상 보유자는 최대주주측 외 확인 불가).
    • 유동주식수/비율: 6,524,355주 / 75.64%

    대주주 약력(요약)

    • 박지만(EG 회장, 최대주주): 전 대통령 박정희의 아들, 박근혜 전 대통령의 동생. EG 부사장·대표이사·회장 역임. 언론 보도에선 포스코(당시 포항제철)·대우 김우중 전 회장 등과의 관계, 정치 이슈 국면에서 ‘박근혜 관련주’로 EG가 부각된 맥락이 반복적으로 소개됨.

    5) 지배·지분 관계 상장사 존재 여부

    • FnGuide·반기/사업보고서 기준 계열사(EG테크, EG메탈, 에너지파크)는 비상장으로 파악됩니다. EG가 직접 지분·지배로 연결된 국내 상장 자회사/손자회사는 확인되지 않습니다(주요 계열·영업개요·반기보고서 정정분 확인).

    6) 상장 이력(특례 여부) 및 상장이후 주요 이벤트(타임라인)

    • 상장 방식: 2000년 코스닥 일반 상장(특례상장 사례 아님으로 표기).

    주요 이벤트(공시/보도 기반)

    • 2012년 대선 국면: ‘박근혜 관련주’로 EG가 집중 조명(정치 테마주화).
    • 2020.08.11: 전환사채(CB) 발행 결정 공시.
    • 2021.10.29: 전환청구권 행사 공시(누적 전환).
    • 2023~2024: LFP 확대·희토류 대체 이슈 속 산화철·페라이트 관련주로 다수 특징주 보도.
    • 2024.03.21 & 2024.07.02: 사모 CB 발행 결정(조건·만기상환율·전환가액 등) 추가 공시.
    • 기타: 언론에 ‘전환청구권 행사(11억 규모)’ 등 단발 이슈 보도.

    7) 대주주 변경 이력(방법·정황)

    공개 데이터에서 최근 수년간 ‘최대주주=박지만(특수관계자 포함)’ 구조는 유지되고, 2022/05/31을 최종변동일로 한 24.36% 구성이 표준으로 인용됩니다(대규모 블록 거래·3자배정 유증 등으로 ‘최대주주가 타인으로 변경’된 공시 사례는 확인되지 않음). CB 전환·소폭 변동 공시는 있었으나 지배권 이전 성격의 변경은 미확인입니다.

    8) 박지만과 정치 이슈, 그리고 EG와의 연관성

    • 정치 테마화의 근인: 최대주주이자 경영자였던 박지만박근혜 전 대통령의 ‘직계’ 연관성 때문에, EG는 2012년 대선 때 대표적 정치 테마주로 분류되어 과열 관심을 받음(여러 매체가 동 시기 기사화).
    • 회사 본질과의 거리: EG의 본업 모멘텀(산화철·페라이트/LFP/전자파흡수재)은 산업 사이클·고객사 수요·투자(설비/R&D)에 의해 좌우됩니다. 정치 변수는 주가 변동의 외생적 요인으로 반복 등장했으나, 재무·생산·판매의 펀더멘털은 소재·플랜트 사업 성과에 의해 설명되는 편입니다(회사개요/실적 코멘트 참조).
    • 과거 논쟁 보도: 일부 매체가 옛 포항제철(포스코) 특혜 의혹 등을 기사화한 바 있으나, 이는 언론 보도 차원의 이슈 제기였고 회사 측 공식 확정 판단과는 별개로 팩트/법적 판단이 정리된 사안으로 보기 어렵습니다. 분석에선 확정·공식 자료(공시/재무)를 우선합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