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페이지
  • 게시판
  • 테마정보
  • 테마별 종목

기업 분석 및 이슈

개별 기업에 대한 분석과 사회적 이슈나 뉴스

  • 새빗켐 기업분석/ 22년8월 상장(신생)/ 리튬, 폐배터리 테마주/ 재무(**적자주의), 대주주(창업주-> 펀드로 변경)/ 특례상장아님/ 25년공시 참조

    작은연못 7 회 2025-10-13

  • 1) 테마 연관성 (리튬, 폐배터리) & 기타 엮이는 테마

    • 리튬/폐배터리: 새빗켐은 폐리튬이차전지의 양극활물질을 정제·분리해 니켈·코발트·망간 복합액 및 고순도 리튬 화합물을 공급하는 리사이클링 기업입니다. 본업에 더해 반도체·디스플레이 공정 폐산을 재활용해 인산·초산 등을 생산합니다. 또한 태양광 폐패널 재활용 MOU 및 건식 폐배터리 공정 개발을 진행 중입니다.
    • 정책/ESG·순환경제 테마: 자원순환·ESG·탄소중립, 신재생(태양광 폐패널) 확대 정책 수혜 기대 이슈로도 자주 엮입니다.
    • 반도체/디스플레이 폐산 재활용 테마: 설립 초기 핵심 사업. 업황 및 설비투자 기사/IR에서도 강조됩니다.

    2) 회사 일반 사항 & 사업 개요

    • 설립/상장: 2001년 폐수처리 약품 사업으로 출발 → 반도체·디스플레이 폐산 재활용으로 성장 → 2022년 8월 4일 코스닥 상장. 특례상장(기술특례 등) 해당 없음.
    • 주요 사업: (1) 폐이차전지 재활용(Ni/Co/Mn 복합액, 고순도 리튬) (2) 반도체·디스플레이 폐산 재활용(인산/초산 등) (3) 태양광 폐패널 재활용 R&D(건식 공정) 등.

    3) 재무요약(연결, 최근 3년, 단위: 백만원)

    구분202220232024
    매출액48,10046,00030,300
    영업이익10,200-4,900-6,200
    당기순이익         7,700-1,200                -10,700
    자산총계89,60098,60094,000
    부채총계26,40035,50041,100
    자본총계63,100              63,10053,000
    부채비율(%)41.8856.3377.60
    자본금2,7002,7002,800

    4) 대주주 및 유동주식비율

    상위 주주(보통주 기준, 2025/04/16 기준):

    에스케이아이엘에코시너지밸류업1호(유) 22.59%, 박민규 16.22%, 엔에이치리사이텍컴퍼니 15.39%, 이명희 3.18% 등. 해당 상위 4인의 합계가 표시된 ‘최대주주등’ 그룹 지분 57.38%로 기재되어 있습니다. 우리사주조합 0.13%.

    유동주식비율(추정): 상기 상위주주 합계 57.38% 및 우리사주 0.13%를 제외하면 약 42.5% 내외가 유통으로 추정됩니다.

    5) 대주주 약력(핵심)

    • 박민규: 창업주/전 대표. 2025년 초 지분 일부 매각으로 최대주주 지위를 LX인베스트먼트 계열 펀드(SKIL ECO Synergy Value-up 1호)에 넘김.
    • 신규 영향력 주체(이사회 진입): 최대주주 변경 발표에서 사내이사 조정민·김충원·김상준 신규 선임 계획이 명시. 김충원은 LX인베스트먼트 대표로 알려져 있으며, 이후 이사 선임·대표이사 변경 공시가 연쇄 진행됨.

    6) 상장 이력(특례 여부 포함)

    • 공모·상장: 2022.07 수요예측 흥행(1767개 기관 참여, 일반청약 1,724.96대1), 공모가 35,000원, 2022.08.04 코스닥 상장. 특례상장 ‘해당 없음’으로 공시에 기재.

    7) 상장 후 주요 이슈(타임라인)

    • 2022.08.04: 코스닥 상장(공모가 35,000원). 상장 첫날 ‘따상’ 터치.
    • 2023~2024: 설비투자/리튬 회수 라인·태양광 폐패널 MOU 등 사업 확장 IR/보도. EV 업황 둔화 여파, 실적 변동성 확대.
    • 2024.11~12: 사채 관련 조기취득 공시(전환/신주인수권부사채 일부 만기 전 취득 등). (IRGO 공시목록)
    • 2025.02.03: 최대주주 변경 수반 주식양수도계약 체결(매각대상: 박민규 외 特관 / 매수인: 에스케이아이엘에코시너지밸류업1호(유)).
    • 2025.02.10: 유상증자 결정. 이후 3월 24일 정정 공시 포함(발행조건 보완).
    • 2025.02.28: 최대주주 변경 종결(변경 전: 박민규 외 6인 49.85% → 변경 후: SKIL Eco Synergy Value-up 1호 외 1인 29.90%). 인수자금 300억원, 경영참여 목적, 이사 3인 신규 선임 계획 명시.
    • 2025.03.07~04.04: 대량보유(5%↑) 보고 연쇄—SKIL 1호의 22.9%→22.59%(유상신주 취득 등 후 갱신), 공동보유자로 LX인베스트먼트·IBK캐피탈·SKIL 에코 1호 PEF 등 표기. (대량보유 보고서/보도)
    • 2025.05.08: 대표이사 변경/임시주총 결과 등 경영진 교체 진행. (IRGO 공시목록)

    8) 대주주 변경 당시 상황 & 방법(상세)

    • 방법: 창업주 일가(박민규 외)가 보유하던 구주 29.90%를 300억원(주당 20,140원)에 에스케이아이엘에코시너지밸류업1호(유)에 매각(주식양수도 계약 체결 및 종결). 이후 제3자배정 유상증자 참여/교환·전환 관련 거래와 맞물려 지분 보고가 갱신되며 최대주주 그룹 지분 57.38%(상위 4인 합산)로 표기.
    • 배경 기사 흐름: 2024년 하반기부터 오너 2세 지분 매각설·재원 마련 이슈 보도 → 2025년 2월 LX인베스트먼트 계열 펀드가 인수 주체로 등장, 2월 말 구주 인수 마무리 및 3월 신주 거래 순차 클로징 계획 보도.
    • 경영권 참여: 매각 공시에서 경영참여 및 이사회 교체 계획 명시(사내이사 3명 신규 선임).

    9) “에스케이아이엘에코시너지밸류업1호(유)”의 실체·사업 성격·배후 인물

    • 법적 실체: 국내 유한회사(사업자등록번호 534-86-03479), 업종은 투자업, 발행회사(새빗켐)와의 관계는 “최대주주”. 대량보유 보고에서 업무연락처(법무법인 세종), 공동보유자(주)엘엑스인베스트먼트(LX Investment), (주)아이비케이캐피탈, 에스케이아이엘에코제1호그린뉴딜 PEF 등이 명시됩니다. 즉, LX인베스트먼트가 실질 운용하는 PEF/비히클 체계로 파악됩니다. (대량보유 보고 전문)
    • 배후(운용) 주체: 다수의 보도에서 LX인베스트먼트의 블라인드 펀드 ‘SKIL ECO PEF’를 활용한 인수로 설명. LX인베스트먼트의 운용 재원·ESG/친환경 투자 라인업 기사에서도 ‘SKIL ECO’ 명칭의 펀드들이 거론됩니다.
    • 핵심 인물: 공시/기사와 이사회 선임 계획에서 김충원(LX인베스트먼트 대표) 등의 이름이 확인됩니다(사내이사 신규 선임 계획). 즉, LX인베스트먼트主도 하의 밸류업(지배구조·조직·재무 리빌딩) 전략으로 인수된 케이스로 해석됩니다.

    10) 지배·지분관계에 얽힌 다른 상장회사 여부

    • 새빗켐이 지배하는 상장사: 없음(연결 내 비지배주주 0, 사업보고서/에프앤가이드 구조상 종속사 상장 이슈 미표기).
    • 주주 측 관련 상장사: LX인베스트먼트·SKIL 펀드·NH Recytech Company 모두 비상장 기반의 투자법인/PEF로 확인됩니다(대량보유 보고에 각 주체 표기). 따라서 직접적인 상장 계열 편입 사례는 확인되지 않음(2025.10.13 기준 공개 자료 범위).

     

    정리

    • 펀더멘털: 2022년 고점 이후 업황/가격 변수로 ’24년 적자(연결) 전환. 재무 구조는 ’24년 부채비율 77.6%로 상승했으나, 절대 부채규모는 과도하지 않음(부채 411억원=41,100백만원). 자본금 증액(’24년 28억) 및 ’25년 유증/교환·전환 관련 거래운영/투자재원 보강을 병행. (에프앤가이드/공시)
    • 구조 변화: 2025년 2~5월 사이 지배주주 교체 → 유증 → 이사회/대표 교체가 일련의 ‘밸류업’ 패키지로 전개. 신규 최대주주 축(LX인베스트먼트 계열 펀드)은 경영참여형(밸류업) 성격을 공시로 분명히 했고, 이사회 재편을 통해 의사결정의 축 이동이 이루어진 상태.
    • 테마성: 본업 자체가 리튬/폐배터리 테마의 정중앙. 추가로 태양광 폐패널·ESG/순환경제 테마에의 연동도 명확.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