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페이지
  • 게시판
  • 테마정보
  • 테마별 종목

테마와 종목 선정 이유

  • 과거/ 그래핀 테마 상승기 대장주와 주도주의 변화

    작은연못 6 회 2025-07-03

  • 

    그래핀(Graphene) 테마는 기술 성숙도와 상용화 수준이 비교적 낮은 소재 분야에서 출발하였기 때문에, 테마의 급등기는 보통 기술적 돌파 이슈나 정책 수혜, 해외 상장사의 기술 성과 발표 등에 따라 국지적으로 발생하는 특성이 있습니다.

     

    1차 상승기 (2013년~2014년 초)

    배경: 그래핀이 미래 산업을 바꿀 신소재로 본격 주목받기 시작한 시기

    이슈: 노벨상 수상 후 국내외 언론과 학계에서 기술 상용화 기대 확산

     

    대장주:

    상보: 그래핀 필름 상용화 추진 소식에 의해 테마 전체를 선도

     

    주도주:

    엘엠에스: 디스플레이용 투명전극 그래핀 응용 기대감 반영

    경인양행: 전자재료 기업으로서 관련 연구개발 기대감으로 상승

     

    이 시기의 테마 상승은 기대감에 의존한 순환매 성격이 강했고, 그래핀 관련 실적이 뚜렷하지 않음에도 시장에서 강한 반응을 일으켰습니다.

     

     

    2차 상승기 (2017년 전후)

    배경: 국내외에서 그래핀 기반 복합소재가 스마트폰 부품, 전자소재로 적용된다는 보도가 나오며 관심 급증

    이슈: 중국 업체의 그래핀 대량 생산 발표, 삼성전자 그래핀 배터리 연구소식

     

    대장주:

    크리스탈신소재: 중국 그래핀 원재료 생산 이슈로 급등하며 대장주 부각

     

    주도주:

    상보: 기존 그래핀 필름 개발 이슈 재부각

    다산솔루에타: 그래핀 기반 방열소재 사업 추진으로 이목 집중

     

    이 시기에는 중국 관련 종목이 강세를 주도하면서 중국 소재 수혜주로서 크리스탈신소재가 대장 역할을 하였습니다.

     

     

    3차 상승기 (2020년 하반기~2021년 초)

    배경: 그래핀 배터리와 코로나 이후 친환경소재, 고효율 방열소재 수요 확대

    이슈: 삼성전자의 그래핀 배터리 특허 기술 발표, 전기차 배터리 관련 소재주 상승과 연동

     

    대장주:

    상보: 삼성 그래핀 배터리 관련 이슈에 다시 대장주로 등극

     

    주도주:

    엑사이엔씨: 방열 및 EMI 차폐 분야에서 그래핀 응용 이슈로 강세

    아이텍: 그래핀 기반 반도체 소자 연구개발 뉴스에 동반 상승

     

    전기차 배터리 테마와 연동되며 그래핀 테마가 다시 주목받은 시기로, 방열소재 및 배터리 응용 관련 종목이 주도했습니다.

     

     

    4차 상승기 (2021년 말~2022년 초)

    배경: 국내외로 그래핀 상용화 제품 출시, 고기능성 복합소재 산업의 성장 기대

    이슈: 그래핀을 적용한 전기차용 고성능 부품 양산 보도, 일부 업체 실제 납품 이슈

     

    대장주:

    크리스탈신소재: 다시 중국 원재료 공급망 이슈로 강세

     

    주도주:

    휴비스: 섬유 및 기능성 소재에 그래핀 적용 사례 발표

    오리엔트정공: 자동차 부품 경량화 및 배터리 소재 연관 기대감

     

    실질적 응용 분야가 다양해지며, 기존 전자소재 외에 섬유, 자동차 부품 등 응용산업 확장 중심으로 주도주가 분산되었습니다.

     

     

    ■ 종합 분석

    시기대장주주도주 변화
    2013~2014상보엘엠에스, 경인양행
    2017크리스탈신소재상보, 다산솔루에타
    2020~2021상보엑사이엔씨, 아이텍
    2022크리스탈신소재휴비스, 오리엔트정공

     

    그래핀 테마는 명확한 실적 기반보다는 기술개발 진척도, 응용 산업 확대, 글로벌 정책 이슈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급등하는 특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기대감에 의한 테마성 급등 후 단기 조정이 반복되는 경향이 뚜렷합니다. 향후 실질적인 상용화 및 매출 실현이 수반될 경우에만 장기적인 재평가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