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페이지
  • 게시판
  • 테마정보
  • 테마별 종목

테마와 종목 선정 이유

  • 과거/ 2차전지(전고체) 테마 상승기 대장주와 주도주 변화

    작은연못 9 회 2025-07-03

  • 

    2차전지(전고체) 테마는 2020년 이후 글로벌 전기차 확산과 차세대 배터리 경쟁이 본격화되면서 주목을 받기 시작하였으며, 특히 2023년~2024년을 전후해 기술 상용화 기대감과 함께 급등기가 형성되었습니다.

     

    이 과정에서 대장주와 주도주는 시장 흐름, 기술 개발 진척도, 정부 정책, 그리고 글로벌 기업의 투자 발표에 따라 변화해왔습니다.

     

    아래는 주요 급등기 시기와 당시 대장주·주도주들의 흐름을 시기별로 정리한 내용입니다.

     

    1. 1차 급등기: 2020년 하반기 ~ 2021년 상반기

    배경:

    전고체 배터리에 대한 개념이 시장에 본격 확산

    도요타, 퀀텀스케이프 등 글로벌 선도 기업들의 기술 발표

    국내 2차전지 수출 급증과 함께 수급 집중

     

    대장주:

    삼성SDI: 전고체 배터리 개발 로드맵 공개, 프리미엄 전기차 배터리 수요 증가

    엘지에너지솔루션 (당시 LG화학 배터리 부문): 분사 이슈와 배터리 공급 확대 기대감

     

    주도주 변화:

    천보: 전해질 원료 공급 업체로 전고체 기대감 부각

    씨아이에스, 티에스아이, 유일에너테크: 장비주 중심으로 단기 급등

     

    2. 2차 급등기: 2023년 상반기

    배경:

    도요타와 삼성SDI, LG에너지솔루션 등이 전고체 배터리 시제품 공개 또는 투자 계획 발표

    국내 정부의 전고체 배터리 R&D 예산 확대

     

    대장주:

    천보: 고체 전해질 원료 개발 성과 부각되며 수급 집중

    삼성SDI: BMW 등 글로벌 고객사 향한 전고체 배터리 개발 언급

     

    주도주:

    한농화성, 이수스페셜티케미컬: 전해질 첨가제 관련주로 부각

    레온, 석경에이티: 고체전해질 도전재 및 필름 소재 관련주

     

    3. 3차 급등기: 2024년 하반기 ~ 2025년 상반기

    배경:

    글로벌 전고체 배터리 상용화 목표 시점 (2025~2026년) 접근

    퀀텀스케이프 주가 급등 및 미국 배터리 투자 확대

    국내에서도 LG에너지솔루션의 전고체 샘플 생산 발표

     

    대장주: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고체 시제품 언급, 시가총액 기준 수급 쏠림

    삼성SDI: 차세대 배터리 선도 이미지 강화로 기관 수급 유입

     

    주도주:

    레온, 민테크, 이브이첨단소재: 상대적으로 소형이면서도 테마 노출도 높아 투기적 매수 집중

    나인테크, 티에스아이, 하나기술: 전고체 배터리 장비 공급 이슈로 기술적 반등

     

    대장주 vs 주도주의 구분 포인트

    구분설명
    대장주시총이 크고 기관·외국인 중심의 수급 유입, 안정적인 상승 지속 (삼성SDI, LG에너지솔루션 등)
    주도주테마의 초기 반응을 빠르게 반영하며 급등하는 종목, 단기 회전율 높음 (천보, 레온, 석경에이티, 나인테크 등)

     

     

    전고체 배터리 테마는 기술 상용화 시점을 향해 점진적 기대감이 커지는 구조를 보이고 있으며, 각 급등기에는 소재주 → 장비주 → 완성 배터리 제조사 순으로 주도주가 회전되는 특징을 보여왔습니다. 단기 트레이딩에서는 민감한 소재주가, 중장기적으로는 삼성SDI와 LG에너지솔루션처럼 기술력과 자본력을 갖춘 대형주가 중심이 되는 흐름이 반복되고 있습니다.

     

    향후에도 대형 제조사의 상용화 로드맵 발표나, 고체전해질 국산화 관련 정책이 테마 전체의 추가 급등 트리거가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