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니온머티리얼(코스피/ 047400)
1) 테마 연관성 정리
- 희토류: 동사는 네오디뮴(희토류) 자석의 “대체재”로 거론되는 페라이트 마그넷을 주력 생산합니다.
- 요소수(AdBlue): 직접 요소수를 만들진 않지만, 모회사 ‘유니온(000910)’이 요소수 5대 브랜드 ‘불스원’ 지분을 보유한 사실이 2021년 요소수 대란 당시 다수 매체에서 부각되어 유니온·유니온머티리얼이 함께 테마로 엮였습니다(유니온의 불스원 보유: 약 9.8~10.2%).
- 페라이트/자동차부품: 회사의 본업 자체가 페라이트 마그넷(자동차 전장·가전용 모터 소재)과 파인세라믹스(절삭공구·수도밸브 디스크 등)로, 자동차부품/산업소재 테마와 1차 연동됩니다.
- 공작기계(절삭공구): 종속회사 유니온툴텍(비상장)을 통해 절삭공구 사업을 함께 전개, 공작기계/공구 테마와도 연결됩니다(종속회사 현황).
- 기타(수소·연료전지·전력반도체 부품 개발): 회사 프로필/리포트 문구상 SOFC(고체산화물연료전지)·전력반도체 모듈 부품·석유화학용 세라믹 개발로 친환경 산업 진출을 병행 중(테마 확장성).
2) 회사 일반사항 & 사업개요
- 설립/상장: 2000년 설립, 2009.09.29 유가증권시장 상장. 2017.03.14 최대주주가 쌍용양회에서 (주)유니온으로 변경되었고, 같은 해 사명(쌍용머티리얼→유니온머티리얼) 변경.
- 사업부문: ① 페라이트 마그넷(모터 자석) ② 파인 세라믹스(절삭공구, 마그네트론 스템, 수도밸브 디스크 등). 글로벌 네트워크로 자동차/가전 OEM 공급.
- 해외 생산/법인: 베트남(Union Materials Vietnam) 생산법인, 중국 유통 법인, 국내 유니온툴텍(절삭공구). (연결 종속회사 표기)
3) 연결 기준 요약 재무 (최근 3년, 단위: 백만원)
구분 | 2022 | 2023 | 2024 |
매출액 | 126,100 | 116,500 | 108,400 |
영업이익 | 800 | -4,700 | -16,500 |
당기순이익 | -200 | -18,100 | -46,500 |
부채비율(%) | 143.6 | 193.6 | 796.4 |
자본금 | 21,000 | 21,000 | 21,000 |
자본총계 | 83,800 | 63,700 | 15,400 |
4) 주주구성(5%+)·유동주식비율(연결/정기공시 기준)
최대주주: (주)유니온 16,800,000주(지분 40.00%, 2023/05/12 기준).
2대주주(특수): 대원지에스아이 외 2인 합산 5,005,000주(11.92%) — 세부: 대원지에스아이 7.90%, 대원전설 3.10%, 배연창 0.92%(2017/03/24 기준 공시).
유동주식비율: 60.00%(지수 산정 기준).
(과거) 2020.06.30 기준 공시에도 유니온 47.64%, 대원지에스아이 9.45%로 5%+ 주주가 명시되어 있습니다.
대주주 약력(핵심)
- 유니온(000910): 백시멘트·특수시멘트/용융알루미나 등 시멘트·내화소재 업체. 그룹 차원의 희유금속/금속산화물 등 신소재 확대를 표방. 유니온이 유니온머티리얼의 최대주주.
- 경영진: 대표이사 김진영, (겸직 대표) 이우선. (회사/공시 기준)
- 보도 기사에서 김진영 대표의 장기 재임과, 이우선 부사장의 OCI 방계 인맥 관련 서술이 확인됩니다.
2대주주 대원지에스아이 실체
- 사업: 곡물·식품 가공 라인 및 광학 선별기(색채선별기) 제조/플랜트, 칠곡 본사(1970s 기원). 국내외 대리점 네트워크.
- 규모(레퍼런스): 사원 100명대, 매출 500억대.
5) 상장 이력 & 주요 이벤트(연혁성 이슈)
상장: 2009.09.29 코스피 상장(일반 상장, 특례상장 아님).
2017.03.14 대주주 변경(쌍용양회 → 유니온): 주식양수도에 따른 경영권 이전. 이후 사명 변경(쌍용머티리얼→유니온머티리얼).
2023.05.12 유니온의 장내매도(-2.86%p): 최대주주 보유 40.00%로 조정.
손상차손 대규모 인식(2023~2024):
FnGuide 연결 손익에서 자산손상차손 106억(’23), 315억(’24) 항목 확인.
베트남 종속회사 투자주식 평가손실 및 장부가 대폭 감액(‘타법인 출자/베트남 법인 장부가 119.45억 → 9.29억, 평가손실 약 110.56억) 기재.
참고사항) 2023~2024년 영업·순이익 급락 분석(원인)
핵심 요인 1 — 손상차손 대폭 확대
- 연결 기타비용 중 자산손상차손이 2023년 106억, 2024년 315억으로 급증. 이는 세라믹 현금창출단위(CCU) 및 베트남 종속회사 관련 손상평가를 반영한 것으로 사업보고서·분기/반기보고서에서 반복 언급됩니다. → 영업이익·당기순손실 급락의 1차 요인.
- 베트남 법인(Union Materials Vietnam) 투자주식 대규모 평가손실(약 110.6억) 및 장부가 축소 내역이 확인됩니다(타법인 출자 현황 표).
핵심 요인 2 — 판관비/원가 부담과 매출 둔화
- 매출은 ’22 1,261억 → ’24 1,084억으로 감소. 매출총이익이 159억 → 33억까지 축소되는 등 총이익 여력 감소. 판관비(’24 198억) 대비 총이익(33억) 열위가 커져 영업적자 심화.
보조 요인 — 금융/외환 등
- 금융원가(이자비용 등) 2023~2024년 각 53억 수준, 외환손익 변동 등 비영업부담이 존재.
종합: 매출 둔화 + 원가/판관비 부담 위에 베트남·세라믹 관련 손상평가가 크게 반영되며 ’23~’24 적자 폭 확대(특히 순손실 급증)를 초래했습니다. (회사 공시)
7) 지배·지분관계가 있는 상장회사
- 모회사 ‘유니온’(000910, 코스피 상장)이 최대주주이며, 연결 범위에서 유니온머티리얼을 종속회사로 보유. (유니온 회사개요/지분)
- 동사 종속회사(유니온툴텍·Union Materials Vietnam·중국 유통법인)는 비상장. → 따라서 그룹 내 상장사는 모회사 ‘유니온’이 핵심입니다.
8) 상장 후 특이 이슈(연표형)
- 2009.09.29: 코스피 상장(일반)
- 2017.03.14: 대주주 변경(쌍용양회→유니온, 주식양수도로 경영권 이전) → 사명 변경(’17.09).
- 2023.05.12: 최대주주 유니온 120만주 장내매도, 보유 40.00%로 조정.
- 2023~2024: 손상차손 대폭 인식(세라믹 CCU·베트남 법인 관련) 및 연결 순손실 확대.
요약
- 본업: 페라이트 마그넷(자동차·가전 모터), 파인세라믹스(절삭공구·밸브디스크 등).
- 테마: 희토류(대체재 페라이트), 요소수(모회사 ‘불스원’ 지분 보유 이슈), 자동차부품/공작기계(제품 성격), 친환경/연료전지(신사업 R&D).
- 실적 하락(’23~’24): 매출 둔화·원가/판관비 부담 + 자산손상차손(’23 106억, ’24 315억)이 결정타.
- 지배/지분: 모회사 ‘유니온(000910)’(상장) 보유 40.00%, 2대주주 ‘대원지에스아이 외 2인’ 11.92%, 유동주식비율 60%.
- 특이 이력: 2017년 경영권 이전(쌍용양회→유니온) 및 사명 변경, 2023년 최대주주 장내매도(보유 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