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반도체(코스닥 / 080220)’ 분석입니다.
1) 테마 연관성
온디바이스 AI
- 제주반도체는 모바일 중심의 저전력 메모리(LPDDR, eMCP 등) 설계사로, 스마트폰·웨어러블·IoT 디바이스에서 온디바이스 AI 성능을 뒷받침하는 고대역폭·저전력 메모리가 핵심 제품 포트폴리오입니다.
- 실제로 회사 제품 라인업에는 LPDDR5X, eMCP 등이 올라와 있어 최신 모바일/엣지 AI 수요에 맞춘 메모리 포트폴리오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휴대폰부품
- 사업 본류가 ‘모바일 기기 특화 메모리 설계·판매’이므로 전통적인 휴대폰부품(스마트폰 메모리) 섹터로 분류됩니다.
기타(정책/특이) 테마 가능성 – 복권
- 연결 범위 내 동행복권(관계회사), 아이지엘(종속회사), 램스웨이(종속회사)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특히 동행복권 지분 49.4% 보유, 아이지엘 70%(동행복권 30% 지분 보유) 구조가 공시에 제시됩니다. 복권사업(정부 위탁사업) 참여 이력 때문에 복권·공공위탁 관련 테마로 엮일 여지가 있습니다.
2) 회사 개요·사업개요
- 설립/상장: 2000.04.04 설립, 2005.02 코스닥 상장(일반상장). 본사는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첨단로 330. 상호는 2013.03에 ‘이엠엘에스아이’→‘제주반도체’로 변경.
- 영업: 모바일·IoT 등 저전력 메모리 반도체 설계·판매가 주력(파운드리 외주), 부동산 개발·시행사업 병행(소규모).
- 제품: LPDDR(최신 LPDDR5X 포함), MCP/eMCP 등 모바일 메모리.
- 계열: 동행복권(관계회사), 아이지엘·램스웨이(종속회사). 상장사는 없음(비상장 3사).
3) 연결 재무 요약 (최근 3년, 단위: 백만원)
구분 | 2022 | 2023 | 2024 |
매출액 | 158,300 (158,936) | 145,900 (145,862) | 162,400 (162,212) |
영업이익 | 26,300 (28,750) | 17,800 (17,796) | 9,600 (9,644) |
당기순이익 | 24,700 (24,652) | 16,900 (16,910) | 19,400 (19,391) |
부채비율 | 23.33% | 25.29% | 22.36% |
자본금 | 17,400 (17,371) | 17,400 (17,371) | 17,400 (17,371) |
자본총계 | 142,700 (144,577) | 158,600 (158,569) | 184,200 (184,234) |
4) 주주구성·유동주식
5%+ 및 특수관계인(최대주주등)
- 박성식 10.35% (3,566,420주), 배우자·자녀 등 포함 합계 10.47%, 2024/04/03 기준. 자사주 2.21%.
- 소액주주 비율: 79.83% (주주수 106,291명).
(추정) 유동주식비율
- 실무적으로 유동주식 ≈ 100% – (최대주주등 10.47%) – (자사주 2.21%) = 약 87.32%.
- 참고: ‘소액주주 비율(79.83%)’은 1인 1% 미만 기준 집계치로, KRX의 유통가능주식 정의와 다를 수 있습니다.
5) 대주주(박성식) 약력 요약
- 1961년생, 삼성전자 반도체 판매사업부 근무 후 2000년 창업, 현재 대표이사(2024.08.06 이후 단독대표). 학력은 ‘일본대 전자공학과’로 기재.
6) 지배구조·계열사(상장/비상장 구분)
레벨 | 명칭 | 상장여부 | 지분율 | 비고 |
최상위 | 박성식 外 특수관계인 | 개인 | 10.47% | 최대주주등(2024/04/03) |
핵심 | ㈜제주반도체 | 코스닥 | - | 메모리 반도체 설계/판매 |
종속 | 램스웨이(주) | 비상장 | 99.4% | 종속회사 |
종속 | (주)아이지엘(IGL) | 비상장 | 70% | 종속회사(동행복권이 30% 보유) |
관계 | (주)동행복권 | 비상장 | 49.4% | 관계회사(로또복권 위탁) |
참고 | 자기주식 | - | 2.21% | 의결권 없음 |
※ 상장 계열사: 없음(비상장 3사).
7) 상장 이력·특이 이벤트(연혁성, 중요도 기준)
- 2005.02 코스닥 상장(일반상장), 2005.01 상장 목적 공모 유증.
- 2006.12 Winbond 제3자배정 유증(약 140억) 유치.
- 2007.07 램스웨이 인수(종속 편입) / 2007.08 BW 110억 발행.
- 2009.07 주주배정 유상증자(6,100,000주).
- 2013.03 사명 변경(이엠엘에스아이→제주반도체).
- 2018~ 동행복권 컨소시엄 참여(4기), 2024~2028 5기 재선정·운영.
- 2023 (연결) 감자로 인한 현금유출 4.5억(현금흐름표), 2024 배당금 10.8억 지급, 자기주식 처분 91.58억(현금유입) 기재.
- 2024.02 자사주 330,000주 처분, 2024.04 전 대표이사 조형섭 100,000주 무상증여 → 2024.06 회사 우리사주조합 기부(지배구조상 ‘우호지분’ 성격 강화 요인).
8) 대주주 변경·지분 변동 이슈 (2024~2025)
- 최대주주 변동 없음: 사업보고서의 “최대주주 변동내역: 해당사항 없음” 및 보유비율 변동 없음(’24.12.31 기준).
- 2025년 5% 공시: 회사 IR/공시 목록에 2025.04.29 박성식 ‘대량보유(일반)’, 2025.02~04 한국증권금융 ‘대량보유(단순/단축)’ 등 5% 보고서가 게재(보유목적/담보·대여 계정 포함 가능). 최대주주 변경 공시는 아님.
- 기타 5% 이상 주주 매매: 2023~2024 랠리 구간에 모건스탠리 계열 운용사가 5% 이상 보유 후 차익 실현한 정황 보도(대주주 ‘박성식’ 아님).
참고사항 )
“숨은 지배 대주주” 가능성 및 낮은 지분(10.47%)의 리스크 평가
관측 사실(공시 근거)
- 최대주주등 합계 10.47%, 자사주 2.21%(의결권 없음), 소액주주 79.83%로 주주 구성이 매우 분산.
- 2024년에 우리사주조합으로의 주식 기부(100,000주), 자사주 33만주 처분 등이 있었고, 이는 실질적으로 ‘우호 성향 지분’을 강화할 수 있는 이벤트로 해석됩니다(우리사주 지분은 주총 안건에서 경영진 우호 표로 귀결되는 경우가 일반적).
숨은 지배주주 여부
- 공시상 특수관계인·임원 지분, 자사주, 우리사주 외에 ‘우호 법인’이나 ‘비공개로 결집된 파워 블록’ 정황은 확인되지 않습니다. 2024~2025년의 5% 보고서들도 대부분 보유 목적·대여/담보 등 실무성 거래가 섞인 일반 보고로 읽히며, 지배권 변동 시그널은 없음.
낮은 지분율의 리스크/완충 요인
- 리스크: (i) 지분이 낮아 적대적 주주행동(외부 주주 연합)이 시도될 여지, (ii) 블록딜/기관 연합이 뜻을 모을 경우 의결권 결집이 상대적으로 용이.
- 완충: (i) 소액주주 비중이 매우 높아(79.83%) 외부가 실무적으로 의결권을 빠르게 결집하기 쉽지 않음, (ii) 우리사주·임원 지분 및 주주 친화 정책(배당·자사주 운용) 등은 경영진에 우호적으로 작용 가능. (이는 일반적 기업지배 구조 논리이며, 회사 고유의 약정은 공시상 확인된 바 없음.)
“대주주가 주가 급등 때 팔았나?”
- 최대주주(박성식) 보유분은 2018년 이후 유지 기조(10.35%)로 확인됩니다. 2024~2025 공시에서도 최대주주 보유 변동 공시는 없음. 반면 모건스탠리 계열 등 기관 5% 보유자가 랠리 구간에 차익 실현한 보도는 존재합니다(대주주 매도와 구분).
기타) 상장사와의 지배/지분 관계
- 현재 공시 기준, 계열 3사 모두 비상장이며 지분관계가 있는 상장사는 없음으로 확인됩니다
요약
- 핵심: 모바일·IoT 중심의 저전력 메모리 설계사로, 제품 스펙(예: LPDDR5X/eMCP)과 기업개요 상 온디바이스 AI 테마의 정합성이 높습니다. 지배·지분은 분산형 구조(최대주주등 10.47%)이나, 우리사주·자사주 운용 등으로 실무적 우호지분을 보강해왔습니다. 상장 계열사는 없고, 복권(동행복권) 참여 이력으로 보조 테마(복권/공공위탁) 연계 포인트가 존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