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전지(전고체) 테마는 미래 배터리 산업의 핵심 기술 중 하나로 주목받고 있으며, 특히 기존 리튬이온배터리의 한계를 뛰어넘는 성능과 안전성을 갖춘 ‘전고체 배터리(All-Solid-State Battery)’ 개발에 집중된 테마입니다. 다음은 이 테마에 대한 개요와 함께 관련 종목들의 연관성을 서술한 내용입니다.
1. 전고체 배터리 테마 개요
전고체 배터리란, 기존 리튬이온배터리에서 사용하는 액체 전해질 대신 고체 전해질을 사용하는 차세대 배터리입니다. 전해질을 고체화함으로써 폭발 위험을 줄이고, 에너지 밀도, 수명, 충전속도 등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는 점에서 차세대 전기차(EV)와 에너지저장장치(ESS)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습니다.
전고체 배터리는 크게 아래와 같은 3대 구성요소의 기술 발전이 필요합니다.
- 양극재 – 에너지 밀도를 결정
- 음극재 – 안정성과 수명에 영향
- 고체 전해질 – 전고체 배터리의 핵심
이에 따라 소재, 부품, 제조장비를 아우르는 다양한 기업들이 전고체 배터리 테마에 편입되고 있습니다.
2. 테마 연관 종목 및 역할 분류
아래는 전고체 배터리 테마에 포함된 주요 종목들과, 각각이 이 테마에서 어떤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지를 정리한 내용입니다.
① 소재 부문 (양극재/음극재/고체전해질/전해질 첨가제 등)
엘지에너지솔루션 / 삼성SDI / SK이노베이션
전고체 배터리의 상용화를 목표로 연구개발을 선도하는 완성 셀 제조사
(전고체 자체 기술 보유 또는 공동개발 진행)
천보 / 한농화성 / 이수스페셜티케미컬 / 덕산테코피아 / 대주전자재료
고체 전해질, 첨가제, 전해질 전구체 등 화학소재 개발 기업
(천보는 고체 전해질 원료 개발 진행)
이브이첨단소재 / 민테크 / 석경에이티 / 레온 / 레이크머티리얼즈
음극재 첨가제, 고체 전해질 도전재 등 첨단소재 공급 기업
동화기업 /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
→ 음극재용 인조흑연, 동박 생산 등의 소재 기업
② 장비 및 부품 부문
나인테크 / 유일에너테크 / 아바코 / 하나기술 / 티에스아이 / 코윈테크 / 테이팩스 / 엠오티 / 씨아이에스 / 원준 / 미래컴퍼니
전고체 배터리 제조용 장비, 공정기술, 열처리 시스템, 자동화 장비 제공
미코 / 삼성전기 / SK아이이테크놀로지
전고체 배터리 제조에 필요한 정밀부품, 절연소재, 분리막 및 세라믹소재 등 공급
3. 이 테마의 투자 포인트
차세대 전기차 배터리 경쟁 본격화
일본의 도요타, 미국의 퀀텀스케이프, 한국의 LG에너지솔루션과 삼성SDI 모두 전고체 배터리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관련 부품 및 소재 공급사에 수혜 가능성이 큽니다.
안전성 개선에 대한 수요
전기차 화재 이슈가 꾸준히 발생하는 가운데, 고체 전해질을 활용한 전고체 배터리는 폭발 위험이 낮아져 차세대 안전 배터리로 각광받고 있습니다.
정부 및 기업의 R&D 지원 확대
한국 정부 역시 전고체 배터리 상용화를 위한 연구개발을 국가 차원에서 지원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중소형 장비·소재 기업이 수혜를 입고 있습니다.
전고체 배터리 테마는 2차전지 산업 내에서도 미래 경쟁력 확보의 핵심 축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완성 셀 제조사 뿐 아니라 소재, 부품, 장비를 아우르는 다양한 기업들이 이에 편입되고 있습니다. 테마에 속한 종목들은 전고체 배터리의 연구개발, 소재 공급, 제조공정 장비 등의 서플라이 체인 전반에 걸쳐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기업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고체 상용화 일정에 따라 장기적으로도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