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페이지
  • 게시판
  • 테마정보
  • 테마별 종목

기업 분석 및 이슈

개별 기업에 대한 분석과 사회적 이슈나 뉴스

  • 심텍홀딩스 기업분석/ 지주사 테마/ 재무(**큰 적자, 높은 부채율), 최대주주, 관련기업(심텍)/적자이유 분석/ 25년공시 참조

    작은연못 13 회 2025-10-03

  • 1) 테마(Theme) 분류와 연관성

    지주사(지배구조/NAV) 테마

    심텍홀딩스는 심텍 그룹의 지주회사입니다. 2016.01.01 지주회사로 전환했고(2015.07 인적분할, 2015.08 변경상장) 지배구조/NAV 디스카운트 관련 지주사 테마로 분류 가능성이 높습니다.

    반도체 기판(패키지기판·PCB) / AI·서버(DDR5·GDDR7·HBM 연관) 테마(자회사 연동)

    제조는 자회사 ㈜심텍이 수행합니다. 심텍은 메모리 모듈 PCB와 패키지 서브스트레이트(FCCSP·WBCSP, GDDR 등)를 주력으로 합니다. (심텍 공식 소개)

    2024~25년 기사에서는 HBM/AI 수요 확대 기대감과 GDDR7, ‘SOCAMM(소캠)’ 등 차세대 메모리 모듈 이슈가 심텍(자회사)에 부각됩니다. 다만 HBM용 기판 직납 여부는 시점별 보도에 견해차가 있으므로(2024.05 조선비즈는 ‘HBM 기판 미납품’ 언급) 균형 있게 보시는 게 안전합니다.

    해외(말레이시아·인도) 생산·투자 테마

    2021년 전환우선주 발행 자금은 말레이시아 SUSTIO 신공장 투자에 사용(자회사 측)되었고(지주사가 관련 유증·참여·전환 내역을 공시), 2024년에는 인도 구자라트 투자 계획 보도도 있었습니다. ,

    정리:

    지주사/NAV, 반도체 패키지기판/PCB(DDR5·GDDR7·HBM·AI 서버), 해외 생산/투자(말레이시아·인도)가 심텍홀딩스(=심텍 연결)와 가장 연관성이 높은 테마입니다. 시장에서는 위 테마로 자주 묶입니다.

     

    2) 회사 일반 사항 & 사업개요(요약)

    • 성격: 심텍 그룹 지주회사(자회사 관리·투자).
    • 상장: 2015.08.07 인적분할 후 변경상장(기존 ㈜심텍에서 상호변경→심텍홀딩스).
    • 사업: 자회사(㈜심텍 등)를 통해 메모리 모듈 PCB·패키지기판 제조/판매를 영위. (자회사 중심 제조 구조)
    • 주요 이슈(24년): 자회사 ㈜심텍이 전환사채(제4회, 1,000억)·BW(제5회, 200억)를 발행했고, 심텍홀딩스가 콜옵션 권리를 보유하여 파생상품부채(내재파생) 인식.

     

    3) 연결 재무요약(최근 3년, 단위: 백만원)

    구분202220232024
    매출액1,710,417            1,092,958            1,302,112
    영업이익(손실)299,874-206,311-131,513
    당기순이익(손실)         186,450-196,307-112,319
    자본총계633,029418,903278,656
    부채비율(%)123.75212.87427.28
    자본금25,74225,74225,798

    근거(사업보고서): 매출/영업/순이익(연결 요약 손익), 자본총계(연결), 부채비율(자본관리), 자본금(자본 변동).

     

    4) 대주주 지분 & 유동주식(자본시장 관점)

    5% 이상 주주(보통주, 2024.12.31)

    전세호 40.22%

    LIGHTMAC Pte. Ltd. 15.90%

    합계(최대주주+특수관계인) 56.22%

    기준 유동주식비율: 44.74%, 최대주주(외 7인) 51.45% 등으로 집계

     

    5) 대주주(오너) 약력(요약)

    • 전세호: 심텍 그룹 오너로서 심텍 이사회 의장/회장으로 활동. 그룹의 해외 투자·신사업(패키지기판 고부가) 전략을 주도해 온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6) 지배·지분관계 있는 상장회사

    • ㈜심텍(코스닥 222800) – 심텍홀딩스의 핵심 자회사이자 그룹 제조사(패키지기판·메모리 모듈 PCB). 심텍 IR에 따르면 심텍홀딩스 지분 33.05%(2025.06.30 기준) 보유.
    • (사업보고서의 계열회사 현황에서도 그룹 내 상장사 2곳(심텍홀딩스·심텍)로 명시)

     

    7) 상장 이력(특례 여부 등)

    • 2000.12.15 기존 ㈜심텍 코스닥 상장2015.07.01 인적분할(지주/사업회사)2015.08.07 심텍홀딩스 변경상장(재상장 성격).
    • 한국거래소 KIND 공시로 분할·변경상장 절차가 확인됩니다.
    • (사업보고서 연혁에도 회사분할·상호변경·변경상장이 일괄 기재)

     

    8) 상장 이후 주요 이벤트(연대표 요약)

    • 2015.07~08: 인적분할·상호변경→심텍홀딩스 변경상장
    • 2017~2020: 다수의 전환우선주 전환(보통주 증가)
    • 2019: 자사주 200만주 취득(약 43억), 지배력 강화를 위한 ㈜심텍 주식 추가취득
    • 2021.08~09: 제8·9회 전환우선주 제3자배정 유증(SUSTIO(말레이시아) 신공장 투자 재원)
    • 2022.09: 제9회 전환우선주 전량, 제8회 일부 보통주 전환(신주상장)
    • 2024.03.12: (자회사 ㈜심텍) 전환사채 1,000억·BW 200억 발행, 심텍홀딩스가 콜옵션 보유파생상품부채 인식
    • 2024.11.26: 제8회 전환우선주 일부 추가 전환(보통주 상장)

    (그 외, 2022~23 M&A·흡수합병·현물출자 등 자회사 중심 구조개편·물류·검사법인 설립 등 다수)

    대주주 변경:

    사업보고서상 “최대주주 변동현황: 해당사항 없음”으로 기재(24.12.31 기준).

    (참고) 2025.10.01에는 신한자산운용의 보유지분 5% 미만 하회 공시가 있었으나, 이는 최대주주 변경과 무관한 기관 보유지분 변동입니다.

     

    참고사항) 2023·2024년 대규모 영업/순손실 발생 원인 분석

    A. 전방 수요 둔화·제품믹스 악화·가동률 저하(고정비 부담)

    매출이 2022년 2,558,949 → 2023년 1,732,643 → 2024년 1,384,758로 2년 연속 급감. 영업이익은 2024년 -131,541로 적자 확대.

    사업보고서 경영진 의견에서도 업황 위축(IT·메모리 경기)로 성과가 악화됐음을 확인.

    (맥락 확인) 2024년 업계 기사 역시 HBM 호황과 달리 심텍(자회사)은 HBM 본격 수혜가 지연되며 실적 개선이 제한됐다는 분석이 존재.

    B. 비영업(금융) 요인 – 파생상품(내재파생) 평가 영향

    2024.03 자회사(㈜심텍)의 전환사채·BW 발행에 대해 지주사(심텍홀딩스)가 콜옵션을 보유 → 사업보고서에 파생상품부채(전환권/매수청구권·신주인수권 등) 공정가치가 상세 기재. 이는 평가손익 변동을 통해 당기손익(영업외)에 영향을 줄 수 있음(회계적 영향).

    (‘평가손익이 실제로 순손실 확대에 어느 정도 기여했는지’는 손익 세부주석을 추가로 확인해야 하나, 구조적으로는 영향 가능성이 높습니다 – 분석적 추정)

    C. 해외 증설·투자 초기비용(말레이시아 SUSTIO 등) 및 제품 전환기 투자

    2021년 전환우선주 유증 목적이 말레이시아 SUSTIO 신공장 투자였고, 2024년에도 System IC향 설비투자 목적의 자금 조달이 이어졌습니다. 증설·전환기에는 가동률 램프업/수율 안정화 비용 등으로 고정비 흡수 부담이 커지기 쉬워 영업적자가 확대되는 전형적 패턴이 나타납니다.

    (이 부분 역시 업종 특성에 비추어 본 합리적 해석이며, 구체 금액은 자회사 세부 손익을 추가 확인하면 더욱 명확해집니다.)

    요약: 2023~2024년 적자는

    ① 전방 업황 둔화·가동률 저하에 따른 영업 레버리지 악화,

    ② 파생상품평가 등 금융요인,

    ③ 증설·전환기 비용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판단됩니다. (사업보고서의 실제 수치 추이는 위 표 참조)

     

    참고사항 1) 2024년 부채비율이 왜 급등했나

    부채비율 계산(연결): 2024년 말 부채총계 1,190,642,671천원, 자본총계 278,656,340천원 → 부채비율 약 427%. 2023년 말(부채 891,702,876천원 / 자본 418,902,843천원) 대비 약 213% → 427%로 급증했습니다. 수치는 2024 사업보고서 연결재무상태표에서 확인했습니다.

    이자부채(차입·사채) 확대: ‘자금조달과 지출’ 표를 보면 단기차입금이 2,296.7억원 → 4,786.9억원으로 약 +2,490억원 늘었고, 사채 661.5억원(’전환사채·BW’의 현재 portion 포함)이 새로 잡혔습니다. 이에 따라 Net Cash(유동자금–차입금)도 -3,129억원 → -5,125억원으로 악화됐습니다. Simmtech

    전환사채·BW의 유동화 + 파생부채 인식: 2024년 말 유동부채에 전환사채 551.3억원, 신주인수권부사채 110.3억원, 파생상품부채 389.3억원이 잡혀 부채총계가 커졌습니다.

    파생부채의 성격(공정가치 평가): 공시의 금융상품 공정가치 표에 ‘당기손익-공정가치 금융부채: 파생상품부채 389.3억원’으로 명시되어 있습니다. 즉, 내재파생(전환권·풋옵션 등) 평가손익 변동이 부채와 손익에 직접 반영되는 구조라, 변동성이 부채비율에 영향을 키웠습니다.

    자본 축소(적자·OCI): 사업보고서의 ‘주요배당지표’에 2024년 연결 당기순손익 -7,822억원(백만원 단위 표기 기준 -78,223)이 기재되어 있고, 자본 항목에서도 기타포괄손익누계액이 -274.98억원(천원 단위 -27,498,079천원) 수준으로 부(-)의 폭이 큽니다. 결과적으로 자본총계가 4,189억원 → 2,787억원으로 크게 줄며 분모 축소 효과까지 겹쳤습니다.

    요약: 2024년에는

    (1) 차입 증가 + 사채(전환사채/BW) 인식 + 파생부채(공정가치) 인식으로 ‘부채’ 급증, (2) 대규모 적자 및 기타포괄손익 악화로 ‘자본’ 축소가 겹치며 부채비율이 두 배가 됨.

    참고사항 2) 2025년에 생긴 변화(상반기→하반기)

    상반기(반기보고서 제출 시점): 파생손실 계속 발생

    2025년 8월 13일 공시에 따르면, 연결자회사(㈜심텍)가 발행한 전환사채·BW·영구전환사채에 부여된 전환권·풋옵션 등으로 인한 파생상품거래 손실이 발생(반기보고서 제출일 기준)했다고 밝힙니다. 이는 2024년에 잡힌 파생부채/평가손익의 연장선입니다. KIND

    하반기: 그룹 내부로 심텍의 전환사채·BW를 매입(의사결정)

    2025년 8월 초 ‘주권관련사채권의 취득 결정’ 공시가 나오며(심텍홀딩스), 시장기사에도 심텍 전환사채 약 334.98억원, BW 약 66.99억원 취득 언급이 확인됩니다.

    회계적인 함의(추정): 모회사가 자회사 채권(전환사채·BW)을 보유하면, 연결 재무제표에서는 내부거래 상계가 이뤄져 자회사 입장의 해당 사채부채(및 관련 파생부채) 일부가 연결 수준에서 제거됩니다. 따라서 하반기 이후(실제 취득 완료·반영 시점)에는 기계적으로 부채총계가 낮아지는 효과가 발생할 가능성이 큽니다(영향 범위·타이밍은 취득규모·조건·결산일 반영 여부에 좌우). 이 부분은 회계 논리에 근거한 합리적 추정입니다.

    정리: 2025년 상반기까지는 파생 관련 손실이 이어졌고, 8월 이후에는 그룹 내부가 자회사 CB/BW를 흡수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연결부채를 구조적으로 낮출 수 있는 ‘구조적 레버리지 완화 장치’가 생김(하반기 결산부터 반영 가능).

     

    기타 숫자 정리

    • 2024 말 부채/자본: 1조 1,906억원 / 2,787억원 → 부채비율 ≈ 427%. 2023 말 8,917억원 / 4,189억원 → ≈ 213%.
    • 2024 말 유동부채 내: 전환사채 ~551억원, BW ~110억원, 파생부채 ~389억원.
    • 2024년 단기차입금 +2,490억원, 사채 661억원 신규, Net Cash 악화(-1,996억원).
    • 2024년 연결 순손실 -7,822억원(백만원 표기), 자본총계 4,189억원 → 2,787억원.
    • 2025.08 자회사 CB/BW 취득 결정 → 연결 부채 상계(감소) 기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